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역사
3. 물리 (Physics)
4. 간섭전류의 효과
5. 적응증 (Indications)
6. 금기증 (Contraindications)
7. 치료방법
8. 위험 및 주의
2. 역사
3. 물리 (Physics)
4. 간섭전류의 효과
5. 적응증 (Indications)
6. 금기증 (Contraindications)
7. 치료방법
8. 위험 및 주의
본문내용
으로 환부를 가로지르는 횡배치를 할 수 있다 ( 12-32).
- 균형조절스위치 (balance control)를 작동하거나 전극을 대고 움직이면서 전기자극을 잘 느끼는 지점을 찾아내어 정확하게 환부를 자극할 수 있다.
- 횡배치는 상당히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으며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을 효과적 으로 치료할 수 있다.
- 병변부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치료부위가 매우 넓을 때에는 자동백터주사 (automatic vector scan) 방법을 사용한다.
4. 용량
1) 강도
- 간섭전류의 치료강도 범위는 4-50 mA이다.
- 치료강도는 환자의 주관적 감각과 개인의 전류에 대한 내성에 따라 결정하며 치료목 적, 질환의 경과, 진폭변조주파수 등 자극조건에 따라 결정한다.
- 고정파는 찌릿한감각 (tingling sensation), 율동파는 떨림감각 (vibrating sensation) - 일반적으로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감각이 편안한 정도의 강도를 선택하며 불쾌 한 감각을 느낄정도의 강도는 피하도록 한다.
- 100 Hz 고정파, 90-100 Hz 율동파등 고빈도 자극 때에는 높은 강도로 자극하고, 0-10 Hz의 저빈도 자극 때에는 중간강도로 자극한다.
- 만성질환은 높은 강도로 자극하고, 급성질환은 쉽게 불편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낮은 강도로 자극한다.
표 12-3. 강도의 분류와 특징
구 분 특 징
낮은 강도 (low dose) 감각을 겨우 느끼는 낮은 강도
중간 강도 (medium dose) 편안한 따끔한 감각을 느끼는 강도
높은 강도 (high dose) 따끔한 감각이 강하지만 결딜 수 있는 강도
매우 높은강도 (very high dose) 불쾌감을 느끼고 견디기 어려운 매우 높은 강도
2) 진폭변조주파수 (AMF)의 선택
표 12-4. 진폭변조주파수의 선택과 강도
높은 진폭변조주파수 낮은 진폭변조주파수
AMF 75-150 Hz 50-25 Hz 이하
치료용량 저강도 고강도
효과 급성질환, 심한 통증 아급성 및 만성질환, 근수축
3) 고정파와 율동파의 선택
- 고정파 (constant current)는 진폭변조주파수를 고정한 상태
- 율동파 (rhythmic current)는 진폭변조주파수를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기적으로 변 조시킨 것이다.
- 지속적인 연속파로 자극하면 순응현상이 일어나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순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폭변조주파수를 1-10, 1-100, 90-100 Hz 등으로 변조시켜 치료하기도 한다.
- De Domenico (1981)는 통증치료의 경우 진폭변조주파수 100 Hz의 연속파보다 80-100 Hz의 율동파로 자극하는 것이 진통유발이 잘되고 오래 지속된다고 하였다.
4) 치료시간
- 경혈을 자극할 때는 경혈마다 3-5분씩 자극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60-90분까지도 치료하는 등 치료방법, 질환 및 치료목적에 따라 다르다.
- 일반적으로 판전극 및 패드전극을 사용할때 치료시간은 10-20분, 흡인전극을 사용할 때는 6-8분 정도가 적당하다.
5) 치료빈도
- 낮은 강도로 치료할 때에는 치료시간은 짧게하고 1일 수회씩 치료할 수 있고, 높은 강도로 치료할 때에는 주당 3-4회 정도 치료한다.
- 처음에는 1주당 5회씩 치료하다가 경과가 좋아지면 격일제로 치료하고, 증상이 더 호 전되면 3일간격으로 치료한다.
6) 치료목적에 따른 용량
- 급성기에는 강도는 낮게 치료시간은 짧게
- 아급성 및 만성기에는 높은 강도로 치료시간을 길게 한다.
7) 치료목적에 따른 치료조건(표 12-5)
8. 위험 및 주의
1. 화상
- 간섭전류는 전기분해작용이 없어 강한 강도로 자극해도 화상의 위험이 거의 없으나 장시간 자극하면 화상이 생길 수 도 있다.
2. 혈종
- 흡인전극을 장시간, 높은 강도로 사용했을 때 혈종이 생길 수 있으나 대개는 바로 없어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3. 회로의 불균형
- 전극위치의 잘못됐거나 회로 균형이 불량하거나 주파수를 바르게 선택하지 않았을 때에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4. 쇼크
- 간섭전류치료중 단파 및 극초단파심부투열기를 작동하면 갑작스럽게 전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6m 이상 거리를 두던가 또는 서로 다른 방에서 치료기를 사용.
1. 정의
2. 역사
3. 물리 (Physics)
4. 간섭전류의 효과
5. 적응증 (Indications)
6. 금기증 (Contraindications)
7. 치료방법
8. 위험 및 주의
- 균형조절스위치 (balance control)를 작동하거나 전극을 대고 움직이면서 전기자극을 잘 느끼는 지점을 찾아내어 정확하게 환부를 자극할 수 있다.
- 횡배치는 상당히 넓은 부위를 치료할 수 있으며 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질환을 효과적 으로 치료할 수 있다.
- 병변부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치료부위가 매우 넓을 때에는 자동백터주사 (automatic vector scan) 방법을 사용한다.
