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품종이다. 과정부 또는 과면에 열과가 전혀 발생하지 않고 수학전 낙과가 없어 상품과 생산 비율이 높다. 과육의 경도가 매우 높아 수송성이 강하며 저장력도 후지정도로 매우 강하여 상온저장시 150일간 저장이 가능하다.
(3) 적응지역
화홍사과는 전국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단과지에 화아착색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과다 착과되지 않도록 적과를 충분히 실시해 준다.
기상 조건 및 토양에 따라 과두부에 동녹이 발생할 우려 가 있으므로 개화기 전후에 약제살포시 약제종류와 살포 방법에 주의하고 적과시 중심과를 남긴다.
후지에 비해 착색 및 외관이 우수하고 열과 및 수확전 낙 과 발생이 적어 후지재배시 필요한 봉 지 씌우기, 과실 돌려주기, 잎솎기 등의 착색 증진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18. 후지
(1) 선발경위
후지사과는 1939년에 일본 과수시험장에서 국광에 데리셔스를 교배하여 1962년에 최종 선발하여 명명한 품종이다. 과수연구소에서는 1967년에 도입하여 1972년에 선발보급하였다.
(2) 주요특성
1) 생육특성
후지사과는 수세가 강하고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이며 결실연령기가 빠르고중장과지에 착과되며 꽃눈 형성이 다소 불량하고 격년결과성이 강한 품종이다. 개화기는 골든데리셔스와 같은 시기로 수원지방에서 만개기는 5월6일 경이다.
2) 과실특성
후지사과는 숙기는 10월 하순으로 만생종이며 수원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25일 경이다.과중은 300g정도이며 과형은 원형 또는 장원형으로 크기가 균일하다. 과피는 황록색 바탕에 담홍색 줄무늬로 착색되며 과육은 황백색이며 육질은 치밀하고 과즙이 많다. 당도는 14.6도로 높고 산도는 0.38%로 감산이 적당하게 조화되어 있어 맛이 농후하다.
3) 내병충성
후지사과는 반점낙엽병에는 비교적 강한 편이고 부패병에는 아주 약하며 응애 피해를 받기 쉽다.
4) 수량성 및 상품성
후지사과는 화아 착생이 어려운 편으로 수량성이 3,000㎏/10a로 적은 품종이다. 착색이 불량하나 동녹 발생 및 수확전 낙과는 적은 편이다. 질소를 다량 시비하거나 대과를 생산하는 경우 과경부위에 열과가 많이 발생된다. 저장력은 180일 정도로 극히 강하다.
(3) 적응지역
후지사과는 전국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모든 가지에 충분한 햇빛이 투과되도록 재배거리를 넓게 두고, 수형 구성시 가지를 잘 배치하고 수세를 적당하게 떨어뜨려야 한다. 대과를 생산하면 지역에 따라 과실에 밀증상이 발생하기 쉬우므 로 숙기 판정에 유의해야 하며 장기 저장용 과실은 일찍 수확해야 한다.
삼엽해당대목은 적진병 및 마그네슘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토양개량을 실시한다. 착색관리 는 봉지씌우기를 실시한 후 수확 1개월 전에 봉지를 벗기고 그후 수확할 때까지 계속 잎솎기, 과실 돌려주기 등의 손작업을 실시한다. 착색계 후지는 착색이 빨리 진행되는데숙기가 착색과 비례하여 반드시 빠른 것은 아니므로 외관을 보아 단기수확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iloveapple.co.kr/group/mp/mp.html>
♠ 사과가공식품
; 사과찹쌀떡, 사과파이, 사과삼색경단, 사과컵빵, 사과설기, 사과스튜루델, 사과약식, 사과쿠키, 사과송편, 사과핫케이크, 사과화병, 사과파운드케이크, 사과양갱, 사과찜케이크, 사과강정, 사과말이초밥, 사과고구마졸임, 사과영양밥, 사과말림&사과튀김, 올리고당사과잼, 사과수정과, 사과말이돼지고기찜, 사과숙, 사과만두, 사과동동주, 사과소스돈까스, 사과식혜, 사과편육채, 사과막걸리술, 사과돼지고기구이, 사과수삼모과포도쥬스, 사과장아찌, 사과오리조림 구이, 사과김치, 사과꿩고기 볶음, 사과백김치, 사과닭말이 조림, 사과깍두기, 사과말랭이무침, 사과탕수, 사과스낵, 사과엿, 사과풋고추볶음, 사과당과, 사과떡, 사과베이컨말이조림, 허브사과잼, 사과양과, 사과새우말이전과, 사과국수, 사과즙, 사과한과, 사과컵샐러드, 사과선, 사과꼬지, 사과구이, 사과조림사과와인조림, 사과푸딩, 사과오드볼, 사과고구마탕, 꽃사과, 사과오믈렛
이 자료는 '충주시'와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발행한 '충주사과 가공식품 80선'의 내용입니다.
♠ 품종분포
→ 1위 : 후지
2위 : 쓰가루
3위 : 홍월, 양광, 홍로
기타 : 산사, 야다까, 마도, 천추, 세계일, 홍옥 등
♠ 사과 상식
▶ 사과의 주요성분
사과에 칼슘은 110밀리그램이나 들어 있으며 체내의 염분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사과의 유기산은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주며 철분의 흡수도 높여 준다.
