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술할 때 스승이 했던 말들을 머릿속에 담아 두었다가 그대로 적은 것인지, 아니면 훗날 자신이 어느 정도의 창작을 했던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플라톤 또한 소크라테스의 대화법을 배웠었기에 그의 어투 등을 그대로 살려서 글을 쓸 수 있었을 것 같다. 그는 매우 논리정연하게 그의 스승의 정당성과 거짓된 소문들에 대한 논리적 해명, 억울함에 대한 호소, 죽음을 선고받고도 초연한 모습, 그에게 유죄판결을 내린 사람들에 대한 비난 등을 잘 서술하였다.
소크라테스가 죽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팔라메데스>>가 상연되었는데, 극중 주인공 팔라메데스와 소크라테스의 운명이 비슷하였기에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의 죽음이 있은 후, 그의 제자였던 플라톤의 저서가 나왔을 때의 사람들의 반응 또한 같았으리라 생각한다. 플라톤은 분명 그리스의 사회에 그의 스승은 정당했고, 억울한 죽음을 당하였음을 명확히 알리고자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플라톤의 이러한 서술들이 있지 않았더라면, 소크라테스는 단지 그리스 시대의 한 철학자로 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다. 플라톤은 그리스 사회를 넘어서 먼 후대에 까지 스승의 업적을 널리 알리고 싶어 했을지도 모른다.
소크라테스가 죽은 후 얼마 지나지 않아 에우리피데스의 비극 <<팔라메데스>>가 상연되었는데, 극중 주인공 팔라메데스와 소크라테스의 운명이 비슷하였기에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그의 죽음이 있은 후, 그의 제자였던 플라톤의 저서가 나왔을 때의 사람들의 반응 또한 같았으리라 생각한다. 플라톤은 분명 그리스의 사회에 그의 스승은 정당했고, 억울한 죽음을 당하였음을 명확히 알리고자 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플라톤의 이러한 서술들이 있지 않았더라면, 소크라테스는 단지 그리스 시대의 한 철학자로 밖에 남지 않았을 것이다. 플라톤은 그리스 사회를 넘어서 먼 후대에 까지 스승의 업적을 널리 알리고 싶어 했을지도 모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