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혈흉(Hemothorax)
2. 기흉 (pneumothorax)
2. 기흉 (pneumothorax)
본문내용
잴 수가 없음.
(5) 진단
X-선 검사: 종격동 변화가 의심될 시 시행.
신체검진: 후두와 기관이 변위되었을 때 목 하부의 기관을 부드럽게 촉진하여 발견할 수 있음.
(6) 치료 및 간호
흉막강내에서 공기가 나가는 개방성 기흉으로 만들어 치료.
-간단하게 흉막강 내로 주사바늘을 찔러넣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음. 이 때 주사바늘에 끝을 절개한 finger tipdmf 묶어 flutter valve의 역할을 하게 함.
- 호기시에는 공기가 나오고 흡기시에는 쭈그러들어 밀폐되어 공기가 안 들어감.
흉곽천자를 할 수 있으면 즉시 시행.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치료법.
-고여 있던 공기가 밖으로 나오고 나면 폐는 다시 팽창함. 일단 폐가 팽창된 후 밀봉배 액 병을 장치하여 배기시킴.
-합병증으로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 투여.
밀봉배액 기구를 갖고 있는 대상자의 간호와 동일.
4) 기흉치료
기흉 환자를 치료하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은
① 늑막강 내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것, ② 재발을 방지하는 것임.
기흉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능한 방법으로는 단순관찰법, 산소공급법, 단순공기제거법, 흉관삽입법,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흉강내시경 및 개흉술 등이 있음.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기흉이 첫번째 발생 했을 때 기흉의 크기가 한쪽 흉곽의 15% 미만이라면 단순히 관찰하며 두고보아도 기흉은 저절로 흡수됨. 기흉 환자에게서 보조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면 기흉의 흡수속도가 단순히 관찰하는 것보다 빨라짐. 단순관찰법 또는 산소흡입법은 기흉이 크게 생겼을 경우에는 모두 흡수되는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사용할 수 없음.
(2) 단순공기제거법
주사기를 이용하여 늑막강 내의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흉을 빨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흉의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함.
(3) 흉관삽입법
늑막강 내로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흉관을 삽입한 그 자체만으로도 기흉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도 있음.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기흉은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현상임. 따라서 장측흉막과 벽측흉막이 들러붙어 있는 경우(흉막유착)에는 공기가 고일 공간이 없어 기흉이 재발하지 않음.
흉막유착법은 삽입된 흉관을 통해 화학약품을 늑막강내에 넣어 인위적으로 흉막유착을 일으키는 방법임.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수술을 통해 공기가 새는 폐의 구멍난 부분을 막고 기포를 제거하며 흉막유착술을 시행해 기흉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임.
<개방성 기흉, 가는 화살표는 공기의 움직임이고 굵은 화살표는 구조물의 움직임이다.>
<개방성 기흉을 드레싱 했을때 긴장성 기흉이 발생되면 곧 드레싱을 제거한다.>
참고문헌
sigma Theta Tau Lambda외. (2004). 최신임상간호메뉴얼Ⅰ(제7판). 현문사. p293~308
서문자외. (2004). 성인간호학 上Ⅱ(다섯째판). 수문사. p1217~p1222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학 상 (제4판). 현문사. p652~660
(5) 진단
X-선 검사: 종격동 변화가 의심될 시 시행.
신체검진: 후두와 기관이 변위되었을 때 목 하부의 기관을 부드럽게 촉진하여 발견할 수 있음.
(6) 치료 및 간호
흉막강내에서 공기가 나가는 개방성 기흉으로 만들어 치료.
-간단하게 흉막강 내로 주사바늘을 찔러넣어 쉽고 빠르게 할 수 있음. 이 때 주사바늘에 끝을 절개한 finger tipdmf 묶어 flutter valve의 역할을 하게 함.
- 호기시에는 공기가 나오고 흡기시에는 쭈그러들어 밀폐되어 공기가 안 들어감.
흉곽천자를 할 수 있으면 즉시 시행.
