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선암(위암), 위선암(위암) 정의, 위선암(위암) 발생원인, 위선암(위암) 진단방법]위선암(위암)의 정의, 위선암(위암)의 발생원인, 위선암(위암)의 진단방법, 위선암(위암)의 간호, 위선암(위암)의 치료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위선암(위암), 위선암(위암) 정의, 위선암(위암) 발생원인, 위선암(위암) 진단방법]위선암(위암)의 정의, 위선암(위암)의 발생원인, 위선암(위암)의 진단방법, 위선암(위암)의 간호, 위선암(위암)의 치료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위선암(위암)의 정의

Ⅲ. 위선암(위암)의 발생원인
1. 만성위염
2. 유전적 요인
3. 식이 요인
1) 발암물질 체내생성설
2) 불에 태운 음식물 또는 훈제식품
3) 짠 식품
4) 야채 및 과일, 비타민
4. 기타 환경요인
1) 흡연
2) 알콜

Ⅳ. 위선암(위암)의 진단방법
1. X선 이중조영법
2. 위 내시경검사
3. 전산화단층촬영(CT)
4. 상부위장조영술(UGI)
5. 내시경적 초음파검사
6. 자기공명촬영(MRI)
7.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
8. 그 밖의 보조적 검사

Ⅴ. 위선암(위암)의 간호
1.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2. 흡수장애(위장관 질환)와 관련된 설사
3. 정상적인 섭취, 소화, 흡수 방해와 관련된 체액 부족의 가능성
4. 신생물의 압박과 관련된 동통

