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딥 포커스 기법 : 깊이와 입체감
1) 극적 사실감 보존
2) 깊이와 입체감
3) 관객이 보고싶은 것을 선택
3. 결론
2. 본론 딥 포커스 기법 : 깊이와 입체감
1) 극적 사실감 보존
2) 깊이와 입체감
3) 관객이 보고싶은 것을 선택
3. 결론
본문내용
흐름에 맞추기 위한 소품으로 쓰인 것들은 인위적인 병실이나 램프, 그림, 창문틀(아치형), 군밤(겨울의 시간적 배경을 나타냄) 등이 있다. 두 사람의 사랑의 변화를 미장센으로 독특하게 나타낸 것도 보기 좋은 예이다. 대사가 아닌 이미지와 배경을 통해 줄거리의 흐름과 느낌을 나타내주는 이 영화는 카메라는 움직이지 않지만 그 구도 내에서 대상물을 움직이는 기법을 사용한 것이다. 또한 이명세 감독의 소박함을 볼 수 있는 배경으로는 철가의 주택이나 자장면, 뒷골목, 판자촌, 창고 등이 있다. 또한 조명은 노란색을 많이 사용하여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따뜻하게 조성한다.
3. 결론
50년대 프랑스 누벨바그 감독들이 미장센에 몰두 했다. 미장센을 통해 감독들은, 감독을 작가의 수준을 끌어 올렸다. 일반적으로 그동안의 감독들은 기술적인 감독을 의미했지만 미장센은 평면적인 구도와 미술적인 구도의 감각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미장센을 표현도구로 사용하는 감독은 예술적인 감독으로 인정받게 된다.
미장센은 극적 맥락이 필요한 적절한 공간을 만드는 초보적인 역할부터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까지 책임진다. 미장센은 '공간과 시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3. 결론
50년대 프랑스 누벨바그 감독들이 미장센에 몰두 했다. 미장센을 통해 감독들은, 감독을 작가의 수준을 끌어 올렸다. 일반적으로 그동안의 감독들은 기술적인 감독을 의미했지만 미장센은 평면적인 구도와 미술적인 구도의 감각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미장센을 표현도구로 사용하는 감독은 예술적인 감독으로 인정받게 된다.
미장센은 극적 맥락이 필요한 적절한 공간을 만드는 초보적인 역할부터 극적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이미지를 창조하는 것까지 책임진다. 미장센은 '공간과 시간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