-생명을 구할 수 있는 가장 빠른 치료법.
-고여 있던 공기가 밖으로 나오고 나면 폐는 다시 팽창함. 일단 폐가 팽창된 후 밀봉배 액 병을 장치하여 배기시킴.
-합병증으로 농흉이 되기 쉬우므로 항생제 투여.
밀봉배액 기구를 갖고 있는 대상자의 간호와 동일.
4) 기흉치료
기흉 환자를 치료하는 데는 두 가지 목적은
① 늑막강 내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것, ② 재발을 방지하는 것임.
기흉의 치료에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가능한 방법으로는 단순관찰법, 산소공급법, 단순공기제거법, 흉관삽입법,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흉강내시경 및 개흉술 등이 있음.
(1)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기흉이 첫번째 발생 했을 때 기흉의 크기가 한쪽 흉곽의 15% 미만이라면 단순히 관찰하며 두고보아도 기흉은 저절로 흡수됨. 기흉 환자에게서 보조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면 기흉의 흡수속도가 단순히 관찰하는 것보다 빨라짐. 단순관찰법 또는 산소흡입법은 기흉이 크게 생겼을 경우에는 모두 흡수되는데 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사용할 수 없음.
(2) 단순공기제거법
주사기를 이용하여 늑막강 내의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흉을 빨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흉의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함.
(3) 흉관삽입법
늑막강 내로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흉관을 삽입한 그 자체만으로도 기흉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도 있음.
(4) 흉관삽입술 및 흉막유착법
기흉은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현상임. 따라서 장측흉막과 벽측흉막이 들러붙어 있는 경우(흉막유착)에는 공기가 고일 공간이 없어 기흉이 재발하지 않음.
흉막유착법은 삽입된 흉관을 통해 화학약품을 늑막강내에 넣어 인위적으로 흉막유착을 일으키는 방법임.
(5)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수술을 통해 공기가 새는 폐의 구멍난 부분을 막고 기포를 제거하며 흉막유착술을 시행해 기흉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임.
<개방성 기흉, 가는 화살표는 공기의 움직임이고 굵은 화살표는 구조물의 움직임이다.>
<개방성 기흉을 드레싱 했을때 긴장성 기흉이 발생되면 곧 드레싱을 제거한다.>
참고문헌
sigma Theta Tau Lambda외. (2004). 최신임상간호메뉴얼Ⅰ(제7판). 현문사. p293~308
서문자외. (2004). 성인간호학 上Ⅱ(다섯째판). 수문사. p1217~p1222
전시자외. (2005). 성인간호학 상 (제4판). 현문사. p652~660
추천자료
간호관리진단(간호관리학)
간호관리 실습지침서 - 근무별 주요 업무, 인사고과, 기구편제표, 간호부 표준, 간호부제위원회
간호관리 - chapter 05. 지휘기능 -리더십, 동기부여,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주장행동, 갈...
간호관리 - chapter 06. 통제 기능 -간호의 질(quality) 관리
[간호관리학] 지휘기능 : 커뮤니케이션, 주장행동, 갈등관리, 스트레스관리
[간호관리 직무분석] 간호과장의 직무분석 - 간호과장 (직무기술서+직무명세서)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 : 책임 간호사 (직...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 (직무기술서 + 직...
[간호관리 직무분석] 중환자실(ICU) 책임간호사(charge nurse)의 직무분석(직무기술서, 직무...
[전략적 간호관리학 공통] 건강관리조직이 갖는 특성, 실제로 삶의 현장에서 느끼는 스트레...
[노인간호] 노인의 약물관리 _ 노인의 약물사용 실태, 노인 약물치료의 특성, 노인에서의 약...
간호관리 케이스스터디, 프리셉터, 신규간호사 교육, 인적자원의 개발관리,비효과적 훈련방법
[간호관리학 A+] 입원관리·퇴원관리 CASE STUDY
간호관리학 - 병동단위 간호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