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단위는 F (패럿이라 읽고 대문자로 표기)을 사용하며, 이때 충전되는 전하량(Q)은 콘덴서의 정전용량(C)과 양단에 걸린 전압(V)에 비례한다.
F(패럿)은 용량이 너무 커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마이크로 패럿) 단위임을 알아두자.
(가) 전해 콘덴서
☞ 친절하게도 원통형 몸통에 (-)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는
① 보통 원통형으로 용량과 정격 전압을 몸통에 직접 표시.
② +, -의 극성을 갖는 특징이 있으며, 대부분 몸통에 마이너스 전극을 표시하는 마크가 있다.
③ 주로 전원회로의 평활 작용에 사용하며, 바이 패스 또는 방전시 순간 대전류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한다.
(나) 세라믹 콘덴서, 마일러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와 마일러 콘덴서는 기호를 같이 사용하고 있다.
① 3개의 유효숫자와 알파벳으로 각각 용량과 오차를 표시.
② 단위는 대분부의 경우 ㎊(피코패럿)이 생략되어 있다. (이때 p는 ‘pico'라고 읽으며 10-12를 나타냄 )
오차K=10%
103K=0.01㎌±10%
그림 1-13
그림 1-14
그림 1-15
③ 콘덴서의 알파벳 오차 코드
문 자
B
C
D
F
G
J
K
M
N
X
Z
P
허용오차[%]
±0.1
±0.25
±0.5
±1
±2
±5
±10
±20
±30
40
80
+100
-0
④ 콘덴서의 정격전압
A
B
C
D
E
F
G
H
J
K
0
1
2
3
1
10
100
1000
1.25
12.5
125
1250
1.6
16
160
1600
2.0
20
200
2000
2.5
25
250
2500
3.15
31.5
315
3150
4.0
40
400
4000
5.0
50
500
5000
6.3
63
630
6300
8.0
80
800
8000
☞ 보통 마일러 콘덴서에서 사용하며 1A라고 표시된 것은 위 표에서 찾아보면 10V 정격전압(내압)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다이오드
☞ 몸통에 은색이나 검정색의 띠가 둘러져 있는 쪽이 (-)이다.
애노드(+)
캐소드(-)
다이오드에는 두 개의 극성이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류는 한쪽으로만 흐를 수 있고 반대쪽으로는 흐를 수 없다.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흐를 수 없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4)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불빛에 내부를 비추어 보아 ㄱ자로 꺾인 부분이 (-)이다.
애노드(+)
캐소드(-)
또는
갈륨인(GaP) 또는 갈륨비소인(GaAsP) 등의 금속간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한 P형과 N형을 접합한 다이오드로 순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접합면에서 빛을 발생하는 다이오드이다. 빛을(Light) 발하는(Emitting) 다이오드(Diode)라 하여 LED라 부른다.
(5) 트랜지스터
- NPN형과 PNP형이 있고, 각각 컬렉터, 베이스, 이미터의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것은 형별뿐, 극성은 회로시험기로 확인을 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다.
그림 1-18 트랜지스터
① A또는 B로 시작하면 PNP형 트랜지스터이다.
예) A732 , A562
② PNP형 트랜지스터 기호 및 극성
그림 1-19
③ C또는 D로 시작하면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예) C1815, D388, D880
④ NPN형 트랜지스터 기호 및 극성
그림 1-20
(6)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
그림 1-21 7-segment
7-세그먼트는 숫자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도록 LED를 숫자 형태로 배열하고 원하는 LED만을 점등하여 숫자를 나타내도록 한 소자로 LED하나하나에 a부터 g까지의 이름을 붙이고 도트가 있는 경우는 Dp라는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숫자 "2"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a, b, g, e, d"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면 되는 것이다. 이 "a~g"까지의 발광 다이오드를 세그먼트라 부르며, 7개의 세그먼트가 있기 때문에 7세그먼트라 부른다.
세븐 세그먼트를 만드는 데는 (+)측인 애노드를 공통(Common)으로 묶는 방법과 (-)측인 캐소드를 공통으로 묶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애노드가 공통인 세븐 세그먼트를 애노드 코먼( Anode Common)이라고 하고, 캐소드가 공통인 세븐 세그먼트를 캐소드 코먼(Cathode Common)이라고 부른다.