Ⅵ. 위선암(위암)의 치료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렇게 발생한 암이 보다 나쁜 생물학적태도를 나타내서 침윤과 전이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세포증식 및 間質과 相互作用을 하는 각종 遺傳子의 협동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觀點에서 胃癌의 發生과 進行을 Yasui et al.(1991)이 설명한 모델에 의하면, 胃癌의 進行에 있어서 TGF-β receptor-1 의 減少는 癌細胞의 增殖抑制로부터의 離脫을 초래하고, EGF, TGF-α의 過多發現에 의한 蛋白分解酵素誘導와 EGFR과 c-erbB-2 protein과의 協同作用으로 早期癌에서 進行癌으로 진전되고, c-erbB-2 와 EGFR 遺傳子의 增幅은 進行胃癌의 後期에 나타나서 胃癌을 轉移시킨다. 특히 胃癌의 轉移關聯 遺傳子로서는 tyrosine kinase receptor를 생산하는 癌遺傳子 c-met, K-sam, c-erbB-2가 있으며, 그 중 c-met 유전자는 위암의 發生, 增殖, 進展에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되나 아직까지 硏究가 미흡하며, K-sam 遺傳子와 함께 高分化癌 보다도 schirrhous 胃癌에서 遺傳子의 增幅이 두드러져서 不良한 豫後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졌고, c-erbB-2 遺傳子의 增幅은 高分化癌에서 18%가량 보이는 반면에 schirrhous 胃癌에서는 나타나지 않고 轉移病巢에서 增幅의 頻度가 더욱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Tahara et al., 1993). 한편 p53 癌抑制遺傳子는 染色體 17p와 5q의 결실이 高分化 胃癌의 初期에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서 胃癌의 發生過程에 關與하는 것으로 보는 觀點과 轉移와 惡性度에 關與하는 것으로 보는 硏究 結果도 있다(Yokozaki et al., 1992). 본 硏究는 이러한 胃癌의 發生 또는 進行過程에 關與할 것으로 생각되고 있는 代表的인 癌遺傳子 c-erbB-2와 癌抑制遺傳子 p53의 蛋白質 發現이 胃癌 患者의 臨床病理學的 特徵과 어떠한 關聯이 있으며 豫後와 關聯이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서 5년 전에 切除되어 파라핀포매된 胃癌組織을 免疫組織化學染色하여 統計的 分析을 하였다. 免疫組織化學染色은 크게 直接法과 間接法의 두 가지로 나누는데, 直接法은 特異性은 優秀하나 항원의 종류마다 각각의 항체에 표지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감도가 낮은 단점이 있으나, 간접법은 일차항체로 항원과 결합시킨 다음에 그 결합을 이차항체로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감도가 높아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간접법에는 avidin이 사용되는데 avidin은 계란 흰자에서 발견된 分子量 68,000의 당단백으로서 작은 分子 vitamin인 biotin과 結合하는 特性이 뛰어나고, biotin은 면역글로브린 또는 과산화효소와 共有結合을 하면 avidin 과 結合할수있게 된다. 通常的 ABC 染色法은 비표지의 avidin과 과산화효소 표지의 biotin 으로 이루어진 複合體를 만들어 抗原과 結合한 biotin labeled antibody와 反應시키는 방법으로서 PAP(peroxidase anti peroxidase complex) 방법이나 IBRAB(indirect bridged avidin biotin)방법 보다 反應時間이 짧고 結合力이 强하며 染色의 强度가 현저하게 높아서 널리 쓰여왔는데(Hsu et al., 1981), 본 硏究에서는 그 보다 앞선 strept- avidin으로 표지를 하는 LSAB(labeled streptavidin biotin) 方法을 채택하였으며 이 방법은 ABC染色法에 비해서 보다 時間이 節約되고, 背景染色을 줄이는 것은 물론 쥐나 토끼 의 一次抗體에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더욱 感度가 높은 특징이 있다. 免疫組織化學染色에 의한 胃癌組織에서의 c-erbB-2 蛋白質 過發現 陽性率은 9%(Hilton & West, 1992), 17%(Ninomiya et al., 1990), 19%(Takamura et al., 1993), 49%(Toyoshima & Akiyama, 1992), 70%(Kameda et al., 1990) 등 多樣하며, 이것은 染色方法과 判讀에서 오는 差異로 생각되나 染色이 弱하게 되는 경우를 陰性으로 간주할 경우 대체로 胃癌에서는 10% 내지 20% 前後에서 發現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lton & West, 1992). 이것은 胃癌에서의 癌遺傳子 c-erbB-2의 增幅率과 비슷한 數値로서 細胞膜染色 만이 癌遺傳子의 增幅을 나타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Yokota et al., 1986; Park et al., 1989). 本 硏究에서는 c-erbB-2 蛋白質의 過發現은 152예중 9.2%인 14예에서만 陽性으로 나타났다. 한편 Kameda et al.(1990)은 未分化 胃癌에서 mRNA 레벨에서는 c-erbB-2가 發現되나 細胞膜에서는 發現이 안되는 症例가 있는 것으로 보아서 未分化癌은 細胞膜보다는 細胞質內에서 c-erbB-2 蛋白質이 强하게 發現될 可能性이 있다고 主張하였는데, 著者는 細胞膜染色에 한해서 陽性으로 인정하는 一般的인 기준을 택했다. c-erbB-2 단백질은 침윤심도와 림프절전이 등이 진행할수록 발현 양성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고, 대부분의 림상병리학적 특성과 련관이 없었으나 유일하게 종양의 크기가 직경 5cm보다 작은 3기위암에서 발현율이 높게 나타나서, 3기위암의 초기단계에 암유전자 c-erbB-2의 transformation이 활발함을 알수있었다. 그러나 Kaetsu(1992)는 c-erbB-2 단백질 과발현이 종양의 크기가 직경 4cm 이하일 경우에 발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한 반면에, Ninomiya et al.(1990)은 오히려 직경 6cm 이상일 경우에 발현율이 높다고 하는 등 보고가 다양한 만큼 해석에도 어려움이 많다.
참고문헌
민영일 / 위암의 병인 및 역학, 대한내과학회, 1998
박현아 외 2명 / 위암 선별검사, 대한가정의학회, 2000
이혁준 외 1명 / 위암 수술의 질 관리, 대한위암학회, 2005
이현정 외 3명 / 건강검진을 통해 진단된 위암의 임상양상, 대한내과학회, 2008
이동숙 / 위암발병 예측모형, 대한종양간호학회, 2008
홍영선 외 1명 / 위암의 선행화학 요법, 대한위암학회, 2005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2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639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