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Prologue
Ⅰ. 소비자 교육
1) 소비자 교육이란?
2) 소비자교육의 정의
3) 소비자교육의 효과
Ⅱ. 청소년 소비자
1) 청소년의 특성
2) 청소년소비자의 특성
3) 청소년 소비의 문제점
4) 청소년 교육의 필요성
Ⅲ.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Chapter1. 사이버 머니)
1) 학습 배경
2) 학습 목표
3) 사례를 통한 도입
4) 사이버머니의 장점
5) 사이버머니의 단점
6) 사이버 머니 관련 문제의 원인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과 연관지어)
7) 사이버 머니 관련 문제의 원인 (기타적 요소에 따른)
8) 생각 바꾸기
Ⅳ.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Chapter2. 핸드폰)
1) 학습 배경
2) 학습 목표
3) 사례를 통한 도입
4) 휴대폰 자가 측정표
5) 휴대폰 요금제
6) 휴대폰 이용 요금 줄이기 (나만의 합리적 휴대폰 비용 설계)
7) 학생들 흥미유발 자료
Ⅴ. 참고자료
Ⅰ. 소비자 교육
1) 소비자 교육이란?
2) 소비자교육의 정의
3) 소비자교육의 효과
Ⅱ. 청소년 소비자
1) 청소년의 특성
2) 청소년소비자의 특성
3) 청소년 소비의 문제점
4) 청소년 교육의 필요성
Ⅲ.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Chapter1. 사이버 머니)
1) 학습 배경
2) 학습 목표
3) 사례를 통한 도입
4) 사이버머니의 장점
5) 사이버머니의 단점
6) 사이버 머니 관련 문제의 원인 (청소년의 발달적 특징과 연관지어)
7) 사이버 머니 관련 문제의 원인 (기타적 요소에 따른)
8) 생각 바꾸기
Ⅳ.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Chapter2. 핸드폰)
1) 학습 배경
2) 학습 목표
3) 사례를 통한 도입
4) 휴대폰 자가 측정표
5) 휴대폰 요금제
6) 휴대폰 이용 요금 줄이기 (나만의 합리적 휴대폰 비용 설계)
7) 학생들 흥미유발 자료
Ⅴ. 참고자료
본문내용
이 있는 응답자의 60.2%가 '1년 6개월'이내에 휴대폰을 교체했으며 이 중 중학생은 73.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소년들의 휴대폰 구입 가격은 30만원대가 26.4%로 가장 많이 차지했고 50만원 이상 고가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우도 20.2%인 것으로 조사됐으며 휴대폰 구입시 다지인(29.2%)를 가장 우선시하는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휴대폰 요금 선택시 '요금체계에 대해 자세한 설명을 듣고 구입'하는 경우는 35.4%에 머문 것으로 조사됐다.
이 설문에 참여한 청소년들 중 32.2%가 1일 평균 100건 이상의 문자를 보낸다고 답했으며 특히 중학생의 경우 40.4%가 100건 이상 전송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휴대폰 및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불만.피해를 경험한 청소년 29.2% 중 절반 가량인 45.2%(불만.피해 경험 청소년 대비)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고 답해 피해 보상 대처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시 소비생활센터 관계자는 "중 . 고등학생들이 휴대폰 불만. 피해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나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소비자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학교, 청소년 단체 등을 통한 소비자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박인옥기자 pio@newsis.com
4) 휴대폰 자가 측정표
5) 휴대폰 요금제
①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이동전화 요금 구조는 기본료와 통화료로 나누고 그 외에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요금제, 부가서비스 이용료, 무선데이터 이용료를 낸다.
② 기본료 : 이용자가 이용전화를 언제든 걸거나 받을 수 있도록 시설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
③ 표준요금제 : 가장 일반적인 이용자를 기준으로 한 요금제
④ 선택요금제 : 표준요금제를 다양하게 변형한 것
예) 청소년 전용 요금제, 소량 요금제, 커플할인, 지정번호 할인, 주말할인 요금제 등
cf) 주의 : 선택요금제가 반드시 저렴한 것은 아니다. 계산을 해보고 어떤 것이 나에게 할인혜택이 큰지 확인해야 한다.
