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대내적 요인
2. 대외적 요인
3. 대남요인
4. 대남정책의 결정과정과 수령-당-정-군의 대남기구
2. 대외적 요인
3. 대남요인
4. 대남정책의 결정과정과 수령-당-정-군의 대남기구
본문내용
김정일 최측근이 맡고 있다. 정(내각)에서 대외 정책결정에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외무성이다. 외무성은 주로 대남관계보다는 주변국간의 관계를 담당하나, 대남정책 결정에서 완전히 배제된다고 볼 수만은 없다. 대남정책에 관련해서 기능국 산하의 12국인 조국 통일국이 정책결정에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외교적 전문성에 의해 상당한 부분 외무 부상에 실세를 주고 있기 때문이다. 군(부)에서 대남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조직은 인민무력부이다. 그러나 내각의 지휘체계가 아닌 국방위원회 지휘체계로 대남정책의 집행을 담당한다. 즉 실제 북한권력의 핵이자, 대외 대남결정과정의 결정적인 역할은 김정일이 총비서로 있는 조선노동당과 위원장으로 있는 정권기관인 국방위원회이다. 그러나 군이 대남정책의 결정과정에 결정적인 역할은 없더라도 군부의 특성상 강경한 의견은 대외 및 대남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간혹 북한의 도발이나 남북협력사업의 중단이 그러하다. 이러한 사례는 현재적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대남우위의 역량과 전략 전술적 적당한 시기에 대남도발정책이 강행될 수도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최근의 핵실험도 군부의 강경한 의견 및 최고 정책결정자의 승인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추천자료
북경회담과 북한의 대미대남 대응전략
세계안보정세의 흐름과 북한의 대남혁명전술
[한국정치/정치학A+] 비영리기구 NGO(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발생배경과 한국 NGO ...
최근_북한의_대미_및_대남_접근_정책의_기조_혹은_변화
6 15남북공동선언 이후 북한의 대남정책 특징 연구
북한의 대남 전략에 대한 이해
한반도군비통제(남북군비통제)의 중요성, 역사, 한반도군비통제(남북군비통제)와 북한의 대남...
[시민][시민단체][비정부기구][NGO][시민문화][시민채널][시민사회][시민교육][시민정치][시...
[시민][시민미디어][시민문화][시민단체][시민의식][시민운동][시민정치][시민교육][미디어][...
[군사학] 6.25전쟁과 북한의 대남도발사례
[국제 기구와 세계정치] APEC
유럽Europe정치론 『유럽통합의 이론』,신기능주의,자유주의적 배경,초국가적 기구의 역할 강...
북한관련 다큐 비디오 감상문 [북한 정권 반세기 붉은 상아탑 북한의 대남강경책 남북한 통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