4. 용량
1) 강도
- 간섭전류의 치료강도 범위는 4-50 mA이다.
- 치료강도는 환자의 주관적 감각과 개인의 전류에 대한 내성에 따라 결정하며 치료목 적, 질환의 경과, 진폭변조주파수 등 자극조건에 따라 결정한다.
- 고정파는 찌릿한감각 (tingling sensation), 율동파는 떨림감각 (vibrating sensation) - 일반적으로는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감각이 편안한 정도의 강도를 선택하며 불쾌 한 감각을 느낄정도의 강도는 피하도록 한다.
- 100 Hz 고정파, 90-100 Hz 율동파등 고빈도 자극 때에는 높은 강도로 자극하고, 0-10 Hz의 저빈도 자극 때에는 중간강도로 자극한다.
- 만성질환은 높은 강도로 자극하고, 급성질환은 쉽게 불편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낮은 강도로 자극한다.
표 12-3. 강도의 분류와 특징
구 분 특 징
낮은 강도 (low dose) 감각을 겨우 느끼는 낮은 강도
중간 강도 (medium dose) 편안한 따끔한 감각을 느끼는 강도
높은 강도 (high dose) 따끔한 감각이 강하지만 결딜 수 있는 강도
매우 높은강도 (very high dose) 불쾌감을 느끼고 견디기 어려운 매우 높은 강도
2) 진폭변조주파수 (AMF)의 선택
표 12-4. 진폭변조주파수의 선택과 강도
높은 진폭변조주파수 낮은 진폭변조주파수
AMF 75-150 Hz 50-25 Hz 이하
치료용량 저강도 고강도
효과 급성질환, 심한 통증 아급성 및 만성질환, 근수축
3) 고정파와 율동파의 선택
- 고정파 (constant current)는 진폭변조주파수를 고정한 상태
- 율동파 (rhythmic current)는 진폭변조주파수를 일정한 범위 안에서 주기적으로 변 조시킨 것이다.
- 지속적인 연속파로 자극하면 순응현상이 일어나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순응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폭변조주파수를 1-10, 1-100, 90-100 Hz 등으로 변조시켜 치료하기도 한다.
- De Domenico (1981)는 통증치료의 경우 진폭변조주파수 100 Hz의 연속파보다 80-100 Hz의 율동파로 자극하는 것이 진통유발이 잘되고 오래 지속된다고 하였다.
4) 치료시간
- 경혈을 자극할 때는 경혈마다 3-5분씩 자극하며, 특수한 경우에는 60-90분까지도 치료하는 등 치료방법, 질환 및 치료목적에 따라 다르다.
- 일반적으로 판전극 및 패드전극을 사용할때 치료시간은 10-20분, 흡인전극을 사용할 때는 6-8분 정도가 적당하다.
5) 치료빈도
- 낮은 강도로 치료할 때에는 치료시간은 짧게하고 1일 수회씩 치료할 수 있고, 높은 강도로 치료할 때에는 주당 3-4회 정도 치료한다.
- 처음에는 1주당 5회씩 치료하다가 경과가 좋아지면 격일제로 치료하고, 증상이 더 호 전되면 3일간격으로 치료한다.
6) 치료목적에 따른 용량
- 급성기에는 강도는 낮게 치료시간은 짧게
- 아급성 및 만성기에는 높은 강도로 치료시간을 길게 한다.
7) 치료목적에 따른 치료조건(표 12-5)
8. 위험 및 주의
1. 화상
- 간섭전류는 전기분해작용이 없어 강한 강도로 자극해도 화상의 위험이 거의 없으나 장시간 자극하면 화상이 생길 수 도 있다.
2. 혈종
- 흡인전극을 장시간, 높은 강도로 사용했을 때 혈종이 생길 수 있으나 대개는 바로 없어지기 때문에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3. 회로의 불균형
- 전극위치의 잘못됐거나 회로 균형이 불량하거나 주파수를 바르게 선택하지 않았을 때에는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4. 쇼크
- 간섭전류치료중 단파 및 극초단파심부투열기를 작동하면 갑작스럽게 전류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6m 이상 거리를 두던가 또는 서로 다른 방에서 치료기를 사용.
1. 정의
2. 역사
3. 물리 (Physics)
4. 간섭전류의 효과
5. 적응증 (Indications)
6. 금기증 (Contraindications)
7. 치료방법
8. 위험 및 주의
추천자료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이 복지사·클라이언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보화시대의 교육공학의 특징과 교사의 중요성
정보통신윤리에 대한 고찰과 정보사회에서 야기되는 문제사례
구조적 가족치료
[물류정보] 정보관리와 물류정보시스템(RFID, EDI, ECR, VMI)
2009년 1학기 정보통신망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wi-fi와이파이 확대와 스마트폰 발달이 통신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데이터 트래픽 최...
[미국 교육정보화]미국 교육정보화의 목표, 미국 교육정보화의 현황, 미국 교육정보화의 추진...
[통일교육][인터넷세대통일교육][지역통일교육][통일대비교육]사이버통일교육센터, 통일문화...
[영국][교육제도][자국어교육][정보공학 교육과정][열린교육][진로교육][교사교육]영국의 교...
[컴퓨터바이러스]컴퓨터바이러스의 개념, 종류, 컴퓨터바이러스의 약력, 증상, 컴퓨터바이러...
[기술거래][기술거래 유형][기술거래 의의][기술거래 유의사항]기술거래의 유형, 기술거래의 ...
[시민사회][시민]시민사회의 개념, 시민사회의 성장배경, 시민사회의 역기능, 시민사회의 자...
2015년 2학기 IT와경영정보시스템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