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장배설의 기전
2. 장배설의 장애
(1) 변비
(2) 분변매복
(3) 설사
(4) 변실금
(5) 장내가스
(6) 복부팽만
2. 장배설의 장애
(1) 변비
(2) 분변매복
(3) 설사
(4) 변실금
(5) 장내가스
(6) 복부팽만
본문내용
감염, 궤양형성
-위의 저장기능 상실, 적절한 흡수를 위해 음식물이 너무 빨리 십이지장으로 이동됨
기타
-외과적 수술
-장내 세균의 불균형
-항생제 사용으로 정상균 파괴
2) 설사의 증상
복통 : 소장과 대장을 팽창시키는 장내가스나 연동운동에 의해서 오기도 함.
찌르는 듯이 아프거나 통증 있음. 설사 시에는 잦은 배변을 하여 급박감이 있게 되 고 동시에 통증이 옴.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에 의한 증상 : 피부의 탄력성 소멸, 체중감소, 갈증, 피로감, 전신 권태, 쇠약감 호소. 오심과 구토 동반.
잦은 산성변의 배출(설사변은 보통 산성) : 항문을 헐게함. 항문주위 피부의 염, 회음부 조직의 출혈, 피부손상.
3) 설사시의 관리
탈수예방을 위해 매일 적어도 8잔의 물을 마신다.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는 알코올, 카페인 음료, 너무 찬물은 피한다.
나트륨과 칼륨이 있는 음식을 섭취한다. 대부분의 음식은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다. 칼륨 은 낙농제품, 육류, 채소, 과일, 토마토, 감자, 바나나, 복숭아, 살구에 포함되어 있다.
밀, 곡류빵과 시리얼, 생과일, 채소와 같은 불용성 섬유질 섭취는 제한한다.
오트밀, 껍질없는 과일, 토마토와 같은 수용성 섬유질 섭취는 증가한다.
만약 회음부에 자극이 있다면 닦을 때 부드러운 휴지나 면봉을 사용한다
설사가 멈추면 요구르트나 버터밀크와 같은 발효된 낙농제품을 섭취하여 정상적인 장내균 상을 재확립한다.
(4) 변실금
변실금은 항문괄약근을 통하여 가스배출과 대변을 조절하는 수의적인 능력이 소실될 때 나타난다.
1)원인
실금은 식사 후처럼 특정한 시간에 일어나기도 하며 불규칙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변실금은 일반적으로 신경근 질병, 척수손상, 외괄약근의 종양 등과 같이 항문괄약근의 기능손상 및 신경분포와 관련이 있다. 노인의 60%에서 변실금이 있을 수 있다.
2) 치료 및 간호
변실금은 개인의 정서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심하면 사회적 격리감마저 조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하며 병원환경에서는 대상자 스스로 쉽게 의복을 교환할 수 있게 하고 야간에도 쉽게 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금되는 변은 산성이며 소화성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를 많이 자극하므로 항문주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해야 하고 연고를 발라준다.
(5) 장내가스 (flatus)
공기를 삼키거나 가스를 많이 발생하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장내 박테리아에 의한 것.
-과도한 공기 흡인 : 종종 불안, 급하게 음식을 먹는 것, 부적절한 빨대의 사용, 탄산수의 과용 섭취, 껌을 씹거나 사탕을 빠는 것, 흡연을 통해서 장내에 가스 가 축적됨. →대부분 트림을 통해 배출.
-장내 박테리아 : 장내 박테리아에 의한 가스의 형성은 대부분 항문을 통해 배출.
-결장의 운동 : 가스가 장에서 재흡수 되기 전에 가스를 항문으로 배출시킴.
* 가스를 많이 형성하는 음식 : 양배추, 양파, 콩종류
(6) 복부팽만(distension)
장내가스, 수분, 내용물의 과도한 축적은 복부팽만 야기.
-일차적 원인 : 가스나 장의 유미즙. 또는 대변의 배출이 원활히 못하게 하는 폐색.(장마비 나 장암도 복부팽만을 일으키는 장폐색의 유형이 됨.)
- 오랜 침상안정, 비활동성, 전신마취를 한 수술의 경우, 장보위의 직접적 수술(연동운동을 느리게 함). 변비, 분변매복.
- 환자는 복부팽만감을 느끼고 장내가스나 변을 배출시키지 못함으로 인한 불편감 호소.
- 가스나 내용물의 양에 따라 육안으로 복부는 팽창되어 보임.
참고문헌
- 홍금표 수문사 기본간호학(下) 2000
- 김명자 현문사 최신기본간호학(下) 2005
- 김순자 수문사 기본간호학(上) 2001
-위의 저장기능 상실, 적절한 흡수를 위해 음식물이 너무 빨리 십이지장으로 이동됨
기타
-외과적 수술
-장내 세균의 불균형
-항생제 사용으로 정상균 파괴
2) 설사의 증상
복통 : 소장과 대장을 팽창시키는 장내가스나 연동운동에 의해서 오기도 함.
찌르는 듯이 아프거나 통증 있음. 설사 시에는 잦은 배변을 하여 급박감이 있게 되 고 동시에 통증이 옴.
