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장 서론
1.도덕적인 인터넷문화의 정의
2.인터넷문화발생원인
3.인터넷문화의 긍정적인기능
4.연구방향
제 2장 본론
제1절 사이버폭력
1.사이버 성폭력의 정의
2.사이버 성폭력의 유형
3.사이버 성폭력의 실태
4.사이버 성폭력 방지를 위한 대책
제 2절 사이버 명예훼손과 사이버 저작권침해
1.사이버 명예훼손ㆍ협박
2.사이버 저작권침해
3.사이버 명예훼손과 사이버 저작권침해의 해결방안
제3절 인터넷 중독
1.인터넷 중독
2.인터넷중독의 실례
3.인터넷 중독의 원인
4.인터넷 중독에 대한 해결책
제4절 인터넷 음란물
1인터넷 음란물의 정의
2.인터넷 음란물의 실태
3.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해결책
제5절 악성 프로그램 유포
1. 악성 프로그램의 정의
2. 악성 프로그램 유포 사례
3. 악성 프로그램 유포 실태
4. 악성 프로그램 유포의 해결방안
제3장 결론
1.도덕적인 인터넷문화의 정의
2.인터넷문화발생원인
3.인터넷문화의 긍정적인기능
4.연구방향
제 2장 본론
제1절 사이버폭력
1.사이버 성폭력의 정의
2.사이버 성폭력의 유형
3.사이버 성폭력의 실태
4.사이버 성폭력 방지를 위한 대책
제 2절 사이버 명예훼손과 사이버 저작권침해
1.사이버 명예훼손ㆍ협박
2.사이버 저작권침해
3.사이버 명예훼손과 사이버 저작권침해의 해결방안
제3절 인터넷 중독
1.인터넷 중독
2.인터넷중독의 실례
3.인터넷 중독의 원인
4.인터넷 중독에 대한 해결책
제4절 인터넷 음란물
1인터넷 음란물의 정의
2.인터넷 음란물의 실태
3.인터넷 음란물에 대한 해결책
제5절 악성 프로그램 유포
1. 악성 프로그램의 정의
2. 악성 프로그램 유포 사례
3. 악성 프로그램 유포 실태
4. 악성 프로그램 유포의 해결방안
제3장 결론
본문내용
Slammer)'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하우리 기술연구소 측은 "이 신종 웜은 SQL 서버의 취약점을 이용해 1434포트로 유입되는 형태로 전파된다"면서 "일단 감염되면 무작위로 서버 IP 주소를 선정, 초당 1MB이상의 과도한 패킷을 날려보냄으로써 서버 부하를 일으켜 시스템을 다운시킨다"고 설명했다.
◆ 전세계로 피해 확산
이번 인터넷 불통사태는 한국 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현재 심각한 인터넷 불통 사태를 겪고 있는 곳은 미국, 한국을 비롯, 태국, 일본, 캄보디아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핀란드의 통신사업자인 텔리아소네라는 핀란드, 스웨덴 외부 지역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SQL을 사용하는 서버들이 접속 불능 사태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태국은 국내 서버는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지만 국제 서버 접속 장애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 역시 갑작스런 인터넷 접속 폭주로 일부 사이트가 마비 상태에 빠졌다고 NHK가 보도했다. NHK에 따르면 일부 대학 컴퓨터가 시간당 20만 히트가 몰리면서 보안회사들이 긴급 조사에 착수했다. 대만도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 대만 최대 인터넷 사업자인 중화텔레콤은 자사 서비스가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으며, 일부 고객들의 인터넷 접속이 여전히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이뉴스 2003-01-25)
3. 악성 프로그램 유포 실태
한국트렌드마이크로(www.trendmicro.co.kr 지사장: 최성환)는 ‘2005년 1사분기 바이러스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에는 바이러스나 웜이 인스턴트 메시지나 휴대 전화기를 통해 전파되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졌고, 인스턴트 메신저(IM)웜, 모바일 악성 프로그램, 안티 마이크로소프트 트로이목마 등이 정보 보안에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인스턴트 메신저(IM)을 이용한 웜이나 바이러스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습성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새에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특히, 캘비르.B 와 팻소.A는 같은 날 동시에 발생한 웜으로 흥미를 끄는 파일명을 갖고 사용자를 현혹하고 있다. 또한 캘비르.B 는 전자우편에 링크를 첨부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들 파일이나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웜은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즉시 다운로드 된다.
트렌드마이크로의 보고서에 따르면, 1사분기에 총 10개의 이동전화용 악성 프로그램이 발견됐으며 특히 3월에는 4개의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특히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 전화는 이동전화용 악성코드의 다음 타켓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용 악성프로그램은 더욱 진보하고, 제거하기 어려워지며, 쉽게 전파되어 사용자의 파일, 주소록을 삭제하거나 전화사용을 어렵게 하는 등의 다양한 위험성을 보유하고 있다.
