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해 한용운의 민족정신 실천과 전개 및 오늘날의 현실인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머리말
1) 한용운의 문학적 업적
2) 종교인으로서의 한용운
3) 독립운동가로서의 한용운

2. 한용운 민족정신의 배경

3. 한용운의 자유주의적 민족정신의 본질

4. 한용운 민족정신의 실천과 전개
1) 사회운동과 민족운동 -차이점과 일치점
2) 물산장려운동을 통한 민족정신
3) 애국 계몽운동을 통한 민족운동
(1) 소작 쟁의에 대하여
(2) 협동 조합에 대하여
4) 신간회 활동과 민족운동

5. 맺는말:오늘날의 현실인식

본문내용

할 것이 아닌 줄 압니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른 기회에 충분히 말씀할까 합니다.라고 하였다.
신간회 해소문제에 대하여 한용운의 단호한 입장을 이해할수 있을 것같다. 그리고 한용운의 <대협동기관조직의 필요와 가능성>이라는 혜성지 창간호에 실린 글에서 다음과 같이 주장하고 있다.
나는 그것에 대하여 도무지 말하고 싶지 않습니다. 더구나 신간회의 관계자니까 신간회 이외에 무슨 단체를 새로 두자고 할 수도 없고 무슨 말을 하면, 잘못하면 또 오해도 사기가 쉬운 사회이니까요. 그러면 신간회의 장래책에 대하여서라도 말씀하라구요. 그러나, 그것도 어렵습니다. 요전 4주년 기념 때에 나더러 "신간회의 과거와 장래"란 제목으로 강연을 하여 달라기에 더러 생각은 하여 보았읍니다만 강연도 중지되어 말도 못하였고, 또 무슨 의견이 있다 하여도 문자 발표까지는 아직 유예하겠습니다. 대체로 말하면 신간회는 일부에서 해소론이 일어나지만 분화는 될지언정 아주 해소는 안 될것입니다. 해소론자들이 처음에 신간회에 들어올 때에도 정책상 들어온 것이요, 해소를 주창하는 것도 또한 정책이겠지요. 하여간 앞으로 문제인 즉 퍽 복잡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한용운을 비롯한 많은 민족주의 진영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1931년 5월 16일 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에서 대의원 77명이 참석한 가운데 해소대회를 열고 해산을 결의함으로써 창립된 지 만 4년 만에 막을 내렸다. 그러나 한용운을 위시한 많은 인사들은 민족의 단합과 새로운 길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었지만 일제의 철저한 탄압과 방해 공작에 맛서 만해 한용운이 범민족적 표현단체를 건설하여 조선운동으로 이것을 승화시켜 나가야 함을 주장하였으나 끝내 새로운 결실을 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신간회 해소문제와 범민족적 표현단체 재건설 가부에 대하여 만해 한용운의 견해는 다음과 같기에 그 전문을 소개 한다.
1)신간회 해소 문제에 대하여
신간회 해소 문제는 이미 옛날 이야기 같습니다만 신간회 해소는 정당히 한 것이 아닙니다. 혹평으로 말하자면 소위 해소를 성공하였다는 일부의 그들은 착오적 이론과 어떤 충동으로 피동적으로 조선 운동을 그르친 죄과를 범한 것입니다.
2)범민족적 표현 단체 재건설 가부
표현 단체 재건설은 필연적으로 결정될 것이고 당연히 조직되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시기 문제가 있는 것이니 아직은 어려울 것입니다. 계급 운동 무슨 운동 부분적으로 필요하지마는 조선 운동이라는 것이 필요할 것입니다. 인도에 인도 운동이 있는 것과 같이.라고 하였다. 인도에는 인도 운동이 있는것과 같이 조선에 조선운동이 있어야 함을 강조한 만해 한용운의 민족정신의 실천운동은 우리 계례와 늘 함께 할 것이다.
