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형성 및 관료제적 리더십의 확립과정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문제제기
1. 한국의 국가관료제의 기존 연구
2. 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

II. 5.16군사정변 이전의 한국관료제

III. 한국관료제 리더십의 조건: 관료제적 리더십의 확립과정
1. 개인적 배경: 입신의 좌절과 극복의 의지
2. 사회적 조건: 군대의 성장과 관료제화
3. 정치적 조건: 관료제적 리더십의 확립
4. 과도기의 국가관료제 개편: 관료제의 인적청산
5. 국가관료제의 개편을 위한 제도적 장치
6. 제3공화국 출범 이후의 관료제 근대화
1) 관료제 근대화의 지향점: 관행과의 단절
2) 제도적 변화의 내용

IV.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그의 능력이 구체적인 성과로 연결될 수 있는 중요한 조건이 된다.
그러나 이 보다 더욱 결정적으로 이석제의 노력이 구체적인 결실로 연결될 수 있었던 조건은 그가 한국관료제의 1961년 군사정변 이래 거의 20년에 걸쳐 절대적인 권력을 행사한 박정희의 변함없는 신뢰를 받을 수 있었다는 점이다. 그는 군사정변의 주요한 주체이면서도 정치의 영역에 뛰어들지 않음으로써 권력투쟁에 휘말리지 않는 행운을 누렸다. 이 때문에 권력의 주변에서 화려한 각광을 받을 기회는 갖지 못했지만, 권력 대신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소신있게 밀고 나갈 수 있는 강력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이석제가 한국관료제의 형성 과정에서 이룬 성과는 관료제를 포함한 국가운영체계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목적의식과 이를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이라는 개인적 조건과 그가 소속된 집단이 당시 한국에서 가장 선진적인 집단인 군대였다는 사회적 조건, 그리고 통치자로부터 변함없는 신뢰와 강력한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정치적 조건의 산물이었다. 물론 그것은 백지나 다름없던 당시 한국관료제의 지체에 의해 더욱 용이해지기도 했을 것이다.
[참고문헌]
국회인사청문특별위원회(2003) 「제16대 국회 제243회 제2차 감사원장(윤성식) 임명동의에 관한 인사청문특별위원회 회의록(2003. 9. 24.)」
김성진 편저(1994) 『박정희시대: 그것은 우리에게 무엇이었는가』, 조선일보사
김연광(2002) 「청와대 최장기(9년6개월) 비서관 출신의 '대통령 전문가' 김충남 박사」, 『월간조선』, 2002년 7월호
박동서(1961) 『한국관료제도의 역사적 전개』, 한국연구도서관
-----(1969) 「인사행정」, 『한국행정의 역사적 분석, 1948-1967』, 이한빈·박동서 외, 한국행정문제연구소
강 민, 관료적 권위주의의 한국적 생성', 한국정치학보 12, (1983)
권인준, 남북한 정치 행정 엘리트의 충원유형 비교연구', 고려대 석사학위 논문, (1978)
권종국, 한국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의 군부엘리트의 참여에 관한 연구: 제 3공화국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2)
김 견 종속적 발전사회에의 국가의 역할 및 성격: 한국의 중화학 공업화 과정을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6)
김광웅, 한국사회 변동의 이해를 위한 관료적 발전주의 시론', 관료와발전, (서울:평민사, 1986),
김영평, 산업화의 맥락에서 본 한국 관료제의 행방', 한국정치학회보 19, (1985),
김운태, 우리나라 고급 공무원에 관한 실태조사 분석과 한국관료제의 개혁을 위한 제언', 서울대 행정논총 4/2, (1966)
김해동, 관료부패에 관한 연구 Ⅰ', 서울대 행정논총 10/1, (1972)
노정현, 한국근대화와 관료엘리트: 그 성분과 가치체계', 한국근대화론: 문제와 전망, (서울: 박영사, 1980)
박동서, 한국행정부의 고급관리자의 자격조사', 서울대 행정논총 6/2, (1968)
박종주, 한국근대화와 국가 코포라티즘적 통제: 제 3-4공화국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1986)
박현채, 한국경제구조론, (서울; 일월서각,1986)
백완기, 한국의 행정문화, (고려대 출판부, 1982)
손정웅, 한국 국무위원의 충원 분석: 1948-72',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76)
안병만, 정부엘리트와 그 변동',한국정치학회편, 현대한국정치론, (서울: 법문사, 1987)
안용식, 한국 고급 공무원의 모빌리티(mobility)에 관한 연구', 연세대 박사학위 논문
유광호, 한국 관료제에 대한 의회의 통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의정자료 8집, (1985)
유 훈, 한국 고급 공무원의 사회적 배경' 서울대 행정논총 4/2, (1966)
이규태, 한국관료제의 대표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1986)
이광종, 한국관료의 역기능적 행태에 관한 고찰', 서울대 행정논총 19/1, (1981)
이성형, 국가.계급 및 자본축적: 8.3조치를 중심으로', 서울대 석사학논문, (1985)
이한빈, 해방후 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의 발전', 서울대 행정논총 5/1, (1967)
임도빈, 한국 행정관료의 퇴직후 이동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5)
임현진, 현대 한국의 국가 자율성: 도구적 가능성과 구조적 한계', 현대 자본주의와 공 동체이론, (서울, 한길사, 1987)
전수일, 관료부패 연구: 사회 문화적 접근', 한국행정학보 18/2, (1984)
정인흥, 한국관료제의 특질', 정경연구, (1965.8)
차두삼, 한국 군사엘리트와 정치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84)
최장집, 과대성장국가의 형성과 정치균열의 구조', 한국사회연구 3,(서울: 한길사, 1985)
한상진외, 한국사회변동과 국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관료적 권위주의를 중심으로, (서 울: 현대사회연구소, 1985)
황인정, 행정과 경제개발,(서울대 출판부, 1970)
Bark Dong Suh & Chae Jin Lee, `Bureancratic Elite and Development Orientations', Political Leadership in Korea, Suh Dae-Sook & Chae Jin Lee (eds),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6)
Eisenstadt, S. N., The Politial Systems of Empires, (Mew York: Free Press, 1963)
Fainsod, M., `Bureaucracy and Modernization: Russian and Soviet Case', in Bureaucracy and Political Development, LaPalombara, J.(ed), (Princeton Univ. Press 1963)
Heady, F., Public Administration: A Comparative Perspertive(New York: Marcel Dekker, 1984)
Kim Young Jong, Bureaucratic Corruption, (Seoul: Chun Choo Gak, 1986)
  • 가격3,2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1.2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9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