목차
1. 정의
2. 역사
3. 분류
4. 초음파의 생물리학
5. 초음파 발생 장치
6. 초음파의 생리적 효과
7. 초음파의 치료효과
8. 적응증
9. 금기증
2. 역사
3. 분류
4. 초음파의 생물리학
5. 초음파 발생 장치
6. 초음파의 생리적 효과
7. 초음파의 치료효과
8. 적응증
9. 금기증
본문내용
가열이 일어날 수 있다.
- 변환기의 크기에 따라서 적정 치료면적 (filed)이 다르지만 대개 한 치료면적은 약 7.5-10 cm2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2. 고정치료 (stationary technique)
- 변환기와 피부에 초음파풀을 충분히 바른 다음 변환기를 피부에 직각으로 접촉하고 고정시켜 치료하는 방법
3. 수중치료 (underwater or subaqueous technique)
- 물을 전파매개물질로 하여 물속에서 초음파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 그릇에 물을 넉넉하게 채우고 치료부위를 완전히 담근 다음 변환기도 물속에 집어넣어 치료부위와 직각이 되도록 한다.
- 변환기는 치료부위의 피부로부터 대개는 1-2cm정도 거리 ( 17-35).
- 물은 기포가 완전히 제거
- 물을 끓인다음 23.9-33.9 ℃ (75-92℉)까지 식힌 미온수 (tepid water)를 사용
- 치료중 변환기나 치료부위의 피부에 기포시 즉시 손으로 닦아내고 알콜을 바른다.
- 물그릇은 플라스틱이나 고무등으로 만든 것을 사용
- 수중치료는 뼈가 돌출되어 볼록한 부위, 치료면이 불규칙한 부위, 압박을 견디기 어려 운 부위의 치료
4. 완충치료 (coupling cushion technique)( 17-36)
- 초음파 변환기와 피부사이에 완충 물주머니를 끼우고 초음파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 치료부위에 완충 물주머니를 올려 놓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아 고정
- 다른 손으로 변환기를 잡아 완충 주머니위에 직각을 유지하면서 가볍게 접촉
- 조그만 원을 만들어 움직이면서 다른 치료사에게 강도조절 다이얼을 올리도록 한다 .
- 변환기, 피부, 변환기와 피부에 접촉되는 물주머니에 초음파풀을 충분히
- 불규칙한 부위나 개방성 창상등이 있어 접촉치료나 수중치료가 어려운 경우
11. 용량
1. 주파수
- 3 MHz초음파는 1-2 cm의 흡수되기 때문에 팔굽등과 같이 피부나 지방층으로 두껍게 덮히지 않은 부위의 치료에 적합
- 1 MHz초음파는 3-5 cm의 심부조직에서 흡수하므로 지방이 많은 조직, 치료부위가 3-5 cm의 심부조직의 치료에 적합
- 매우 심부치료시 반가층이 10 cm정도로 매우 긴 0.75 MHz의 초음파를 사용
2. 강도 (intensity)
- 이동치료시 0.5-4.0 W/cm2
- 고정치료시 1.0 W/cm2
- 강한 효과를 얻으려 할때는 4 W/cm2
- 중등도 및 경한 효과가 목적일때는 2 W/cm2
- 매우 경한 효과를 목적으로 할 때는 0.1-1 W/cm2
3. 시간 (duration)
- 조직온도를 40-45℃까지 올리는데는 5분이면 충분
- 초음파의 치료시간은 5분 또는 그 이하가 적당
- 관절주위는 5-10 분으로 치료시간을 충분히 길게
- 연속초음파는 최소 3분 최대 10분
- 맥동초음파는 최소 5분 최대 15분정도
4. 치료빈도 (frequency)
- 빈도는 치료의 경과, 병변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결정
- 1일 1회 치료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3-4회 치료한 후 뚜렷한 효과가 없으면 그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용량의 변화
- 초음파 치료중 치료반응에 따라 치료용량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6. 연속 및 맥동초음파의 선택
1) 연속초음파 (CUS)
- 조직온도상승에 더 유익하다.
- 열효과를 이용하여 조직신장력 증진, 관절강직완화, 근경축 및 통증완화, 혈류량 증진, 신경전도속도 증진, 가벼운 염증반응완화 등을 목적
2) 맥동초음파 (PUS)
- 맥동율 50%이하의 맥동초음파는 열효과가 아주 적다.
- 비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조직 및 뼈 등의 치유를 촉진, 세포대사 촉진, 통증완화목적
13. 질환에 따른 치료용량 (표 17-18, 19)
14. 음파영동 (phonophoresis)
- 초음파의 요동에 의해서 약물을 피부를 통해 연부조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 음파의 열효과에 의해서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진되고 음향흐름과 같은 기계적효과에 의해 확산속도가 증가됨 따라 약물의 흡수속도가 촉진된다.