FND 500 시리즈 - Common Cathode
FND 507 시리즈 - Common Anode
(7) 트랜스
그림 1-22
☞ 트랜스 : 변압기라고도 하며 교류전압을 낮추어 출력한다.
☞ 전원 트랜스 등은 입력전원은 110V, 220V용이 있으며 2차측에서 권선의 도중에 선을 내어(tap,탭이라고 한다) 복수의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많으며 출력전압은3, 6, 9, 12 15, 24[V]등 다양하다.
■ 표준 10진 접두어
수 값
기 호
명 칭
1 000 000 000 000 = 1012
T
Tera(테라)
1 000 000 000 =109
G
Giga(기가)
★ 1 000 000 =106
M
Mega(메가)
★ 1 000 =103
k
Kilo(킬로)
100 = 102
h
hecto(헥토)
10 = 101
da
deka(데카)
0.1 = 10-1
d
deci(데시)
0.01 = 10-2
c
Centi(센티)
★ 0.001 =10-3
m
Milli(밀리)
★ 0.000 001 =10-6
μ
Micro(마이크로)
★ 0.000 000 001 =10-9
n
Nano(나노)
★ 0.000 000 000 001 =10-12
p
Pico(피코)
★ 100=1 (→ 0을 제외한 모든 수의 0승은 1이다.)
☞ 단위 환산 문제를 본인이 출제하고 풀어보자.
■ MKS 단위계
종 별
기 호
단위/명칭
전류
I
[A]/ampere(암페어)
전압
V
[V]/volt(볼트)
저항
R
[Ω]/ohm(옴)
콘덕턴스
G
[ ]/mho
에너지
W
[J]/joul(줄)
전력
P
[W]/watt(와트)
전하
Q
[C]/coulomb(쿨롬)
정전용량
C
[F]/farad(패럿)
인덕턴스
L
[H]/henry(헨리)
주파수
f
[Hz]/hertz(헤르쯔)
기호와 단위 모두 영어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F(패럿)은 용량이 너무 커서 주로 많이 사용하는 것은 ㎌(마이크로 패럿) 단위임을 알아두자.
(가) 전해 콘덴서
☞ 친절하게도 원통형 몸통에 (-)라고 표시되어 있다.
또는
① 보통 원통형으로 용량과 정격 전압을 몸통에 직접 표시.
② +, -의 극성을 갖는 특징이 있으며, 대부분 몸통에 마이너스 전극을 표시하는 마크가 있다.
③ 주로 전원회로의 평활 작용에 사용하며, 바이 패스 또는 방전시 순간 대전류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한다.
(나) 세라믹 콘덴서, 마일러 콘덴서
세라믹 콘덴서와 마일러 콘덴서는 기호를 같이 사용하고 있다.
① 3개의 유효숫자와 알파벳으로 각각 용량과 오차를 표시.
② 단위는 대분부의 경우 ㎊(피코패럿)이 생략되어 있다. (이때 p는 ‘pico'라고 읽으며 10-12를 나타냄 )
오차K=10%
103K=0.01㎌±10%
그림 1-13
그림 1-14
그림 1-15
③ 콘덴서의 알파벳 오차 코드
문 자
B
C
D
F
G
J
K
M
N
X
Z
P
허용오차[%]
±0.1
±0.25
±0.5
±1
±2
±5
±10
±20
±30
40
80
+100
-0
④ 콘덴서의 정격전압
A
B
C
D
E
F
G
H
J
K
0
1
2
3
1
10
100
1000
1.25
12.5
125
1250
1.6
16
160
1600
2.0
20
200
2000
2.5
25
250
2500
3.15
31.5
315
3150
4.0
40
400
4000
5.0
50
500
5000
6.3
63
630
6300
8.0
80
800
8000
☞ 보통 마일러 콘덴서에서 사용하며 1A라고 표시된 것은 위 표에서 찾아보면 10V 정격전압(내압)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3) 다이오드
☞ 몸통에 은색이나 검정색의 띠가 둘러져 있는 쪽이 (-)이다.
애노드(+)
캐소드(-)
다이오드에는 두 개의 극성이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류는 한쪽으로만 흐를 수 있고 반대쪽으로는 흐를 수 없다. 전류가 흐를 수 있는 방향을 ‘순방향’이라고 하고, 흐를 수 없는 방향을 ‘역방향’이라고 한다.
