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환경과 인간 관계에 대한 이론 정립
2)자연 환경과 인간의 관계
3)주변 생활 환경과 인간의 관계
4)지정학적 환경과 인간(국가)의 관계
(ⅲ)결론
(ⅱ)본론
1)환경과 인간 관계에 대한 이론 정립
2)자연 환경과 인간의 관계
3)주변 생활 환경과 인간의 관계
4)지정학적 환경과 인간(국가)의 관계
(ⅲ)결론
본문내용
만 현재 미국이 서남아시아에 공을 들이는 이유와 같다
1979년, 소련의 2개 기갑군단은 쿠빌라이 지역에서 유럽을 진격할 시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소련은 이 진격작전을 감행하기 전에 10년간 몽고군의 전술과 전략을 연구하여 같은 해에 드디어 실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소련의 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된다. 그러나 지정학적 요건을 이용한 작전 중에서는 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다시 우리나라와 지정학적 위치의 상관관계로 돌아가서 보면,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중국이나 소련)과 해양세력(미국)이 전쟁을 하면 한반도는 전선이 될 것이고, 대륙세력과 대륙세력간(중국과 소련) 전쟁 시, 한반도는 피할 수도 없이 전략적 요충지가 되어 서로 먼저 쟁취하려는 절박한 싸움 가운데 있어야만 하는 현실이다
1969년 3월 중국 우수리강 진보도사건(중국과 소련 간의 작은 국경분쟁)이 일어났을때 소련외상이 제일 먼저 찾아간 곳은 독일이었다. 그는 ‘지금 머나먼 극동에서 황인종의 난리(몽고의 침입으로 비유)가 일어났다. 그러므로 우리 서로 동맹하여 (즉 유럽전선안정을 구축하자는 말이다)황인종 난리를 진압하자’는 외교적 협상을 하였는데 이때 한말이 유명한 황화론(黃禍論) 즉 황인종의 난리이다. (외교용어로 Yellow Peril 이라고 한다) 이때 독일이 한국에 특사를 파견하여 한독 우호 조약 등을 맺기도 했다. 이것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을 때의 한반도이기 때문에 일어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다. (황화론 출처: ‘한반도의 지정학,외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네이버 지식iN)
이와 같이, 여러 상황과 근거를 들어보았을 때, 이 지정학적 측면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중요성은 냉전 체제 시에 아주 중요한 국제적 현안이고 가장 전쟁 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그러나 냉전이 끝나고 미국에 의한 세계평화(Pax Americana)가 선도되자 이 지역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은 그 가치가 폭락하였다. 그래서 미국이 작전권을 내주고 미군을 철수시키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이다. 서남아시아로 이동 중인 것인 권력 때문만이 아니다. 가치가 서남아시아로 이동 중에 있다(Worth Shift). 이것이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 재배치 재구상이다.
(ⅲ) 결론
큰 범주로 잘라서, 자연환경과 인간의 관계, 주변 생활환경과 인간의 관계, 지정학적 환경과 인간의 관계로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물론, 이러한 여러 의미의 환경들 또한 인간의 의지나 행동이 어떠하냐에 따라서 변화해간다. 인간 또한 자연환경을 자기 임의대로 이용하고 파괴하기도 하며, 자신의 의지를 굳건히 하여 주변 상황을 바꿔서 개척해 나가기도 한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정책 따위를 밀어붙여서 주변 상황이나 분위기를 거스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따지자면, 인간의 의지나 행동을 만드는 것 자체에 환경의 영향이 더해진다. 처음부터 인간만 덩그러니 있다면 그 인간은 무언가 주변에 변화를 줄 수 없다. 분명 그 인간이나 그 무리들 주위에, 그에게 영향을 끼칠 만한 어떤 환경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작은 범위로 인간은, 자신의 인생 평생 동안 주변 환경과 얽매여서 살아가게 된다.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이나 환경이 어떤가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가치관 등이 형성되기 쉽다. 큰 범위로 인간은, 국가 같은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면서도 자연환경이나 주변 사회적 분위기, 지정학적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그에 맞춰 가면서 유지해나가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명확하게 일방적으로 환경이 인간을 지배한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이러한 대체적인 경우를 봤을 때, 환경이 인간을 지배하는 경향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1979년, 소련의 2개 기갑군단은 쿠빌라이 지역에서 유럽을 진격할 시기만을 기다리고 있었다. 