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IT기술 지배사회의 명암
2. IT기술과 가상현실
3. 가상현실과 솔리데리티
4. 디지털 의사소통과 윤리
5. 가상공동체와 신뢰
2. IT기술과 가상현실
3. 가상현실과 솔리데리티
4. 디지털 의사소통과 윤리
5. 가상공동체와 신뢰
본문내용
의 자치 공동체”가 생겨날 가능성은 문화에 따라 다를 것이다. 전통적인 사회 조직 내에서의 정직성, 신뢰도에 따라 정보사회의 긍정적인 귀결들은 효율적으로 될 수도 있고, 오히려 “실제적 삶의 관계(Verhltnis des wirklichen Lebens)”를 혼란에 빠트리게 될 수 도 있을 것이다.
신뢰란 어떤 공동체 내에서 그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이 보편적인 규범에 기초하여 규칙적이고 정직하며 협동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이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규칙적인 행동을 기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다른 사람들이 규칙적으로 동료를 속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회는 많이 있다. 이 때 행동은 규칙적이지만, 정직하지 않으며 신뢰의 결핍으로 이어진다. 이 규범은 신이나 정의의 본성과 같이 심오한 “가치”의 문제에 관한 것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직업상의 규범이나 행동규범과 같은 세속적 규범을 망라한다. 우리는 의사가 히포크리테스의 선서와 의사로서의 규범을 준수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의사가 우리를 해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한편 계약과 이기심이 결속의 중요한 원천이 될 수는 있지만, 윤리적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에 기초할 때 조직은 가장 효율적으로 된다. 이러한 공동체는 사전에 합의된 도덕률이 그 집단의 구성원에게 상호 신뢰의 기초를 마련해 주기 때문에 더 이상의 계약과 구성원의 관계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필요치 않다. 가상공동체는 외부적인 규칙과 규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구성원 각각에 내면화된 윤리적 관습과 호혜적인 도덕적 의무감을 바탕으로 형성된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규칙이나 관습은 가상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신뢰의 터전이 된다. 가상현실에서도 실제적 삶의 공간에서의 공동체적 도덕 규범은 여전히 필요하며, 정직, 책임감 따위의 덕목을 내면화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상의 사람들(네티즌)의 공동의 규범을 설정하는 일은 그 구성원들 간의 신뢰의 전제가 된다. 한마디로 가상공동체 역시 하나의 사회라면 네티즌 개개인의 덕성에 호소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덕성에 기초해야 하며, 그것은 곧 전통의 공동체적 삶의 조직원리와 다를 바 없다.
세계화, 지구화, 신자유주의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나는 실상 세계와 별반 교호하지 않는다. 인간은 세계적 동물이 아니다. 아주 지역적이고, 나의 정체성은 사소하고, 세세한 문화적 특징들에 의해 형상화된다. 물리적인 세계의 실제적인 삶의 과정은 ‘자아인식’의 기초이다. 삶을 추상화하는 버추얼 리얼리티는 세계화를 향한 자유시장의 유토피아로서는 좋은 것이지만, 육체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우리에게 언제나 좋은 것은 아니다. 생물학의 주장에 의하면 우리는 가상공동체의 신인간이 정말로 새로운 피조물인가? 아니다. 우리는 5천년 전보다 빨리 뛰거나,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듣거나, 색깔 구분을 더 잘하지 않는다. 그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섹스하고, 그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밥을 먹는다. 디지털 기술은 시간과 공간을 압축하였지만, 압축된 시간·공간에 거주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위상은 전혀 변화가 없다. 가상세계와 물리적 세계 사이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내가 가상공동체 내의 건강한 성원일 수 있으려면 이성의 자율성에 기초한 실제적 공동체를 더욱 견고히 해야 한다. 가상공동체 내에서의 익명적 소통을 원활히 하려면 실제적 의사소통공동체의 신뢰에 뿌리내려야 한다. 의사소통 능력은 신뢰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가상현실로 이주하면서 인간의 대지는 딱딱한 변성토양으로 변해 버렸다. 가상현실에서 내가 진정 나 일 수 있으려면, 상실한 실존의 영토를 이성이 지배하는 부드러운 땅으로 바꾸어야 한다.■
