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하나님의 백성들은 "하나님의 언약 관계 속으로 들어감으로써 구원을 받았으며, 하나님의 주권적은 은총으로 구원을 받았다"고 말하여야 할 것이다. 물론, 아브라함 언약과 다윗 언약에서는 장차 올 '씨'에 대한 약속이 있었고, 이것이 "원시복음"에 뿌리를 두고 있었으며(창3:15), 구속사의 흐름 속에서 "약속의 씨"에 대한 말씀은 "메시야 사상의 모판이 되었다"고 보는 것이 더 성경적이며, 개혁신학적인 입장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요약하자면, 구약시대의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께서 족장들과 맺은 언약 속에 믿음으로 들어감으로써" 구원을 받았다고 말할 수 있다.
2. 우리는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주된 무조건적인 은혜 언약 속에 조건성이 있음을 보았으며, 이 조건성은 조건적인 언약에서의 조건성과는 다른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았다. 나아가 우리는 무조건적 언약에서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며, 언약 안에 있는 조건성은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성화의 방향성과 기준과 목표로 주어졌음을 보게 되었다.
3. 구약성경에서 은혜 언약은 구속사의 흐름 속에서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시내 산 언약, 다윗 언약으로 더욱 성숙해가고 발전해 가고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새 언약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렇지만 구약의 역사 속에서 은혜 언약 속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수 많은 실패를 보며, 옛 언약들의 한계를 목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언약 자체의 한계라고 보다 하나님 백성들이 스스로 풀수 없었던 "마음의 완악함" 때문이었다.
4. 예레미야 선지자와 에스겔 선지자는 새 언약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의 완악한 마음을 새롭게 창조하여 주시고, 하나님의 말씀을 그들의 마음 판에 새겨 주시며, 성령을 부어주심으로써 하나님의 언약 관계가 온전해 질 것을 바라보았다. 물론 구약의 성도들도 새 언약의 약속을 미리 맛보기도 하였으며, "성령의 내주"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우리는 새 언약 안에도, 하나님의 도덕적 의지가 담긴 "율법"이 상쇄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랑"이란 새로운 차원 속에서 "마음 속에 부과되는 것"을 보게 되었다.
5. 우리는 구약 성경에 나타난 모든 언약 속에 담긴 "하나님의 궁극적인 의도"는 결코 꺾이지 않았으며, 종말론적으로 메시야의 오심으로써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새롭게 탄생할 것을 구약성경이 바라보고 있었고,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으로 성취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 우리는 구약성경에 나타나는 주된 무조건적인 은혜 언약 속에 조건성이 있음을 보았으며, 이 조건성은 조건적인 언약에서의 조건성과는 다른 기능을 하고 있음을 보았다. 나아가 우리는 무조건적 언약에서 구원은 하나님의 은혜로 주어지며, 언약 안에 있는 조건성은 구원의 조건이 아니라 성화의 방향성과 기준과 목표로 주어졌음을 보게 되었다.
3. 구약성경에서 은혜 언약은 구속사의 흐름 속에서 노아 언약, 아브라함 언약, 시내 산 언약, 다윗 언약으로 더욱 성숙해가고 발전해 가고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새 언약을 바라보고 있었다. 그렇지만 구약의 역사 속에서 은혜 언약 속에 있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수 많은 실패를 보며, 옛 언약들의 한계를 목격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것은 언약 자체의 한계라고 보다 하나님 백성들이 스스로 풀수 없었던 "마음의 완악함" 때문이었다.
4. 예레미야 선지자와 에스겔 선지자는 새 언약을 통하여 하나님께서 자신의 백성들의 완악한 마음을 새롭게 창조하여 주시고, 하나님의 말씀을 그들의 마음 판에 새겨 주시며, 성령을 부어주심으로써 하나님의 언약 관계가 온전해 질 것을 바라보았다. 물론 구약의 성도들도 새 언약의 약속을 미리 맛보기도 하였으며, "성령의 내주"를 경험하기도 하였다. 우리는 새 언약 안에도, 하나님의 도덕적 의지가 담긴 "율법"이 상쇄되는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랑"이란 새로운 차원 속에서 "마음 속에 부과되는 것"을 보게 되었다.
5. 우리는 구약 성경에 나타난 모든 언약 속에 담긴 "하나님의 궁극적인 의도"는 결코 꺾이지 않았으며, 종말론적으로 메시야의 오심으로써 하나님의 거룩한 백성이 새롭게 탄생할 것을 구약성경이 바라보고 있었고,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으로 성취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