소련은 이 진격작전을 감행하기 전에 10년간 몽고군의 전술과 전략을 연구하여 같은 해에 드디어 실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소련의 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된다. 그러나 지정학적 요건을 이용한 작전 중에서는 상당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다시 우리나라와 지정학적 위치의 상관관계로 돌아가서 보면, 지정학적으로. 대륙세력(중국이나 소련)과 해양세력(미국)이 전쟁을 하면 한반도는 전선이 될 것이고, 대륙세력과 대륙세력간(중국과 소련) 전쟁 시, 한반도는 피할 수도 없이 전략적 요충지가 되어 서로 먼저 쟁취하려는 절박한 싸움 가운데 있어야만 하는 현실이다
1969년 3월 중국 우수리강 진보도사건(중국과 소련 간의 작은 국경분쟁)이 일어났을때 소련외상이 제일 먼저 찾아간 곳은 독일이었다. 그는 ‘지금 머나먼 극동에서 황인종의 난리(몽고의 침입으로 비유)가 일어났다. 그러므로 우리 서로 동맹하여 (즉 유럽전선안정을 구축하자는 말이다)황인종 난리를 진압하자’는 외교적 협상을 하였는데 이때 한말이 유명한 황화론(黃禍論) 즉 황인종의 난리이다. (외교용어로 Yellow Peril 이라고 한다) 이때 독일이 한국에 특사를 파견하여 한독 우호 조약 등을 맺기도 했다. 이것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그 진가를 발휘하고 있을 때의 한반도이기 때문에 일어난 상황이라고도 볼 수 있다. (황화론 출처: ‘한반도의 지정학,외교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 네이버 지식iN)
이와 같이, 여러 상황과 근거를 들어보았을 때, 이 지정학적 측면에서 한반도와 동북아의 중요성은 냉전 체제 시에 아주 중요한 국제적 현안이고 가장 전쟁 발발가능성이 높은 지역이었다.
그러나 냉전이 끝나고 미국에 의한 세계평화(Pax Americana)가 선도되자 이 지역에 대한 전략적 중요성은 그 가치가 폭락하였다. 그래서 미국이 작전권을 내주고 미군을 철수시키겠다는 전략을 세운 것이다. 서남아시아로 이동 중인 것인 권력 때문만이 아니다. 가치가 서남아시아로 이동 중에 있다(Worth Shift). 이것이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 재배치 재구상이다.
(ⅲ) 결론
큰 범주로 잘라서, 자연환경과 인간의 관계, 주변 생활환경과 인간의 관계, 지정학적 환경과 인간의 관계로 나누어서 알아보았다. 물론, 이러한 여러 의미의 환경들 또한 인간의 의지나 행동이 어떠하냐에 따라서 변화해간다. 인간 또한 자연환경을 자기 임의대로 이용하고 파괴하기도 하며, 자신의 의지를 굳건히 하여 주변 상황을 바꿔서 개척해 나가기도 한다. 그리고 국가적 차원에서도 정책 따위를 밀어붙여서 주변 상황이나 분위기를 거스르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본질적으로 따지자면, 인간의 의지나 행동을 만드는 것 자체에 환경의 영향이 더해진다. 처음부터 인간만 덩그러니 있다면 그 인간은 무언가 주변에 변화를 줄 수 없다. 분명 그 인간이나 그 무리들 주위에, 그에게 영향을 끼칠 만한 어떤 환경요소가 있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작은 범위로 인간은, 자신의 인생 평생 동안 주변 환경과 얽매여서 살아가게 된다. 그 사람이 처한 상황이나 환경이 어떤가에 따라, 그 사람의 성격이나 가치관 등이 형성되기 쉽다. 큰 범위로 인간은, 국가 같은 집단을 이루어 생활하면서도 자연환경이나 주변 사회적 분위기, 지정학적 요소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그에 맞춰 가면서 유지해나가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명확하게 일방적으로 환경이 인간을 지배한다고 결론지을 수는 없지만, 이러한 대체적인 경우를 봤을 때, 환경이 인간을 지배하는 경향이 더 많다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냉전 (the cold war) - 1945~1990년까지의 국제정치
[국제정치학]9.11 테러이후 미일동맹의 변천과정과 향후전망
지구화 시대의 국제정치경제
투르크메니스탄의 에너지와 국제정치
다국적 기업과 국제정치경제
[대북정책][대북정책 함의][대북정책 상호주의적 관계][대북정책 전망]대북정책의 목표, 대북...
지구화(글로벌화, 세계화)와 국가안보 및 국제정치, 지구화(글로벌화, 세계화)와 경제발전 및...
1945년 ~ 1960년까지 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의 변화
1945년부터 1960년 사이의 동북아시아 국제정치변화
1945년부터 1960년까지 동북아시아 국제정치의 변화
21세기 국제정치와 남북관계의 이해
[권리][권리 정의][권리 특징][권리 의의][권리 본질][권리 정치이론][권리 국가보안법][정치...
동아시아 자유무역지대의 국제정치와 한국
환경문제와 국제정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