신뢰란 어떤 공동체 내에서 그 공동체의 다른 구성원들이 보편적인 규범에 기초하여 규칙적이고 정직하며 협동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는 기대이다. 공동체의 구성원이 규칙적인 행동을 기대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다른 사람들이 규칙적으로 동료를 속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사회는 많이 있다. 이 때 행동은 규칙적이지만, 정직하지 않으며 신뢰의 결핍으로 이어진다. 이 규범은 신이나 정의의 본성과 같이 심오한 “가치”의 문제에 관한 것일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 직업상의 규범이나 행동규범과 같은 세속적 규범을 망라한다. 우리는 의사가 히포크리테스의 선서와 의사로서의 규범을 준수할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에 의사가 우리를 해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한편 계약과 이기심이 결속의 중요한 원천이 될 수는 있지만, 윤리적 가치를 공유하는 공동체에 기초할 때 조직은 가장 효율적으로 된다. 이러한 공동체는 사전에 합의된 도덕률이 그 집단의 구성원에게 상호 신뢰의 기초를 마련해 주기 때문에 더 이상의 계약과 구성원의 관계에 대한 법적인 규제가 필요치 않다. 가상공동체는 외부적인 규칙과 규제에 의해서가 아니라 구성원 각각에 내면화된 윤리적 관습과 호혜적인 도덕적 의무감을 바탕으로 형성된 문화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 규칙이나 관습은 가상공동체의 구성원에게 신뢰의 터전이 된다. 가상현실에서도 실제적 삶의 공간에서의 공동체적 도덕 규범은 여전히 필요하며, 정직, 책임감 따위의 덕목을 내면화해야 한다. 더욱이 네트워크 상의 사람들(네티즌)의 공동의 규범을 설정하는 일은 그 구성원들 간의 신뢰의 전제가 된다. 한마디로 가상공동체 역시 하나의 사회라면 네티즌 개개인의 덕성에 호소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덕성에 기초해야 하며, 그것은 곧 전통의 공동체적 삶의 조직원리와 다를 바 없다.
세계화, 지구화, 신자유주의라는 말이 유행하고 있다. 세계화 시대를 살아가는 나는 실상 세계와 별반 교호하지 않는다. 인간은 세계적 동물이 아니다. 아주 지역적이고, 나의 정체성은 사소하고, 세세한 문화적 특징들에 의해 형상화된다. 물리적인 세계의 실제적인 삶의 과정은 ‘자아인식’의 기초이다. 삶을 추상화하는 버추얼 리얼리티는 세계화를 향한 자유시장의 유토피아로서는 좋은 것이지만, 육체로부터 이탈할 수 없는 우리에게 언제나 좋은 것은 아니다. 생물학의 주장에 의하면 우리는 가상공동체의 신인간이 정말로 새로운 피조물인가? 아니다. 우리는 5천년 전보다 빨리 뛰거나, 낮은 주파수의 소리를 듣거나, 색깔 구분을 더 잘하지 않는다. 그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섹스하고, 그때와 똑같은 방식으로 밥을 먹는다. 디지털 기술은 시간과 공간을 압축하였지만, 압축된 시간·공간에 거주하는 인간의 생물학적 위상은 전혀 변화가 없다. 가상세계와 물리적 세계 사이의 간격이 점점 넓어지고 있다.
내가 가상공동체 내의 건강한 성원일 수 있으려면 이성의 자율성에 기초한 실제적 공동체를 더욱 견고히 해야 한다. 가상공동체 내에서의 익명적 소통을 원활히 하려면 실제적 의사소통공동체의 신뢰에 뿌리내려야 한다. 의사소통 능력은 신뢰로부터 나오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가상현실로 이주하면서 인간의 대지는 딱딱한 변성토양으로 변해 버렸다. 가상현실에서 내가 진정 나 일 수 있으려면, 상실한 실존의 영토를 이성이 지배하는 부드러운 땅으로 바꾸어야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 기술 개방 대응론 ( IT 라운드 대비 )
황우석 사태로 바라본 과학기술자들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IT BT NT 기술 융합
IT, BT, NT 융합기술에 대하여
사회복지실천기술-사회복지사는 실천을 행함에 있어 윤리적 기준을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윤리적 결정사례에 대해서
[경제성장]경제성장의 논쟁, 경제성장과 금융환경, 경제성장과 금융마크업률, 경제성장과 투...
아시아의 M커머스(엠커머스)시장, 아시아의 영상산업시장, 아시아의 IT(기술정보화)시장, 아...
[일본 산업][조선산업]일본의 조선산업, 일본의 항공산업, 일본의 IT산업(정보기술산업), 일...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실천기술의 기초이론 -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해, 사회복지실...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상담기술에 대한 분석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강화 방안 (사회복지 상담...
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의 필요성에 대하여 기술하시고, 이 두 개념의 차이점을 비교하...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사회복지사가 느끼는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지 기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