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머리말
2. 한국 무용의 발생과 기원
3. 발레의 발생과 기원
4. 허튼춤 (한국 무용)
5. 발레 (서양 무용)
6. 한국 무용의 특성
7. 현대 발레의 특성
8.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특성 비교
9. 맺음말
<참고문헌>
1. 머리말
2. 한국 무용의 발생과 기원
3. 발레의 발생과 기원
4. 허튼춤 (한국 무용)
5. 발레 (서양 무용)
6. 한국 무용의 특성
7. 현대 발레의 특성
8.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특성 비교
9.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내면을 강조
외면을 강조(기교)
호흡의 주기가
기본 박자
심장박동의 템포가
기본 박자
곡선과 자연스러움
직선과 도약
정적표현적
동적형식미
한국 무용
서양 무용
상반신과 하반신을 적절히 사용
하반신을 주로 사용
자연적인 춤
(인간과 자연 조화)
인위적인 춤
(인간과 자연 대립)
이동보다는 제자리걸음 형태
(교감중시)
전진과 이동성이 강함
조화와 통일감
주위 공간분석, 지식 체계화
춤의 예측 가능
(선적인 흐름 강조)
춤의 예측 불가능
(진행 방향 예측 불가)
각자의 개성적인
스타일 중시
체계적인 방법론 강구
동적정적인 것이 공존
동적정적인 것이 분리
몸놀림이 자연스러움
몸놀림이 인위적, 합리적 형식
9. 맺음말
이상으로써 한국 무용과 서양무용의 발생과 기원 및 특성을 조사하였습니다.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공통점으로는 종교무용에서는 연극적 형식을 빌리고, 즐기기 보다는 표현하는 정신을 강조한 것은 어느 지역의 무용이나 공통점을 갖습니다.
하지만 차이점 또한 무수히 많으므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첫째 한국 무용은 공동체의 참여 정신에 중심을 두지만, 서양 무용은 개인 중심입니다. 둘째 한국 무용은 내면을 강조하지만, 서양무용은 외면을 강조하며 기교를 중시합니다. 셋째 한국 무용은 호흡의 주기가 기본 박자가 되지만, 서양 무용은 심장 박동의 템포가 기본 박자가 됩니다. 넷째 한국 무용은 곡선과 자연스러움, 정적표현적이지만, 서양 무용은 직선과 도약, 동적형식미를 강조합니다. 다섯째 한국 무용은 상반신과 하반신을 적절히 사용하지만, 서양 무용은 하반신을 주로 사용합니다. 여섯째 한국 무용은 자연적인 춤(인간과 자연이 공존)을 서양 무용은 인위적인 춤(인간과 자연이 대립)을 춥니다. 일곱째 한국 무용은 이동보다는 제자리걸음 형태를 유지하지만, 서양 무용은 전진과 이동성이 강합니다. 여덟째 한국 무용은 조화와 통일감을, 서양 무용은 주위 공간분석과 지식 체계화를 강조합니다. 아홉째 한국 무용은 춤이 예측가능 하며 선적인 흐름을 강조하지만, 서양 무용은 춤이 예측가능하지 못합니다. 열째 한국 무용은 몸놀림이 자연스럽고 동적정적인 것이 공존하지만, 서양무용은 몸놀림이 인위적이고 동적정적인 것이 분리 되어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은 특징을 비교분석하면서 본 필자는 무용의 특징과 형태, 정신과 몸놀림을 중심으로 레포트를 작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장단점을 알아내기만 하는데 급급하지 말고 서로의 장단점을 잘 발달시키고 조화시켜 무용의 전체적인 발달을 추구할 수 있도록 무용가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도 많은 관심이 가지면 무용이 발달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김혜정외1명(2003).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정병호(2004).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김말복(2004). 무용 예술의 이해, 이화여대출판부.
이병옥(1998). 무용의 이해, 도서출판 노리.
오화진(1987). 무용문화사, 금광.
김말복(2003). 무용의 이해, 예전사.
김매자(1995). 한국무용사, 대원사
외면을 강조(기교)
호흡의 주기가
기본 박자
심장박동의 템포가
기본 박자
곡선과 자연스러움
직선과 도약
정적표현적
동적형식미
한국 무용
서양 무용
상반신과 하반신을 적절히 사용
하반신을 주로 사용
자연적인 춤
(인간과 자연 조화)
인위적인 춤
(인간과 자연 대립)
이동보다는 제자리걸음 형태
(교감중시)
전진과 이동성이 강함
조화와 통일감
주위 공간분석, 지식 체계화
춤의 예측 가능
(선적인 흐름 강조)
춤의 예측 불가능
(진행 방향 예측 불가)
각자의 개성적인
스타일 중시
체계적인 방법론 강구
동적정적인 것이 공존
동적정적인 것이 분리
몸놀림이 자연스러움
몸놀림이 인위적, 합리적 형식
9. 맺음말
이상으로써 한국 무용과 서양무용의 발생과 기원 및 특성을 조사하였습니다.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공통점으로는 종교무용에서는 연극적 형식을 빌리고, 즐기기 보다는 표현하는 정신을 강조한 것은 어느 지역의 무용이나 공통점을 갖습니다.
하지만 차이점 또한 무수히 많으므로 비교해 보겠습니다. 첫째 한국 무용은 공동체의 참여 정신에 중심을 두지만, 서양 무용은 개인 중심입니다. 둘째 한국 무용은 내면을 강조하지만, 서양무용은 외면을 강조하며 기교를 중시합니다. 셋째 한국 무용은 호흡의 주기가 기본 박자가 되지만, 서양 무용은 심장 박동의 템포가 기본 박자가 됩니다. 넷째 한국 무용은 곡선과 자연스러움, 정적표현적이지만, 서양 무용은 직선과 도약, 동적형식미를 강조합니다. 다섯째 한국 무용은 상반신과 하반신을 적절히 사용하지만, 서양 무용은 하반신을 주로 사용합니다. 여섯째 한국 무용은 자연적인 춤(인간과 자연이 공존)을 서양 무용은 인위적인 춤(인간과 자연이 대립)을 춥니다. 일곱째 한국 무용은 이동보다는 제자리걸음 형태를 유지하지만, 서양 무용은 전진과 이동성이 강합니다. 여덟째 한국 무용은 조화와 통일감을, 서양 무용은 주위 공간분석과 지식 체계화를 강조합니다. 아홉째 한국 무용은 춤이 예측가능 하며 선적인 흐름을 강조하지만, 서양 무용은 춤이 예측가능하지 못합니다. 열째 한국 무용은 몸놀림이 자연스럽고 동적정적인 것이 공존하지만, 서양무용은 몸놀림이 인위적이고 동적정적인 것이 분리 되어 있습니다.
이상과 같이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은 특징을 비교분석하면서 본 필자는 무용의 특징과 형태, 정신과 몸놀림을 중심으로 레포트를 작성하였습니다.
앞으로도 한국 무용과 서양 무용의 장단점을 알아내기만 하는데 급급하지 말고 서로의 장단점을 잘 발달시키고 조화시켜 무용의 전체적인 발달을 추구할 수 있도록 무용가들뿐만 아니라 일반인들까지도 많은 관심이 가지면 무용이 발달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김혜정외1명(2003). 한국무용사의 이해, 형설출판사.
정병호(2004). 한국무용의 미학, 집문당.
김말복(2004). 무용 예술의 이해, 이화여대출판부.
이병옥(1998). 무용의 이해, 도서출판 노리.
오화진(1987). 무용문화사, 금광.
김말복(2003). 무용의 이해, 예전사.
김매자(1995). 한국무용사, 대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