▶ 고르는 방법. 저장 방법
껍질에 탄력이 있고 과육이 꽉 찬 느낌의 것이 좋으며, 손가락으로 튕겨 봤을 때 맑은 소리가 나 는 것이 좋다. 이른 봄에서 여름에 저장된 것은 맛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것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골라야 한다.
이른 봄에서 여름 사이에는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 먹는 방법. 이용 방법
씨의 주위가 가장 달기 때문에 세로로 자르는 것이 좋다.
갈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금물에 담가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거나 짜 지는 경우가 있다. 사과를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약 1%의 식염수 (약 1리터의 물에 대해 작은 술 둘 정도의 소금)에 10분간 담가 놓으면 좋다.
사과를 사용한 가장 일반적인 과자는 애플 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어머니의 맛' 이라고도 한다.
구운 사과, 잼 등에는 홍옥과 같은 신맛을 가진 것이 적당하다.
주스, 젤리, 무스, 샤베트 등은 각각의 사과가 가지고 있는 맛을 살리거나 그 나름대로 여러 가지 사과를 섞어 사용해도 좋다.
프랑스의 야조(야생의 새) 요리에는 사과 소스가 자주 사용된다. 사과의 풍미가 야조의 독특한 냄 새를 없애 주며 맛을 더욱 돋구어 주기 때문이다.
카레, 스튜와 같은 요리에도 마지막에 사과를 넣으면 더욱 풍미를 돋구게 해준다.
또, 감귤류의 젤리. 무스를 만들 때에도 사과 과즙을 넣으면 신맛이 단맛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참고 사이트: http://gunja.nong21.co.kr/pum/index04.htm>
(3) 적응지역
화홍사과는 전국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단과지에 화아착색성이 매우 양호하므로 과다 착과되지 않도록 적과를 충분히 실시해 준다.
기상 조건 및 토양에 따라 과두부에 동녹이 발생할 우려 가 있으므로 개화기 전후에 약제살포시 약제종류와 살포 방법에 주의하고 적과시 중심과를 남긴다.
후지에 비해 착색 및 외관이 우수하고 열과 및 수확전 낙 과 발생이 적어 후지재배시 필요한 봉 지 씌우기, 과실 돌려주기, 잎솎기 등의 착색 증진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18. 후지
(1) 선발경위
후지사과는 1939년에 일본 과수시험장에서 국광에 데리셔스를 교배하여 1962년에 최종 선발하여 명명한 품종이다. 과수연구소에서는 1967년에 도입하여 1972년에 선발보급하였다.
(2) 주요특성
1) 생육특성
후지사과는 수세가 강하고 가지의 모양은 개장성이며 결실연령기가 빠르고중장과지에 착과되며 꽃눈 형성이 다소 불량하고 격년결과성이 강한 품종이다. 개화기는 골든데리셔스와 같은 시기로 수원지방에서 만개기는 5월6일 경이다.
2) 과실특성
후지사과는 숙기는 10월 하순으로 만생종이며 수원지방에서 수확기는 10월 25일 경이다.과중은 300g정도이며 과형은 원형 또는 장원형으로 크기가 균일하다. 과피는 황록색 바탕에 담홍색 줄무늬로 착색되며 과육은 황백색이며 육질은 치밀하고 과즙이 많다. 당도는 14.6도로 높고 산도는 0.38%로 감산이 적당하게 조화되어 있어 맛이 농후하다.
3) 내병충성
후지사과는 반점낙엽병에는 비교적 강한 편이고 부패병에는 아주 약하며 응애 피해를 받기 쉽다.
4) 수량성 및 상품성
후지사과는 화아 착생이 어려운 편으로 수량성이 3,000㎏/10a로 적은 품종이다. 착색이 불량하나 동녹 발생 및 수확전 낙과는 적은 편이다. 질소를 다량 시비하거나 대과를 생산하는 경우 과경부위에 열과가 많이 발생된다. 저장력은 180일 정도로 극히 강하다.
(3) 적응지역
후지사과는 전국재배가 가능한 품종이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모든 가지에 충분한 햇빛이 투과되도록 재배거리를 넓게 두고, 수형 구성시 가지를 잘 배치하고 수세를 적당하게 떨어뜨려야 한다. 대과를 생산하면 지역에 따라 과실에 밀증상이 발생하기 쉬우므 로 숙기 판정에 유의해야 하며 장기 저장용 과실은 일찍 수확해야 한다.
삼엽해당대목은 적진병 및 마그네슘 결핍증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토양개량을 실시한다. 착색관리 는 봉지씌우기를 실시한 후 수확 1개월 전에 봉지를 벗기고 그후 수확할 때까지 계속 잎솎기, 과실 돌려주기 등의 손작업을 실시한다. 착색계 후지는 착색이 빨리 진행되는데숙기가 착색과 비례하여 반드시 빠른 것은 아니므로 외관을 보아 단기수확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한다.