⑤ 부가서비스 : 일반적인 통화 외에 발신번호 표시, 벨소리 변환, 매너콜 추적연결, 듀얼넘버, 멜로디무제한, 친구찾기 무제한, 착신통화 전환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가격은 최소 월 500원에서 3000원대)
⑥ 무선데이터 이용료 : 기본료와 통화료 외에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을 다운받을 때 부과되는 요금을 말한다. (통신료(패킷) + 정보이용료)
cf) 주의 : 데이터프리 정액요금, 무선데이터 패킷 선택 요금제 등의 기본료는 통화시의 기본료와는 다르게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다.
6) 휴대폰 이용 요금 줄이기 (나만의 합리적 휴대폰 비용 설계)
① 정보통신부 이동전화 최적요금제 조회 (http://010.ktoa.or.kr)
②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요금상품으로 선택한다.
-다양한 요금제 중 나에게 맞는 절약 가능한 요금제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 현재 자신의 요금비용과 비교하여 절약 가능한 부분을 찾아본다.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혹은 중요하지 않은 부가서비스는 없는지 확인해본다.
③ 그밖에 휴대폰 요금 줄이는 방법
- 자신의 통화량을 수시로 점검해 전체 통화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통화가 끝난 후 그냥 닫지 말고 종료버튼을 누르고 끊으면 10초(15~20원) 아낄 수 있다.
- 휴대폰을 그냥 닫을 경우 통신회사에서 이것이 통신장애인지 아닌지 판단한다고 한다. 이를 위해 10초 동안 신호를 보내 보고 응답이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종료가 된다고 한다.
7) 학생들 흥미유발 자료
① 휴대전화가 물에 젖었을 때 중요한 응급조치는?
가장 먼저 할 것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를 몸체에서 분리한다. 겉 표면을 닦고 다시 전원을 켜면 고장 나지 않았다는 증거겠지 하는 기대를 갖고 다시 전원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 순간 휴대전화는 망가져 버린다. 전원을 다시 켜면 물에 젖은 휴대전화 내부에서 일제히 합선이 일어나 회로가 모두 타버리기 때문이다. 이틀에서 사흘정도 열어두면 내부 습기가 대부분 제거된다.
② 이동전화 가입시 초기 납입금은?
신규 가입시 대리점에서 가입비외 초기 납입금 30,000~50,000원을 요구한다. 초기납입금이 어떤 비용인가? 초기납입금(선납금)이란 이동전화서비스와는 상관없이 대리점이나 판매점등에서 자체적으로 단말기 판매마진의 명목으로 받고 있다. 단말기 판매마진의 성격이다 보니 판매점마다 그 금액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정보를 비교하여 저렴한 곳을 선택해 구입한다.
③ 분실핸드폰 찾는 방법
먼저 핸드폰을 습득한 경우는 가까운 우체국에 신고하거나 콜센터(02-3471-4098)에 맡긴다. 습득, 신고한 사람은 단말기의 기종 및 상태에 따라 5,000원~20,000원 상당의 상품권 등을 받을 수 있다. 우체국에 신고된 단말기는 감독 우체국을 거쳐 분실단말기 관리센터에 보내지게 되며, 관리센터에서는 분실단말기의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주인을 찾아준다.
