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관 찰
1. 관찰의 의의
2. 관찰의 장단점
3. 관찰의 종류
1) 참여정도에 따른 분류
(1)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2) 비참여관찰(Non-participant Observation)
(3) 준참여관찰(Qusai-participant Observation)
2) 절차의 조직성에 따른 분류
(1) 비조직적 관찰(Unstructured Observation)
(2) 조직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
4. 관찰의 절차(관찰조사 시 고려사항)
1) 비조직적 관찰
2) 조직적 관찰
1. 관찰의 의의
2. 관찰의 장단점
3. 관찰의 종류
1) 참여정도에 따른 분류
(1) 참여관찰(Participant Observation)
(2) 비참여관찰(Non-participant Observation)
(3) 준참여관찰(Qusai-participant Observation)
2) 절차의 조직성에 따른 분류
(1) 비조직적 관찰(Unstructured Observation)
(2) 조직적 관찰(Structured Observation)
4. 관찰의 절차(관찰조사 시 고려사항)
1) 비조직적 관찰
2) 조직적 관찰
본문내용
것의 해석을 명백히 구분하여 기록함으로써 해석의 편견 개입 여부를 검토해 볼 수 있다.
④ 같은 형태라든가 유사한 형태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로 기록 및 평가하도록 한다.
2) 조직적 관찰
(1) 관찰자와 피관찰자와의 관계
① 조직적 관찰은 대개 비참여 관찰이며, 자신의 정체를 밝히지 않는 것이 좋다.
② 자신이 관찰자라는 것을 밝힌 경우에도 관찰자는 자기가 관찰하는 사항에 가능한 영 향을 주지 않도록 피관찰자에게 중립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2) 관찰내용
- 조직적 관찰은 관찰하려고 하는 목적에 맞는 분석기초가 될 질문문항이 정해져 있어 이에 따라 관찰하고 기록하면 된다.
(3) 관찰기록
- 관찰표에 나열되어 있는 질문문항에 따라 관찰한 행위를 부호로 기록
(4) 관찰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방법
① 관찰자의 훈련이 필요하다.
② 질문문항이 정확하게 기록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③ 동일한 관찰대상이라도 관찰시간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내용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④ 때때로 녹음기 등을 통해 같은 사실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의 사 용은 윤리적, 법적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 한다.
④ 같은 형태라든가 유사한 형태에 대하여는 동일한 용어로 기록 및 평가하도록 한다.
2) 조직적 관찰
(1) 관찰자와 피관찰자와의 관계
① 조직적 관찰은 대개 비참여 관찰이며, 자신의 정체를 밝히지 않는 것이 좋다.
② 자신이 관찰자라는 것을 밝힌 경우에도 관찰자는 자기가 관찰하는 사항에 가능한 영 향을 주지 않도록 피관찰자에게 중립적인 태도를 취해야 한다.
(2) 관찰내용
- 조직적 관찰은 관찰하려고 하는 목적에 맞는 분석기초가 될 질문문항이 정해져 있어 이에 따라 관찰하고 기록하면 된다.
(3) 관찰기록
- 관찰표에 나열되어 있는 질문문항에 따라 관찰한 행위를 부호로 기록
(4) 관찰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높이는 방법
① 관찰자의 훈련이 필요하다.
② 질문문항이 정확하게 기록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한다.
③ 동일한 관찰대상이라도 관찰시간이 달라짐에 따라 다른 내용으로 취급될 가능성이 있 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④ 때때로 녹음기 등을 통해 같은 사실을 기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구의 사 용은 윤리적, 법적 문제가 따를 수 있으므로 신중을 기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기강판 미세 조직 관찰
2012년 1학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4년 1학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4년 1학기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유아과학교육의 평가방법인 관찰, 수행평가, 포트폴리오 평가가 어떤 점에서 과정중심의 평가...
2015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아동관찰및행동연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