(4)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
☞불빛에 내부를 비추어 보아 ㄱ자로 꺾인 부분이 (-)이다.
애노드(+)
캐소드(-)
또는
갈륨인(GaP) 또는 갈륨비소인(GaAsP) 등의 금속간 화합물 반도체로 형성한 P형과 N형을 접합한 다이오드로 순방향으로 전류를 흘리면 접합면에서 빛을 발생하는 다이오드이다. 빛을(Light) 발하는(Emitting) 다이오드(Diode)라 하여 LED라 부른다.
(5) 트랜지스터
- NPN형과 PNP형이 있고, 각각 컬렉터, 베이스, 이미터의 극성을 가지고 있는데, 눈으로 식별이 가능한 것은 형별뿐, 극성은 회로시험기로 확인을 해봐야 정확히 알 수 있다.
그림 1-18 트랜지스터
① A또는 B로 시작하면 PNP형 트랜지스터이다.
예) A732 , A562
② PNP형 트랜지스터 기호 및 극성
그림 1-19
③ C또는 D로 시작하면 NPN형 트랜지스터이다.
예) C1815, D388, D880
④ NPN형 트랜지스터 기호 및 극성
그림 1-20
(6) 세븐 세그먼트(Seven Segment)
그림 1-21 7-segment
7-세그먼트는 숫자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도록 LED를 숫자 형태로 배열하고 원하는 LED만을 점등하여 숫자를 나타내도록 한 소자로 LED하나하나에 a부터 g까지의 이름을 붙이고 도트가 있는 경우는 Dp라는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숫자 "2"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a, b, g, e, d"에 해당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면 되는 것이다. 이 "a~g"까지의 발광 다이오드를 세그먼트라 부르며, 7개의 세그먼트가 있기 때문에 7세그먼트라 부른다.
세븐 세그먼트를 만드는 데는 (+)측인 애노드를 공통(Common)으로 묶는 방법과 (-)측인 캐소드를 공통으로 묶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애노드가 공통인 세븐 세그먼트를 애노드 코먼( Anode Common)이라고 하고, 캐소드가 공통인 세븐 세그먼트를 캐소드 코먼(Cathode Common)이라고 부른다.
FND 500 시리즈 - Common Cathode
FND 507 시리즈 - Common Anode
(7) 트랜스
그림 1-22
☞ 트랜스 : 변압기라고도 하며 교류전압을 낮추어 출력한다.
☞ 전원 트랜스 등은 입력전원은 110V, 220V용이 있으며 2차측에서 권선의 도중에 선을 내어(tap,탭이라고 한다) 복수의 전압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 많으며 출력전압은3, 6, 9, 12 15, 24[V]등 다양하다.
■ 표준 10진 접두어
수 값
기 호
명 칭
1 000 000 000 000 = 1012
T
Tera(테라)
1 000 000 000 =109
G
Giga(기가)
★ 1 000 000 =106
M
Mega(메가)
★ 1 000 =103
k
Kilo(킬로)
100 = 102
h
hecto(헥토)
10 = 101
da
deka(데카)
0.1 = 10-1
d
deci(데시)
0.01 = 10-2
c
Centi(센티)
★ 0.001 =10-3
m
Milli(밀리)
★ 0.000 001 =10-6
μ
Micro(마이크로)
★ 0.000 000 001 =10-9
n
Nano(나노)
★ 0.000 000 000 001 =10-12
p
Pico(피코)
★ 100=1 (→ 0을 제외한 모든 수의 0승은 1이다.)
☞ 단위 환산 문제를 본인이 출제하고 풀어보자.
■ MKS 단위계
종 별
기 호
단위/명칭
전류
I
[A]/ampere(암페어)
전압
V
[V]/volt(볼트)
저항
R
[Ω]/ohm(옴)
콘덕턴스
G
[ ]/mho
에너지
W
[J]/joul(줄)
전력
P
[W]/watt(와트)
전하
Q
[C]/coulomb(쿨롬)
정전용량
C
[F]/farad(패럿)
인덕턴스
L
[H]/henry(헨리)
주파수
f
[Hz]/hertz(헤르쯔)
기호와 단위 모두 영어 대소문자를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