- 이온도입은 물질의 한가지 이온만 조직에 침투되고 대개 침투 깊이는 0.1 cm이하로 진 피층까지 침투, 음파영동은 물질 분자 전체를 약 10 cm, 적어도 5-6 cm 깊이 까지 침투
- 대부분이 연속초음파를 권장
- 3.0 W/cm2의 강도면 세포막의 투과성이 200%정도 증가
- 음파영동은 1.0-1.5 W/cm2정도의 비교적 높은 강도를 사용.
- 음파영동의 치료시간 대부분은 치료면적 10 cm2당 1분을 권장.
1. 항염제 음파영동치료
약물은 스테로이드제와 비스테로이드제가
2. 항생제 음파영동치료
페니실린 (penicillin), tetracycline등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피부감염을 치료
3. 항바이러스제 음파영동치료
- 산화아연, 탄닌산, 요소, 멘톨등의 함유 로숀은 단순포진 2형 바이러스 (herpes simplex Ⅱ virus) 감염에 효과적
4. 국소마취제 음파영동치료
15. 주의 및 위험
1. 주의
1) 공기가 차있는 강 (air-filled cavity)
- sinus, 폐, 골반기관 (pelvic organ)등 공기가 차있는 강에서 초음파에너지가 반사하 기때문에 이들 부위를 치료할 때에는 낮은 용량으로 치료
2) 물이 차있는 강 (water-filled cavity)
- 복부, 삼출액이 많이 고인 관절 등 물이 차있는 기관에서는 공동형성의 위험이 있 기 때문에 정상강도보다 낮은 강도로 치료
3) 생식기관 - 고환, 임신부자궁
4) 골단판 (epiphyseal plate)
5) 금속
- 매입된 금속이 적거나 표면조직에 있을때는 낮은 강도로 치료
- 고밀도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및 아크릴 (actyl)등 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하여 관 절성형술을 했을때는 초음파치료를 하지 않는다.
6) 정상파
-혈류의 정체와 내피세포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변환기의 접촉을 바르게
2. 위험
1) 화상
① 과용량 (over-dosage)
② 변환기의 느린 이동 (too slow movement of transducer)
③ 변환기의 접촉 불량
④ 전파매개물질의 부족
⑤ 공기
2) 골막통
3) 쇽크
4) 공동형성
- 변환기의 크기에 따라서 적정 치료면적 (filed)이 다르지만 대개 한 치료면적은 약 7.5-10 cm2정도를 기준으로 한다.
2. 고정치료 (stationary technique)
- 변환기와 피부에 초음파풀을 충분히 바른 다음 변환기를 피부에 직각으로 접촉하고 고정시켜 치료하는 방법
3. 수중치료 (underwater or subaqueous technique)
- 물을 전파매개물질로 하여 물속에서 초음파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 그릇에 물을 넉넉하게 채우고 치료부위를 완전히 담근 다음 변환기도 물속에 집어넣어 치료부위와 직각이 되도록 한다.
- 변환기는 치료부위의 피부로부터 대개는 1-2cm정도 거리 ( 17-35).
- 물은 기포가 완전히 제거
- 물을 끓인다음 23.9-33.9 ℃ (75-92℉)까지 식힌 미온수 (tepid water)를 사용
- 치료중 변환기나 치료부위의 피부에 기포시 즉시 손으로 닦아내고 알콜을 바른다.
- 물그릇은 플라스틱이나 고무등으로 만든 것을 사용
- 수중치료는 뼈가 돌출되어 볼록한 부위, 치료면이 불규칙한 부위, 압박을 견디기 어려 운 부위의 치료
4. 완충치료 (coupling cushion technique)( 17-36)
- 초음파 변환기와 피부사이에 완충 물주머니를 끼우고 초음파치료를 시행하는 방법
- 치료부위에 완충 물주머니를 올려 놓고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 손으로 잡아 고정
- 다른 손으로 변환기를 잡아 완충 주머니위에 직각을 유지하면서 가볍게 접촉
- 조그만 원을 만들어 움직이면서 다른 치료사에게 강도조절 다이얼을 올리도록 한다 .
- 변환기, 피부, 변환기와 피부에 접촉되는 물주머니에 초음파풀을 충분히
- 불규칙한 부위나 개방성 창상등이 있어 접촉치료나 수중치료가 어려운 경우
11. 용량
1. 주파수
- 3 MHz초음파는 1-2 cm의 흡수되기 때문에 팔굽등과 같이 피부나 지방층으로 두껍게 덮히지 않은 부위의 치료에 적합
- 1 MHz초음파는 3-5 cm의 심부조직에서 흡수하므로 지방이 많은 조직, 치료부위가 3-5 cm의 심부조직의 치료에 적합
- 매우 심부치료시 반가층이 10 cm정도로 매우 긴 0.75 MHz의 초음파를 사용
2. 강도 (intensity)
- 이동치료시 0.5-4.0 W/cm2
- 고정치료시 1.0 W/cm2
- 강한 효과를 얻으려 할때는 4 W/cm2
- 중등도 및 경한 효과가 목적일때는 2 W/cm2
- 매우 경한 효과를 목적으로 할 때는 0.1-1 W/cm2
3. 시간 (duration)
- 조직온도를 40-45℃까지 올리는데는 5분이면 충분
- 초음파의 치료시간은 5분 또는 그 이하가 적당
- 관절주위는 5-10 분으로 치료시간을 충분히 길게
- 연속초음파는 최소 3분 최대 10분
- 맥동초음파는 최소 5분 최대 15분정도
4. 치료빈도 (frequency)
- 빈도는 치료의 경과, 병변의 특성등을 고려하여 결정
- 1일 1회 치료하는 방법
- 일반적으로 3-4회 치료한 후 뚜렷한 효과가 없으면 그만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용량의 변화
- 초음파 치료중 치료반응에 따라 치료용량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6. 연속 및 맥동초음파의 선택
1) 연속초음파 (CUS)
- 조직온도상승에 더 유익하다.