온라인 상거래를 위협하는 트로이 목마도 계속 창궐하고 있다. 특히 비밀번호 또는 PIN(개인인증번호) 코드를 빼내가는 트로이 목마의 숫자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상거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트로이 목마가 악성 프로그램 제작자의 금전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등 금융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트렌드마이크로 이상규 부장은 "최근 인터넷 메신저 및 휴대폰용 웜이 급성장하고 있다. 분명히 악성 프로그램의 개발자는 이메일보다 빠른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안티바이러스 백신으로 악성파일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사람들의 온라인 사용 습관을 변화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4. 악성 프로그램 유포의 해결방안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48조와 제62조, 63조(부록 참조)의 악성 프로그램 유포 및 해킹에 관한 규정에서 이 같은 행위를 금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신종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1주일에 수백종씩 개발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전자우편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항상 백신의 최신패턴, 엔진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백신 등으로 악성 프로그램의 유포에 대처하기 보다는 제도적 규제의 강화와 도덕적인 차원에서의 예방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수많은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백신을 뛰어넘는 악성 프로그램이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미흡한 인터넷 윤리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한다거나 관련 법규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제3장 결론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덕적인 인터넷문화를 위한 정착방안은 현실사회와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며 현실을 떠나서 치유하는 방법은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현실세계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한 체 인터넷 상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사회에도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들은 법이라는 규범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법이 있기 때문에 질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법은 그 질서를 위반한 자들을 위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문화에 대한 것도 이와 같이 해결해야한다 아무리 좋은 인터넷 윤리 강령이 있다하더라고 그것을 지키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인터넷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타인을 해하고 있다거나 자기 자신에게 해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행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육을 통한 자발적인 인터넷 문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터넷은 자율적인 공간이고 자발적인 공간이다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여러 가기 오프라인 활동을 보더라도 인터넷을 통한 청소년들의 오프라인 활동이나 자율적인 활동들은 그 누구가 주도해서 되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커뮤너티를 통해서 형성되고 발전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제와 규제가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인 통제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병행해서 현실에서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들도 함께 해결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현실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온라인 상의 문제는 언제든지 다시 발생할 것이며 그러한 문제의 징표가 인터넷 문화가 될 것이라는 것도 자명한 사실이다.
◆ 전세계로 피해 확산
이번 인터넷 불통사태는 한국 뿐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엄청난 피해가 예상되고 있다. 현재 심각한 인터넷 불통 사태를 겪고 있는 곳은 미국, 한국을 비롯, 태국, 일본, 캄보디아 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핀란드의 통신사업자인 텔리아소네라는 핀란드, 스웨덴 외부 지역에서 마이크로소프트(MS)의 SQL을 사용하는 서버들이 접속 불능 사태를 겪고 있다고 밝혔다. 태국은 국내 서버는 정상적으로 가동되고 있지만 국제 서버 접속 장애현상이 계속되고 있다. 일본 역시 갑작스런 인터넷 접속 폭주로 일부 사이트가 마비 상태에 빠졌다고 NHK가 보도했다. NHK에 따르면 일부 대학 컴퓨터가 시간당 20만 히트가 몰리면서 보안회사들이 긴급 조사에 착수했다. 대만도 비슷한 상황을 겪고 있다. 대만 최대 인터넷 사업자인 중화텔레콤은 자사 서비스가 심각한 장애를 겪고 있으며, 일부 고객들의 인터넷 접속이 여전히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아이뉴스 2003-01-25)
3. 악성 프로그램 유포 실태
한국트렌드마이크로(www.trendmicro.co.kr 지사장: 최성환)는 ‘2005년 1사분기 바이러스 분석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에는 바이러스나 웜이 인스턴트 메시지나 휴대 전화기를 통해 전파되어 그 속도가 더욱 빨라졌고, 인스턴트 메신저(IM)웜, 모바일 악성 프로그램, 안티 마이크로소프트 트로이목마 등이 정보 보안에 새로운 위협으로 등장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인스턴트 메신저(IM)을 이용한 웜이나 바이러스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습성을 교묘하게 이용하고 있어, 사용자들은 자신도 모르는 새에 바이러스 프로그램을 실행하게 된다. 특히, 캘비르.B 와 팻소.A는 같은 날 동시에 발생한 웜으로 흥미를 끄는 파일명을 갖고 사용자를 현혹하고 있다. 또한 캘비르.B 는 전자우편에 링크를 첨부하는 수법을 사용하고 있다. 사용자가 이들 파일이나 링크를 클릭하게 되면, 웜은 사용자의 시스템으로 즉시 다운로드 된다.