수분과 전해질의 손실에 의한 증상 : 피부의 탄력성 소멸, 체중감소, 갈증, 피로감, 전신 권태, 쇠약감 호소. 오심과 구토 동반.
잦은 산성변의 배출(설사변은 보통 산성) : 항문을 헐게함. 항문주위 피부의 염, 회음부 조직의 출혈, 피부손상.
3) 설사시의 관리
탈수예방을 위해 매일 적어도 8잔의 물을 마신다.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는 알코올, 카페인 음료, 너무 찬물은 피한다.
나트륨과 칼륨이 있는 음식을 섭취한다. 대부분의 음식은 나트륨이 포함되어 있다. 칼륨 은 낙농제품, 육류, 채소, 과일, 토마토, 감자, 바나나, 복숭아, 살구에 포함되어 있다.
밀, 곡류빵과 시리얼, 생과일, 채소와 같은 불용성 섬유질 섭취는 제한한다.
오트밀, 껍질없는 과일, 토마토와 같은 수용성 섬유질 섭취는 증가한다.
만약 회음부에 자극이 있다면 닦을 때 부드러운 휴지나 면봉을 사용한다
설사가 멈추면 요구르트나 버터밀크와 같은 발효된 낙농제품을 섭취하여 정상적인 장내균 상을 재확립한다.
(4) 변실금
변실금은 항문괄약근을 통하여 가스배출과 대변을 조절하는 수의적인 능력이 소실될 때 나타난다.
1)원인
실금은 식사 후처럼 특정한 시간에 일어나기도 하며 불규칙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변실금은 일반적으로 신경근 질병, 척수손상, 외괄약근의 종양 등과 같이 항문괄약근의 기능손상 및 신경분포와 관련이 있다. 노인의 60%에서 변실금이 있을 수 있다.
2) 치료 및 간호
변실금은 개인의 정서적 문제를 야기시키고 심하면 사회적 격리감마저 조성하게 된다. 그러므로 개별적인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하며 병원환경에서는 대상자 스스로 쉽게 의복을 교환할 수 있게 하고 야간에도 쉽게 씻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실금되는 변은 산성이며 소화성 효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피부를 많이 자극하므로 항문주위를 깨끗하고 건조하게 해야 하고 연고를 발라준다.
(5) 장내가스 (flatus)
공기를 삼키거나 가스를 많이 발생하는 음식을 섭취하거나 장내 박테리아에 의한 것.
-과도한 공기 흡인 : 종종 불안, 급하게 음식을 먹는 것, 부적절한 빨대의 사용, 탄산수의 과용 섭취, 껌을 씹거나 사탕을 빠는 것, 흡연을 통해서 장내에 가스 가 축적됨. →대부분 트림을 통해 배출.
-장내 박테리아 : 장내 박테리아에 의한 가스의 형성은 대부분 항문을 통해 배출.
-결장의 운동 : 가스가 장에서 재흡수 되기 전에 가스를 항문으로 배출시킴.
* 가스를 많이 형성하는 음식 : 양배추, 양파, 콩종류
(6) 복부팽만(distension)
장내가스, 수분, 내용물의 과도한 축적은 복부팽만 야기.
-일차적 원인 : 가스나 장의 유미즙. 또는 대변의 배출이 원활히 못하게 하는 폐색.(장마비 나 장암도 복부팽만을 일으키는 장폐색의 유형이 됨.)
- 오랜 침상안정, 비활동성, 전신마취를 한 수술의 경우, 장보위의 직접적 수술(연동운동을 느리게 함). 변비, 분변매복.
- 환자는 복부팽만감을 느끼고 장내가스나 변을 배출시키지 못함으로 인한 불편감 호소.
- 가스나 내용물의 양에 따라 육안으로 복부는 팽창되어 보임.
참고문헌
- 홍금표 수문사 기본간호학(下) 2000
- 김명자 현문사 최신기본간호학(下) 2005
- 김순자 수문사 기본간호학(上) 2001
추천자료
스포츠사회학 4장연구문제 풀이
스포츠사회학 5장 연구문제
영화 '파이트 클럽(Fight Club)' 감상 보고서 - 선과 악의 이중분열(무엇이 내가 원하는 모습...
표준 컨트롤-9장
선교에 있어서 성령의 사역-사도행전 2장을 중심으로-
의사노동조합 요약 정리(7,8,9장)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5장 시장세분화와 마케팅 믹스: 광고전략의 결정요소)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7장 마케팅과 광고계획의 수립: 하향식, 상향식 및 통합적 마케팅커...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9장 관계 구축: 직접마케팅, 인적판매, 그리고 판매촉진)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1장 광고제작의 크리에이티브 전략과 크리에이티브 과정)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2장 크리에이티브의 제작: 아트와 카피)
현대광고론 핵심정리 (제13장 인쇄, 전파, 디지털 매체를 위한 광고제작)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14장 인쇄매체)
현대광고론 요약정리 (제17장 옥외매체, 전시매체 그리고 보조매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