- 열효과를 이용하여 조직신장력 증진, 관절강직완화, 근경축 및 통증완화, 혈류량 증진, 신경전도속도 증진, 가벼운 염증반응완화 등을 목적
2) 맥동초음파 (PUS)
- 맥동율 50%이하의 맥동초음파는 열효과가 아주 적다.
- 비열효과를 이용하여 연부조직 및 뼈 등의 치유를 촉진, 세포대사 촉진, 통증완화목적
13. 질환에 따른 치료용량 (표 17-18, 19)
14. 음파영동 (phonophoresis)
- 초음파의 요동에 의해서 약물을 피부를 통해 연부조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 음파의 열효과에 의해서 세포막의 투과성이 증진되고 음향흐름과 같은 기계적효과에 의해 확산속도가 증가됨 따라 약물의 흡수속도가 촉진된다.
- 이온도입은 물질의 한가지 이온만 조직에 침투되고 대개 침투 깊이는 0.1 cm이하로 진 피층까지 침투, 음파영동은 물질 분자 전체를 약 10 cm, 적어도 5-6 cm 깊이 까지 침투
- 대부분이 연속초음파를 권장
- 3.0 W/cm2의 강도면 세포막의 투과성이 200%정도 증가
- 음파영동은 1.0-1.5 W/cm2정도의 비교적 높은 강도를 사용.
- 음파영동의 치료시간 대부분은 치료면적 10 cm2당 1분을 권장.
1. 항염제 음파영동치료
약물은 스테로이드제와 비스테로이드제가
2. 항생제 음파영동치료
페니실린 (penicillin), tetracycline등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피부감염을 치료
3. 항바이러스제 음파영동치료
- 산화아연, 탄닌산, 요소, 멘톨등의 함유 로숀은 단순포진 2형 바이러스 (herpes simplex Ⅱ virus) 감염에 효과적
4. 국소마취제 음파영동치료
15. 주의 및 위험
1. 주의
1) 공기가 차있는 강 (air-filled cavity)
- sinus, 폐, 골반기관 (pelvic organ)등 공기가 차있는 강에서 초음파에너지가 반사하 기때문에 이들 부위를 치료할 때에는 낮은 용량으로 치료
2) 물이 차있는 강 (water-filled cavity)
- 복부, 삼출액이 많이 고인 관절 등 물이 차있는 기관에서는 공동형성의 위험이 있 기 때문에 정상강도보다 낮은 강도로 치료
3) 생식기관 - 고환, 임신부자궁
4) 골단판 (epiphyseal plate)
5) 금속
- 매입된 금속이 적거나 표면조직에 있을때는 낮은 강도로 치료
- 고밀도 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및 아크릴 (actyl)등 플라스틱소재를 사용하여 관 절성형술을 했을때는 초음파치료를 하지 않는다.
6) 정상파
-혈류의 정체와 내피세포손상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변환기의 접촉을 바르게
2. 위험
1) 화상
① 과용량 (over-dosage)
② 변환기의 느린 이동 (too slow movement of transducer)
③ 변환기의 접촉 불량
④ 전파매개물질의 부족
⑤ 공기
2) 골막통
3) 쇽크
4) 공동형성
추천자료
shoulder op 후 물리치료 치료계획
협심증(狹心症)의 원인과 증상 및 예방과 치료
[비만][운동][다이어트]비만의 정의, 비만의 원인, 비만의 위험인자와 위험도, 비만의 진단 ...
췌장암 치료와 간호
위암의 치료와 간호
물리치료전기치료
이온도입치료
[위선암(위암), 위선암(위암) 정의, 위선암(위암) 발생원인, 위선암(위암) 진단방법]위선암(...
동맥경화증(동맥경화) 의미,증상, 동맥경화증(동맥경화) 원인,진단, 동맥경화증(동맥경화)과 ...
아킬레스 건염 재활 운동 (Achilles Tendinitis 정의, 원인, 진단, 분류, Paratenonitis(건주...
류마티스 (류마티스 병동 약어, 자가 면역 질환, 류마티스 병동에서 관찰 요하는 검사, 진단...
임신성고혈압, 자간전증, 임신성고혈압병태생리, 경증자간전증, 중증자간전증, 자간전증치료,...
[간호학] 판막질환 진단적 검사 내과적 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