트렌드마이크로의 보고서에 따르면, 1사분기에 총 10개의 이동전화용 악성 프로그램이 발견됐으며 특히 3월에는 4개의 악성코드가 발견됐다. 특히 블루투스가 장착된 휴대 전화는 이동전화용 악성코드의 다음 타켓으로 주목받고 있다. 모바일용 악성프로그램은 더욱 진보하고, 제거하기 어려워지며, 쉽게 전파되어 사용자의 파일, 주소록을 삭제하거나 전화사용을 어렵게 하는 등의 다양한 위험성을 보유하고 있다.
온라인 상거래를 위협하는 트로이 목마도 계속 창궐하고 있다. 특히 비밀번호 또는 PIN(개인인증번호) 코드를 빼내가는 트로이 목마의 숫자가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온라인상거래의 위험을 증가시키고 있다. 이는 트로이 목마가 악성 프로그램 제작자의 금전적인 이익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등 금융 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다.
트렌드마이크로 이상규 부장은 "최근 인터넷 메신저 및 휴대폰용 웜이 급성장하고 있다. 분명히 악성 프로그램의 개발자는 이메일보다 빠른 바이러스의 전파경로를 찾은 것으로 보인다. 안티바이러스 백신으로 악성파일을 제거할 수는 있지만 사람들의 온라인 사용 습관을 변화시키기는 어렵기 때문에 사용자의 주의가 요구된다”고 말했다.
4. 악성 프로그램 유포의 해결방안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48조와 제62조, 63조(부록 참조)의 악성 프로그램 유포 및 해킹에 관한 규정에서 이 같은 행위를 금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신종바이러스는 전세계적으로 1주일에 수백종씩 개발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확산으로 인해 전자우편 및 네트워크를 통해서 빠른 속도로 전파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항상 백신의 최신패턴, 엔진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백신 등으로 악성 프로그램의 유포에 대처하기 보다는 제도적 규제의 강화와 도덕적인 차원에서의 예방책이 절실히 필요하다. 수많은 백신이 개발되었지만 백신을 뛰어넘는 악성 프로그램이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재 미흡한 인터넷 윤리 교육을 철저하게 실시한다거나 관련 법규를 더욱 강화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제3장 결론
이상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덕적인 인터넷문화를 위한 정착방안은 현실사회와는 분리해서 생각할 수도 없는 것이며 현실을 떠나서 치유하는 방법은 효과적인 대처방안이 될 수 없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현실세계의 특성을 그대로 간직한 체 인터넷 상에서 활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실사회에도 여러 가지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한 문제점들은 법이라는 규범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 법이 있기 때문에 질서가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법은 그 질서를 위반한 자들을 위해 존재하고 있는 것이다 인터넷 문화에 대한 것도 이와 같이 해결해야한다 아무리 좋은 인터넷 윤리 강령이 있다하더라고 그것을 지키지 않는다면 아무런 의미가 없는 것이다 인터넷을 주로 사용하는 사람들은 그것이 타인을 해하고 있다거나 자기 자신에게 해가 된다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행위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육을 통한 자발적인 인터넷 문화를 유도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하는 것이다 인터넷은 자율적인 공간이고 자발적인 공간이다 최근의 인터넷을 통한 여러 가기 오프라인 활동을 보더라도 인터넷을 통한 청소년들의 오프라인 활동이나 자율적인 활동들은 그 누구가 주도해서 되어진 것이 아니라 자연발생적으로 커뮤너티를 통해서 형성되고 발전되어진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통제와 규제가 이루어진다면 효과적인 통제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병행해서 현실에서의 여러 가지 사회문제들도 함께 해결하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한다 현실의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는다면 온라인 상의 문제는 언제든지 다시 발생할 것이며 그러한 문제의 징표가 인터넷 문화가 될 것이라는 것도 자명한 사실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과 성문화
사이버공간에서 표현과 결사의 자유에 관한 청년문화
인터넷 소설(사이버문학)과 청소년 문학 - 귀여니의「그놈은 멋있었다」를 중심으로
인터넷 문화 - 인터넷 동호회, 싸이월드(미니홈피), 블로그, 지식검색
인터넷 댓글문화 문석
인터넷윤리(우리가 꿈꾸는 따뜻한 사이버 세상)
인터넷광고 정의, 인터넷광고 유형, 인터넷광고 기능적 특징, 인터넷광고 복잡도, 인터넷광고...
청소년들의 게임·사이버와 같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고찰
[엽기][엽기문화][엽기의 변천][엽기의 영향][엽기사이트의 실태][엽기문화에 대한 과제][엽...
청소년 인터넷 문화)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현황과 인터넷 중독의 의미와 실태
사이버 왕따, 인터넷 중독, 게임 중독, 청소년 문제 및 해결방안
인터넷 언어폭력의 사례 찾기와 언어폭력에 대한 대처방안 모색하기
17-1 청소년문화 학교폭력 완화 및 건전한 학교문화 조성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청소년복지)사이버문화와 청소년에 대하여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