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이비과학은 무엇인가.
-사이비과학의 종류
1.창조론
2.대체의학
3.미신적 영과 예언의 세계
4.UFO그리고 외계인
5.기타 사이비과학
-사이비과학에 대해 조사하면서
-사이비과학의 종류
1.창조론
2.대체의학
3.미신적 영과 예언의 세계
4.UFO그리고 외계인
5.기타 사이비과학
-사이비과학에 대해 조사하면서
본문내용
또한 점성술이나 역술, 예언 등은 알 수 없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에 위안을 줄 수 있다. 이외에도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는 미스터리한 현상들에 대해 비과학적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호기심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리고 공룡 멸종설, 갈릴레오의 지동설, 다윈의 진화론 등과 같이 처음에 근거 없는 사이비과학처럼 보였다가 나중에 여러 가지 증거들이 갖춰지면서 과학이론이 될 가능성도 있다.
사람들은 논리적으로 딱 떨어진 결론보다는 의심스러운 것, 무언가 미스터리하고 신기한 것에 더 관심이 가기 마련이다. 나는 이를 굳이 모조리 없애고 배척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어느 경우나 중용이 중요하듯이 사이비과학에 대한 믿음이나 관심 또한 지나치면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사이비과학을 반과학적인, 무조건 없애고 배척해야 할 존재로 보기보다는 수용할 면이 있으면 수용하고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조화관계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재 필요한 것은 사이비과학 중 엉터리과학이나 사기를 가려내는 기준과 무분별한 믿음에 대한 절제이다. 누가 옳고 그른가를 따지기 보다는, 사이비과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통과학과 사이비과학이 조화를 이루고 사람들의 관심이 무조건적인 믿음이 되지 않도록 안내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칼 세이건, <과학자들이 털어놓는 氣이야기>이충웅 외2명,
<신과학은 없다-상-><신과학은 없다-하->강건일, <회의주의자의 사전>Robert T. Carroll
<세계의 미스터리 비밀을 벗다>실비아 브라운, <21세기 新科學原論>권윤혁
사람들은 논리적으로 딱 떨어진 결론보다는 의심스러운 것, 무언가 미스터리하고 신기한 것에 더 관심이 가기 마련이다. 나는 이를 굳이 모조리 없애고 배척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어느 경우나 중용이 중요하듯이 사이비과학에 대한 믿음이나 관심 또한 지나치면 안 될 것이다. 따라서 사이비과학을 반과학적인, 무조건 없애고 배척해야 할 존재로 보기보다는 수용할 면이 있으면 수용하고 더불어 발전할 수 있는 조화관계에 이르도록 해야 한다.
그러므로 현재 필요한 것은 사이비과학 중 엉터리과학이나 사기를 가려내는 기준과 무분별한 믿음에 대한 절제이다. 누가 옳고 그른가를 따지기 보다는, 사이비과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정통과학과 사이비과학이 조화를 이루고 사람들의 관심이 무조건적인 믿음이 되지 않도록 안내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 참고문헌 ]
<악령이 출몰하는 세상>칼 세이건, <과학자들이 털어놓는 氣이야기>이충웅 외2명,
<신과학은 없다-상-><신과학은 없다-하->강건일, <회의주의자의 사전>Robert T. Carroll
<세계의 미스터리 비밀을 벗다>실비아 브라운, <21세기 新科學原論>권윤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