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역사의 개념
1) 역사라는 단어의 의미
2) 역사의 양면성
3) 역사의 특성
Ⅱ 역사란 무엇인가 ?
Ⅲ. 역사인식에 대한 방법적 전개
Ⅳ.역사관의 문제
1) 역사라는 단어의 의미
2) 역사의 양면성
3) 역사의 특성
Ⅱ 역사란 무엇인가 ?
Ⅲ. 역사인식에 대한 방법적 전개
Ⅳ.역사관의 문제
본문내용
량이 부족한 사회에서는 개인을 위한 자유방임적 의미의 자유는 더 이상 용납될 수 없고, 전체의 경제적 평등과 관련지어 수정되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적어도 전통적으로 자유를 누려 왔던 사회 계층에 대해서는 카의 “새로운 자유란 전통적 자유의 확대가 아니라 오히려 그 부정이다” . 그러나 현단계로서는 자유에 대한 그러한 통제가 불가피한 것이고 그것은 자유의 부정이 아니라 완전한 자유 - 생산의 계획화를 통한 풍부한 부의 창출에 의해서만 실현될 수 있는 - 를 행한 노정의 필수적인 단계이다.
한편 합리주의자로서의 카의 이성관은 인간의 정치적.사회적 행위를 결정하는 힘을 이성에서 구한다는 점에서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와 일치한다. 그러나 카는 인류역사의 진보의 방법을 이성에 의한 혁명이라고 봄으로써 포퍼의 ‘점진적 사회공학’을 비판한다. 정강이나 이념에 따라 사회를 전체적으로 개조하려는 ‘유토피아주의’에 반대하는 포퍼의 사회공학은 기존 체제 내에서의 점진적 개혁을 옹호하는 보수주의적 입장이다. 따라서 포퍼의 합리주의에서는 이성이란 기존의 사회질서에 종속되어 ‘미봉책’에 불과한 ‘단편적인 사회개방’에만 국한된 소극적인 기능밖에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카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사실 포퍼 교수의 사고방식에서 보여지는 이성의 지위는 어딘가 영국 공무원의 지위와 비슷하다. 영국 공무원은 집권정부의 정책을 시행할 권한이 있고, 이러한 정책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 실제적인 개선책을 건의할 자격이 있으면서도 그 정책의 그 기본적인 전체나 궁극적 목표를 의심할 자격은 갖지 못한다.
카는 인간 세계의 거대한 진보란 언제나 기존의 제도와 그것의 토대가 되는 전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공격을 통해서 이룩되었다고 보고 있다. 카에게 진보의 신념이란 점진주의가 아니라 혁명의 의미를 지닌 것이다. 그리하여 카는 영국의 ‘철저한 경험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는 철저한 보수주의’를 공격하고 현존하는 상황의 개선을 위하여 ‘이성의 이름으로 근본적인 도전’을 감행할 것을 촉구한다.
이 점에서 역사가로서 카 역시, 그가 예시하였던 보수주의 역사가인 네이미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 네이미어가 자유주의 혁명과 이념에 대하여 환멸과 실망을 느꼈던 시대의 영국적 분위기를 반영하였다면, 카에게는 격변하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려고 몸부림치는 영국의 또 다른 시대 상황이 투영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합리주의자로서의 카의 이성관은 인간의 정치적.사회적 행위를 결정하는 힘을 이성에서 구한다는 점에서 포퍼의 ‘비판적 합리주의’와 일치한다. 그러나 카는 인류역사의 진보의 방법을 이성에 의한 혁명이라고 봄으로써 포퍼의 ‘점진적 사회공학’을 비판한다. 정강이나 이념에 따라 사회를 전체적으로 개조하려는 ‘유토피아주의’에 반대하는 포퍼의 사회공학은 기존 체제 내에서의 점진적 개혁을 옹호하는 보수주의적 입장이다. 따라서 포퍼의 합리주의에서는 이성이란 기존의 사회질서에 종속되어 ‘미봉책’에 불과한 ‘단편적인 사회개방’에만 국한된 소극적인 기능밖에 행사할 수 없게 된다. 카는 그것을 다음과 같이 비판한다.
사실 포퍼 교수의 사고방식에서 보여지는 이성의 지위는 어딘가 영국 공무원의 지위와 비슷하다. 영국 공무원은 집권정부의 정책을 시행할 권한이 있고, 이러한 정책의 효능을 높이기 위해 실제적인 개선책을 건의할 자격이 있으면서도 그 정책의 그 기본적인 전체나 궁극적 목표를 의심할 자격은 갖지 못한다.
카는 인간 세계의 거대한 진보란 언제나 기존의 제도와 그것의 토대가 되는 전제들에 대한 근본적인 공격을 통해서 이룩되었다고 보고 있다. 카에게 진보의 신념이란 점진주의가 아니라 혁명의 의미를 지닌 것이다. 그리하여 카는 영국의 ‘철저한 경험주의의 형태로 나타나는 철저한 보수주의’를 공격하고 현존하는 상황의 개선을 위하여 ‘이성의 이름으로 근본적인 도전’을 감행할 것을 촉구한다.
이 점에서 역사가로서 카 역시, 그가 예시하였던 보수주의 역사가인 네이미어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시대적 산물이라 할 수 있다. 즉, 네이미어가 자유주의 혁명과 이념에 대하여 환멸과 실망을 느꼈던 시대의 영국적 분위기를 반영하였다면, 카에게는 격변하는 세계사의 흐름 속에서 새로운 좌표를 설정하려고 몸부림치는 영국의 또 다른 시대 상황이 투영되어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헌법][헌법철학][헌법보호][대한민국헌법][한국헌법][법][법률][법치]헌법의 개념, 헌법의 ...
[남북통일, 남북통일정책, 통일정책] - 남북통일의 개념, 의미, 당위성과 남북통일정책의 역...
[방송][방송 역사적 전개][공영방송 KBS의 개혁][교육방송 EBS의 개혁][지역방송 ITV의 개혁]...
[예배][기독교예배][예배(기독교예배) 다양성][진정한 예배(기독교예배)]예배(기독교예배)의 ...
와인의 개념,역사,실태,시장조사,와인기업에 대한 조사 자료
[스포츠][수상스포츠][스킨스쿠버][스킨스쿠버다이빙][수상스키]스포츠의 개념, 스포츠의 기...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개념, 독자반응(독자반응이론)의 유형, ...
4 19의거(4 19혁명)의 개념, 중요성, 4 19의거(4 19혁명)의 역사적 배경, 4 19의거(4 19혁명)...
[코칭 리더십 Coaching Leadership] 코칭 리더십 개념, 코칭 리더십의 주요기술, 기업사례, ...
[백두대간][산][산맥][산경표][산맥체계][태백산맥]백두대간의 개념, 백두대간의 형태, 백두...
문화 인류학이란 무엇인가, 역사인류학의 내용과 과제
『노인 장기요양보험 제도에 대한 고찰』시설급여를 중심으로 - 노인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개...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공공조형물은 그것이 세워지는 지역이나 장소의 역사적 사회적 의미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