사전에 콜센터의 핸드폰 메아리서비스에 가입되면 분실된 핸드폰을 습득, 신고 시 사전에 등록된 이메일로 즉시 통보해 주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분실된 핸드폰 문의는 www.handphone.or.kr, 02-3471-1155으로 문의
(SK 텔레콤: 1566-0011, K T F : 1588-0010, LG 텔레콤: 1544-0010)
Ⅴ. 참고자료
- 소비자 교육과 정보 (이승신, 류미현, 황은애 저) 신정출판사
- 생활 속에서 배우는 소비자 교육 (김시월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 한국 소비자 보호원
- 한국 소비자 교육 지원 센터
- 우수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이전 수상작들 참고
- 검색 포털 사이트 naver에서 실제 사례를 다룬 기사 검색
- 청소년 소비자 경제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및 개발 (이화여대 소비자인간발달학과, 2006)
- 연령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소비자 의식 및 정보 탐색, 활용과 소비행동 분석 (허경옥)
- 청소년의 학교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성여자고등학교, 유지연, 2005)
- 십대초반 청소년의 아바타 소비행위를 통해 본 소비의 상징적 의미 연구 (손상희)
이 설문에 참여한 청소년들 중 32.2%가 1일 평균 100건 이상의 문자를 보낸다고 답했으며 특히 중학생의 경우 40.4%가 100건 이상 전송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휴대폰 및 무선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불만.피해를 경험한 청소년 29.2% 중 절반 가량인 45.2%(불만.피해 경험 청소년 대비)가 '아무런 대응도 하지 않았다'고 답해 피해 보상 대처에 소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관련 시 소비생활센터 관계자는 "중 . 고등학생들이 휴대폰 불만. 피해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나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소비자교육이 절실히 요구된다"며 "학교, 청소년 단체 등을 통한 소비자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고 밝혔다.
박인옥기자 pio@newsis.com
4) 휴대폰 자가 측정표
5) 휴대폰 요금제
①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이동전화 요금 구조는 기본료와 통화료로 나누고 그 외에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선택요금제, 부가서비스 이용료, 무선데이터 이용료를 낸다.
② 기본료 : 이용자가 이용전화를 언제든 걸거나 받을 수 있도록 시설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비용
③ 표준요금제 : 가장 일반적인 이용자를 기준으로 한 요금제
④ 선택요금제 : 표준요금제를 다양하게 변형한 것
예) 청소년 전용 요금제, 소량 요금제, 커플할인, 지정번호 할인, 주말할인 요금제 등
cf) 주의 : 선택요금제가 반드시 저렴한 것은 아니다. 계산을 해보고 어떤 것이 나에게 할인혜택이 큰지 확인해야 한다.
⑤ 부가서비스 : 일반적인 통화 외에 발신번호 표시, 벨소리 변환, 매너콜 추적연결, 듀얼넘버, 멜로디무제한, 친구찾기 무제한, 착신통화 전환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가격은 최소 월 500원에서 3000원대)
⑥ 무선데이터 이용료 : 기본료와 통화료 외에 동영상, 음악 파일 등을 다운받을 때 부과되는 요금을 말한다. (통신료(패킷) + 정보이용료)
cf) 주의 : 데이터프리 정액요금, 무선데이터 패킷 선택 요금제 등의 기본료는 통화시의 기본료와는 다르게 추가로 구성되는 것이다.
6) 휴대폰 이용 요금 줄이기 (나만의 합리적 휴대폰 비용 설계)
① 정보통신부 이동전화 최적요금제 조회 (http://010.ktoa.or.kr)
② 자신에게 가장 적합한 요금상품으로 선택한다.
-다양한 요금제 중 나에게 맞는 절약 가능한 요금제도가 있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겠다.
- 현재 자신의 요금비용과 비교하여 절약 가능한 부분을 찾아본다. 예를 들어, 사용하지 않는 혹은 중요하지 않은 부가서비스는 없는지 확인해본다.
③ 그밖에 휴대폰 요금 줄이는 방법
- 자신의 통화량을 수시로 점검해 전체 통화시간을 적절히 조절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 통화가 끝난 후 그냥 닫지 말고 종료버튼을 누르고 끊으면 10초(15~20원) 아낄 수 있다.
- 휴대폰을 그냥 닫을 경우 통신회사에서 이것이 통신장애인지 아닌지 판단한다고 한다. 이를 위해 10초 동안 신호를 보내 보고 응답이 없는 경우 자동적으로 종료가 된다고 한다.