<참고 사이트: http://www.iloveapple.co.kr/group/mp/mp.html>
♠ 사과가공식품
; 사과찹쌀떡, 사과파이, 사과삼색경단, 사과컵빵, 사과설기, 사과스튜루델, 사과약식, 사과쿠키, 사과송편, 사과핫케이크, 사과화병, 사과파운드케이크, 사과양갱, 사과찜케이크, 사과강정, 사과말이초밥, 사과고구마졸임, 사과영양밥, 사과말림&사과튀김, 올리고당사과잼, 사과수정과, 사과말이돼지고기찜, 사과숙, 사과만두, 사과동동주, 사과소스돈까스, 사과식혜, 사과편육채, 사과막걸리술, 사과돼지고기구이, 사과수삼모과포도쥬스, 사과장아찌, 사과오리조림 구이, 사과김치, 사과꿩고기 볶음, 사과백김치, 사과닭말이 조림, 사과깍두기, 사과말랭이무침, 사과탕수, 사과스낵, 사과엿, 사과풋고추볶음, 사과당과, 사과떡, 사과베이컨말이조림, 허브사과잼, 사과양과, 사과새우말이전과, 사과국수, 사과즙, 사과한과, 사과컵샐러드, 사과선, 사과꼬지, 사과구이, 사과조림사과와인조림, 사과푸딩, 사과오드볼, 사과고구마탕, 꽃사과, 사과오믈렛
이 자료는 '충주시'와 '충주시농업기술센터'에서 발행한 '충주사과 가공식품 80선'의 내용입니다.
♠ 품종분포
→ 1위 : 후지
2위 : 쓰가루
3위 : 홍월, 양광, 홍로
기타 : 산사, 야다까, 마도, 천추, 세계일, 홍옥 등
♠ 사과 상식
▶ 사과의 주요성분
사과에 칼슘은 110밀리그램이나 들어 있으며 체내의 염분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 사과의 유기산은 위액의 분비를 왕성하게 하여 소화를 도와주며 철분의 흡수도 높여 준다.
▶ 고르는 방법. 저장 방법
껍질에 탄력이 있고 과육이 꽉 찬 느낌의 것이 좋으며, 손가락으로 튕겨 봤을 때 맑은 소리가 나 는 것이 좋다. 이른 봄에서 여름에 저장된 것은 맛이 그다지 좋지 않은 것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골라야 한다.
이른 봄에서 여름 사이에는 냉장고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 먹는 방법. 이용 방법
씨의 주위가 가장 달기 때문에 세로로 자르는 것이 좋다.
갈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소금물에 담가 놓는 것이 일반적인데 시간이 지나면 색이 변하거나 짜 지는 경우가 있다. 사과를 맛있게 먹기 위해서는 약 1%의 식염수 (약 1리터의 물에 대해 작은 술 둘 정도의 소금)에 10분간 담가 놓으면 좋다.
사과를 사용한 가장 일반적인 과자는 애플 파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어머니의 맛' 이라고도 한다.
구운 사과, 잼 등에는 홍옥과 같은 신맛을 가진 것이 적당하다.
주스, 젤리, 무스, 샤베트 등은 각각의 사과가 가지고 있는 맛을 살리거나 그 나름대로 여러 가지 사과를 섞어 사용해도 좋다.
프랑스의 야조(야생의 새) 요리에는 사과 소스가 자주 사용된다. 사과의 풍미가 야조의 독특한 냄 새를 없애 주며 맛을 더욱 돋구어 주기 때문이다.
카레, 스튜와 같은 요리에도 마지막에 사과를 넣으면 더욱 풍미를 돋구게 해준다.
또, 감귤류의 젤리. 무스를 만들 때에도 사과 과즙을 넣으면 신맛이 단맛과 조화를 이루게 된다.
<참고 사이트: http://gunja.nong21.co.kr/pum/index04.htm>
추천자료
자료수집및사정조사서식모음
자료수집 타당도 신뢰도
(조사방법론)자료수집-실험 요약정리
임산부_산욕부_자료수집양식
[유아교육 개론] 유치원/어린이집 1개원을 방문하여 면담과 관찰, 자료수집을 통하여 유아교...
질적연구방법에서 자료수집방법 중 누증표집에 대하여 이야기 해봅시다
사회복지와 관련된 연구주제에 관한 30개 이상 자료수집
모성간호학 임상실습 보고서 자료수집양식 : 산부간호 케이스 - 임부, 산부, 산모 대상자 간...
[유아교육개론] 유치원 또는 어린이집 방문하여 원장/시설장 또는 유 아교사와의 면담과 관찰...
유아교육의 개념에 대해 논하고, 유아교육기관 1개원을 방문하여 원장 또는 교사와의 면담 및...
양적조사를 수행한 사회복지분야 논문(석사학위 논문, 박사학위 논문, 학회지 중 선택)중 하...
발표된 논문이나 보고서를 선택하여 무엇을 어떻게 조사하였는지(연구의 유형, 연구의 목적과...
사회복지실천론_학대가정의 아동인 클라이언트가 이웃의 신고로 아동보호상담소로 의뢰되었다...
사회복지조사론 자료수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