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가 구원받아야 할 이유
2. 사람은 스스로 구원할 수 있는가?
3.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은 구원의 사건이다
4. 예수의 구속적 죽음에 대한 해석의 성경의 범주들
5. 하나님의 구원의 주관적인 적용
6. 구원의 종말론적인 구조
7. 예정과 지키심
2. 사람은 스스로 구원할 수 있는가?
3. 예수의 삶과 죽음과 부활은 구원의 사건이다
4. 예수의 구속적 죽음에 대한 해석의 성경의 범주들
5. 하나님의 구원의 주관적인 적용
6. 구원의 종말론적인 구조
7. 예정과 지키심
본문내용
예수님을 전하고 있다. 하나님이 예수님과 함께 사역을 하셨으므로 게시의 불빛은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가장 환하게 비취고 있다.
그러므로 예정의 교리를 논할 때는 태초부터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시점으로 출발해야 한다.
예정은 성경대로 믿음의 현재에서 내가 그리스도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구원의 계시를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진 현재에서 되돌아보아야 한다.
내가 믿는 순간에는 그 복음을 받아들이겠다고 내가 결단한 것 같으나 믿는 자가 되고 보니 나로 하여금 성령께서 미리 역사 하셨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소위 예정된 은혜를 깨닫게 된다. 그러니까 믿음 자체가 선물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내가 알기도 전에 내 안에 역사 하셔서 나로 하여금 복음을 듣게 기회를 주실 뿐 아니라 그 복음을 깨닫게 내 속에 미리 역사 하셨다면 하나님께서 나를 구원하려는 의지가 있었는가 보다 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하나님은 변치 않으시는 분이시오, 신실하신 분이요, 창조주 하나님은 태초의 계획을 자기 뜻대로 진행하시는 분이시다.
예정의 교리는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복음에 어떻게 반응하느냐 하는 믿음의 현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내가 복음을 믿음의 눈으로 받아들이면 빛 속에 속했고, 그렇지 않으면 구원에 속한 자가 아니다.
예정의 교리는 교리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태초에 나를 구원하시겠다고 예정하시고 구원에 이르게 하신 하나님, 그 신실하시고 변치 않는 하나님은 그 계획을 끝까지 성취하실 것이다. 예정의 교리는 크리스찬에게 확신과 위안을 가져다주는 엄청난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예정의 교리를 논할 때는 태초부터가 아닌 예수 그리스도를 시점으로 출발해야 한다.
예정은 성경대로 믿음의 현재에서 내가 그리스도안에 나타난 하나님의 구원의 계시를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진 현재에서 되돌아보아야 한다.
내가 믿는 순간에는 그 복음을 받아들이겠다고 내가 결단한 것 같으나 믿는 자가 되고 보니 나로 하여금 성령께서 미리 역사 하셨구나 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소위 예정된 은혜를 깨닫게 된다. 그러니까 믿음 자체가 선물인 것이다.
하나님께서 내가 알기도 전에 내 안에 역사 하셔서 나로 하여금 복음을 듣게 기회를 주실 뿐 아니라 그 복음을 깨닫게 내 속에 미리 역사 하셨다면 하나님께서 나를 구원하려는 의지가 있었는가 보다 하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하나님은 변치 않으시는 분이시오, 신실하신 분이요, 창조주 하나님은 태초의 계획을 자기 뜻대로 진행하시는 분이시다.
예정의 교리는 처음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 복음에 어떻게 반응하느냐 하는 믿음의 현재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내가 복음을 믿음의 눈으로 받아들이면 빛 속에 속했고, 그렇지 않으면 구원에 속한 자가 아니다.
예정의 교리는 교리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이 아니다. 태초에 나를 구원하시겠다고 예정하시고 구원에 이르게 하신 하나님, 그 신실하시고 변치 않는 하나님은 그 계획을 끝까지 성취하실 것이다. 예정의 교리는 크리스찬에게 확신과 위안을 가져다주는 엄청난 힘이 있다고 생각한다.
추천자료
영상 이미지로 표현되는 그리스도교의 구원
웨슬레(John Wesley)의 구원관이현대선교에 끼친 영향
기독교의 이해 - 구원론
모형론과 새언약, 행함의 믿음, 침례와 구원, 하나님의 속성, 영지주의 정리요약
[바울과 서신서 연구] - 자유주의, 종말론적 해석, 구원사적 해석, 유대교의 세계, 로마서
로마 가톨릭 교회의 근간을 이루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구원론을 정리하시오
마틴 루터의 이신칭의 교리를 중세 구원론의 배경 하에 설명하시오
일본은 왜 백제부흥군에 구원군을 파견했나
다원주의의 개념 및 본질과 종교와 구원에 대한 복음주의적 관점 조사분석
[독후감/서평] 개혁주의 구원론 _ 안토니 A.후크마 저
펠라기안 논쟁의 시작 - 자유의지, 죄의 본질, 은혜, 구원의 근거, 반펠라기안주의
안식교는 왜 이단인가 - 안식교의 이단적 교리 및 주장들(안식교의 역사, 구원관, 교회관, 계...
바울(Paulos / Paul)의 구원론적 관점에서 바라본 21세기 한국교회
[설교문][성경본문-출애굽기 12장 29-42절] 구원 받은 이스라엘 백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