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희 시인 연구 비평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기독교적 세계관
2.2 고정희의 시속에 드러난 민중문학
2.3 고정희의 시속에 드러난 여성해방

3. 결론- 고정희의 시가 가지는 의미와 한계점

본문내용

해 시를 쓰고 싶다고 한 그녀가 여성의 해방을 위해 얼마나 많은 노력을 했는지 알 수 있다. 고정희의 시로 인해서 우리는 1980년대의 가부장 중심적인 여성 억압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으며, 여성 해방이 갖는 중요한 의미를 알 수 있다. 특히나 여성의 해방을 적극적으로 노래하고 갈망한 고정희의 시를 통해서 80년대 여성 운동사를 읽을 수 있는데, 이는 대표적인 여성 해방 문학의 선구자라 할 수 있는 고정희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나 고정희는 단순하게 여성 해방을 노래한 것이 아니라 여성 억압의 원인이나 그 대안 방법을 직접적으로 제시하는 등 누구보다 발로 뛰는 여성 문학을 했다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여성 문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 고정희 이기에 이후 등장한 혹은 등장할 많은 여성 문학가들에게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고정희의 문학을 살피다 보면 80년대의 민중과 여성에 관한 문학과 그 내면에 포진된 의미들을 포괄적이고 세심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기에 고정희가 문단에서 갖는 의미는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고정희의 시세계와 독특한 기독교적 시세계가 맞물려 많은 복합적이고 다양한 시세계가 역사와 민중 그리고 시대와 맞물려 나갔다는 문단의 평가도 받아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고정희를 비롯한 많은 여성 시인들이 적극적으로 동인지 등에 참여한 것도 여성에 대한 그동안의 고정된 이미지 를 탈피하는데 많은 이바지를 했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적극적인 활동으로 인해 고정희가 여성을 한 인간으로 살피게 된 중요한 시발점이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이야기 할 수 있겠다.
반면에 고정희가 갖고 있는 한계점을 생각해 보겠다. 고정희는 여성 주의적 문학을 많이 발표하기 이전에 시로써 사회적 참여를 많이 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표적인 민중 시인들에게서 세대교체가 되면서 전문 문인들에 의해서 좀 더 피부로 와닿는 참다운 민중을 위한 시라고 할 수 없다는 지적이 많다. 이는 실제 민중보다도 일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지식층에게 훨씬 더 이해가 쉽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한계점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여성 해방 시를 쓴 고정희의 한계점을 살펴보자면, 고정희의 해방시는 지나치게 급진주의 여성해방의 유형으로 기울어져 있다는데 있다. 시를 통해 아직은 깊게 뿌리 내리지 못한 여성 문학을 인간 해방의 차원으로 끌어 올리고 넓혀 가는데 선구자적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지나치게 한쪽으로 치우쳐 지나온 여성적 삶이나, 현재의 여성적 삶 자체를 치욕적으로만 보고 있는 점을 들 수 있겠다.
참고 자료
정영자,『한국 여성시인 연구』, 평민사, 1996
손광은 외 지음,『우리시대의 시인연구』,도서출판 시와 사람, 2001
三人行편집부 엮음,『우리시대 요절시인 : 요절시인 추모집』, 三人行 , 1991
고정희, 『이 시대의 아벨』, 문학과 지성사, 1997
조형외 엮음,『너의 침묵에 메마른 나의 입술』, 서울: 또 하나의 문화, 1933

키워드

고정희,   시인,   연구,   여성시인,   비평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1.06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70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