7) 학생들 흥미유발 자료
① 휴대전화가 물에 젖었을 때 중요한 응급조치는?
가장 먼저 할 것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배터리를 몸체에서 분리한다. 겉 표면을 닦고 다시 전원을 켜면 고장 나지 않았다는 증거겠지 하는 기대를 갖고 다시 전원버튼을 누르게 되는데 이 순간 휴대전화는 망가져 버린다. 전원을 다시 켜면 물에 젖은 휴대전화 내부에서 일제히 합선이 일어나 회로가 모두 타버리기 때문이다. 이틀에서 사흘정도 열어두면 내부 습기가 대부분 제거된다.
② 이동전화 가입시 초기 납입금은?
신규 가입시 대리점에서 가입비외 초기 납입금 30,000~50,000원을 요구한다. 초기납입금이 어떤 비용인가? 초기납입금(선납금)이란 이동전화서비스와는 상관없이 대리점이나 판매점등에서 자체적으로 단말기 판매마진의 명목으로 받고 있다. 단말기 판매마진의 성격이다 보니 판매점마다 그 금액이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이용자가 정보를 비교하여 저렴한 곳을 선택해 구입한다.
③ 분실핸드폰 찾는 방법
먼저 핸드폰을 습득한 경우는 가까운 우체국에 신고하거나 콜센터(02-3471-4098)에 맡긴다. 습득, 신고한 사람은 단말기의 기종 및 상태에 따라 5,000원~20,000원 상당의 상품권 등을 받을 수 있다. 우체국에 신고된 단말기는 감독 우체국을 거쳐 분실단말기 관리센터에 보내지게 되며, 관리센터에서는 분실단말기의 일련번호를 검색하여 주인을 찾아준다.
사전에 콜센터의 핸드폰 메아리서비스에 가입되면 분실된 핸드폰을 습득, 신고 시 사전에 등록된 이메일로 즉시 통보해 주며, 누구나 무료로 이용 가능하다.
분실된 핸드폰 문의는 www.handphone.or.kr, 02-3471-1155으로 문의
(SK 텔레콤: 1566-0011, K T F : 1588-0010, LG 텔레콤: 1544-0010)
Ⅴ. 참고자료
- 소비자 교육과 정보 (이승신, 류미현, 황은애 저) 신정출판사
- 생활 속에서 배우는 소비자 교육 (김시월 저) 건국대학교 출판부
- 한국 소비자 보호원
- 한국 소비자 교육 지원 센터
- 우수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이전 수상작들 참고
- 검색 포털 사이트 naver에서 실제 사례를 다룬 기사 검색
- 청소년 소비자 경제 교육 프로그램 평가 및 개발 (이화여대 소비자인간발달학과, 2006)
- 연령에 따른 소비자 집단별 소비자 의식 및 정보 탐색, 활용과 소비행동 분석 (허경옥)
- 청소년의 학교 소비자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성여자고등학교, 유지연, 2005)
- 십대초반 청소년의 아바타 소비행위를 통해 본 소비의 상징적 의미 연구 (손상희)
키워드
추천자료
청소년기 청년 성인초기 특징과 문제점 및 사회적해결방안
대중매체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과 문제점, 해결방안
원조교제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청소년 분석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소비자운동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청소년 아르바이트의 실태와 문제점에 따른 새로운 프로그램 개발
지역사회에서의 청소년 교육과 관련한 문제점
자살 청소년의 원인과 실태 및 문제점과 예방대책
청소년 음주의 실태와 문제점 및 대책방안(A+)
청소년 가출의 원인, 문제점, 해결방안(프로그램)을 제시하시오
사이버 세대 청소년의 행복 추구와 문제점 대책에 대해서 서술하시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이용 실태와 문제점 분석!
청소년 인성교육 시행에 따른 문제점과 해결방안(학습자의 의견)을 제시 : 인성교육
청소년의 sns 현황과 문제점, 해결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우리나라 청소년복지의 역사를 정리하고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