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신소설의 작가
1. 이인직 : 최초의 신소설 작가
2. 이해조 : 신소설이 대중소설로서 전성기를 누렸던 시기에 직업적 작가로 활동
3. 최찬식
4. 안국선
Ⅲ. 신소설의 형식적인 기법 특징
Ⅳ. 신소설의 주제와 시대 의식 및 혈의 누
Ⅴ. 혈의 누를 통해 보는 신소설의 한계
Ⅵ.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와 전근대문학적 구투
1.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
2. 전근대문학적 구투
Ⅱ. 신소설의 작가
1. 이인직 : 최초의 신소설 작가
2. 이해조 : 신소설이 대중소설로서 전성기를 누렸던 시기에 직업적 작가로 활동
3. 최찬식
4. 안국선
Ⅲ. 신소설의 형식적인 기법 특징
Ⅳ. 신소설의 주제와 시대 의식 및 혈의 누
Ⅴ. 혈의 누를 통해 보는 신소설의 한계
Ⅵ.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와 전근대문학적 구투
1. 신소설의 근대문학적 면모
2. 전근대문학적 구투
본문내용
들이며, 그 당시 대다수의 지식인들과 부합하는 사실적(寫實的)인 인물(人物)로 그려져 있다. 이 작품의 신소설적 성격을 간단히 살피면 첫째, 언문 일치(言文一致)에 거의 근접해 있으며, 둘째, 서술 시간이 역전적으로 배치되어 있고, 셋째, 표현에서 묘사체 문장이 시도되고 있고, 넷째, 개화 사상이 곳곳에 스며들어 있다. 또한 여섯째, 그 소재들이 대체로 우리 주변에서 일상 일어나는 일들로 택해져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2. 전근대문학적 구투
< 내용 연구>
일청 전쟁(日淸戰爭)의 - 비린 티끌뿐이라. : 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제시된 구절로 청일전쟁의 주 격전지인 평양 지방의 전후 참상을 보여 주고 있다. ‘화셜 ?명 OO년 간에 ~’와 같은 도입부 없이 곧바로 사건이 제시되도 있다. 고전 소설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 준다. 또 ‘일청 전쟁’이라고 하여 일본을 앞세운 것에서 작자의 친일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 아무리 급한 걸음걸이를 - 허둥거리기만 한다. : 마음만 급할 뿐 실제로는 멀리 가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이다. 인물의 행동 묘사가 생생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남이 그 모양을 볼 지경이면, - 들리지 아니할 만하더라. : 고전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물의 내면 표현 방식이 드러나 있다. 전지적 작가 시점과 유사하지만 작가의 목소리가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근대 소설과 구별된다.
▽ 총에 맞아 죽었느냐, - 사람에게 밟혀 죽었느냐. : 이런 표현은 판소리 사설의 운율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신소설이 아직도 완전한 언문일치(言文一致)를 이루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2. 전근대문학적 구투
< 내용 연구>
일청 전쟁(日淸戰爭)의 - 비린 티끌뿐이라. : 작품의 시간적, 공간적 배경이 제시된 구절로 청일전쟁의 주 격전지인 평양 지방의 전후 참상을 보여 주고 있다. ‘화셜 ?명 OO년 간에 ~’와 같은 도입부 없이 곧바로 사건이 제시되도 있다. 고전 소설과는 다른 면모를 보여 준다. 또 ‘일청 전쟁’이라고 하여 일본을 앞세운 것에서 작자의 친일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 아무리 급한 걸음걸이를 - 허둥거리기만 한다. : 마음만 급할 뿐 실제로는 멀리 가지 못하고 허둥대는 모습이다. 인물의 행동 묘사가 생생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남이 그 모양을 볼 지경이면, - 들리지 아니할 만하더라. : 고전 소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인물의 내면 표현 방식이 드러나 있다. 전지적 작가 시점과 유사하지만 작가의 목소리가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근대 소설과 구별된다.
▽ 총에 맞아 죽었느냐, - 사람에게 밟혀 죽었느냐. : 이런 표현은 판소리 사설의 운율을 내포하고 있다. 이것은 신소설이 아직도 완전한 언문일치(言文一致)를 이루지 못하였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추천자료
1930년대 모더니즘 시에서의 근대
유메주야(夢十夜) 제7야(第七夜)에 나타난 소세키의 근대사상 고찰
[현대문학사] 개화기의 문학
유기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국 근대시
[소설창작론]이태준의 패강냉, 복덕방의 구체적 설명과 작가 이태준의 근대인식
김동인 배따라기 분석- 1920년대 근대 소설의 새로운 축
혈의누와 만세전을 통한 근대소설 분석
[소설창작론]이태준의 단편에 나타난 근대에 대한 문제의식과 주제의식
한국현대문학사 <1910년대 문학>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현대소설] '절처봉생' 속에 드러난 근대전환기의 현실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