5. 맺는말:오늘날의 현실인식
가치관 혼돈의 오늘의 현실 인식을 바탕에 둘때 근대 민족주의 정신의 원형을 확인하는 작업이야 말로 민족정신의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된다. 더우기 근대 민족주의 정신사에서 전통적인 가치관에 바탕을 둔 우리의 정신문화 유산을 살펴서 민족적인 자아확립에 활용하는 작업이야말로 가장 한국적인 연구로서 기되대는 점이 크다고 생각된다. 서구적 가치관의 문제점을 반성하면서 새로운 우리의 대안을 찾아 내는 작업으로 본 연구의 기대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의 활용방안은 한용운의 기존의 연구 즉 자주정신 연구, 민족주의 연구,자유사상 연구등에서 제기된 문제들과 아울러 본 연구의 활용방안은 우리 민족정신사의 근대화 과정의 정신적 문제의 폭을 넓히는 좋은 계기를 마련하겠으며 새로운 가치관 확립에도 하나의 초석이 되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강동진, 일제의 한국침략정책사, 서울, 한길사, 1980.
고대민족문화연구소, 한국문화사대계 I, 민족 국가사,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70.
고대아세아문제연구소, 일제하의 한국연구총서 1~5, 서울, 민중서관 1969.
국사편찬위원회, 한국독립운동사 1~5, 서울, 탐구당, 1969.
김상현, 만해의 독립사상, 한용운사상연구제이집, 서울, 민족사, 1981.
김용정, Kant에 있어서의 자연과 자유에 관한 연구, 동국대 대학원 博士學位 論文, 1975.
김용정, 칸트철학연구: 자연과 자유의 통일, 서울, 유림사, 1978.
독립운동사편집위원회, 독립운동사 8,9권, 서울, 獨立運動史編纂委員會 1976.
만해사상연구회편, 한용운사상연구, 서울, 民族社, 1980.
만해사상연구회편, 한용운사상연구 제2집, 서울, 民族社, 1981.
만해사상연구회편, 한용운사상연구 제3집, 서울, 民族社, 1994.
목정배, 한용운의 평화사상, 불교학보 제15집, 8 東國大學校 佛敎文化硏究所 1978.
朴魯  印權煥, 韓龍雲硏究, 서울, 通文 ,1960.
白樂晴, 民族主義란 무엇인가, 서울, 創作과 批評社, 1981.
宋建鎬 外, 新幹會運動 : 韓國近代史論 II, 서울, 知識産業社.
宋建鎬, 姜萬吉編, 韓國民族主義論, 서울, 創作과 批評社, 1982.
宋 稶, 全篇解說 韓龍雲 詩集 <님의 沈默>, 서울, 科學社, 1974.
愼鏞廈, 3.1運動의 主體性과 民族主義, 韓國思想 15집, 韓國思想硏究會 1977.
安秉直, 萬海 韓龍雲의 獨立思想, 創作과 批評 제19호, 서울 1970.
廉武雄, 韓龍雲의 民族思想, 韓國近代化史論 III, 서울, 知識産業社 1977.
李載昌 外, 現代社會와 佛敎, 서울, 한길사 1981.
李炫熙, 3.1運動史論, 서울, 東方圖書 1979.
全寶三, 韓龍雲의 3.1獨立精神에 관한 一考察, 韓國佛敎思想史, 서울,1992
全寶三, 韓龍雲의 民族主義思想硏究, 新丘專門大學 論文集 第9輯, 서울, 新丘專門大學 1991.
趙東一, 韓龍雲의 文學思想, 韓國文學思想史時論, 서울, 知識産業社 1978.
趙芝薰, 民族主義者 韓龍雲, 思潮 서울, 思潮社 1958,10.
趙芝薰, 韓國民族運動史, 韓國文化史大系 高大 民族文化硏究所 1970.
韓龍雲, 韓龍雲全集 全 6 卷, 서울 新丘文化社 1973.
洪曉民, 萬海 韓龍雲論, 現代文學 第56號, 서울, 現代文學社 1959.
洪以燮, 韓龍雲의 民族精神 : Korea Journal Vol.13, No.4, 서울 UNESCO, April 1973.
洪以燮, 韓國精神史序說, 延大出版部 1975.
  • 가격2,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1.1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