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방송의 개념
1. 방송의 정의
2. 방송의 속성
1) 방송의 편재성(ubiquity)
2) 즉시성(immediacy)
3) 탐욕성(voracity)
4) 유연성(flexibility)
5) 자발성(voluntariness)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3. 배양효과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2) 재원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2) 해외방송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2) 교육방송·교통방송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2) TV
7. 공영방송 시대(1980-1991)
Ⅲ. 공영방송 KBS의 개혁
1. 이념의 재정립
2. 독립성-공정성확보
1) 규제 및 통제 시스템의 개혁
2) 외부 감시체계의 재정비와 투명성 증대
3) 내부 민주주의의 정착과 자율권의 신장
3. 채널 및 편성 개혁
4. 효율성 개혁
5. 국민 참여권 보장
6. 지역방송의 정상화
Ⅳ. 교육방송 EBS의 개혁
1. 교육방송에서 교육개혁방송으로
2. 책임경영과 전문성 확보
3. 효율성 개혁
4. 방송 소외 계층, 소외 영역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
5. 비정규직 종사자의 처우 개선
6. 국민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통로의 마련
7. 주요 도시에 프로그램 판매 사무소의 운영
8. 선택과 집중의 수정
Ⅴ. 지역방송 ITV의 개혁
1. 정체성
2. 공익적 민영방송의 실현방안
1) 소유구조개편 : 비영리재단법인 설립을 중심으로
2) 경영구조개편 : 사장추천공모제
3) 방송언론의 독립과 시민참여
4) SBS노동조합과 연대
참고문헌
1. 방송의 정의
2. 방송의 속성
1) 방송의 편재성(ubiquity)
2) 즉시성(immediacy)
3) 탐욕성(voracity)
4) 유연성(flexibility)
5) 자발성(voluntariness)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3. 배양효과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2) 재원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2) 해외방송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2) 교육방송·교통방송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2) TV
7. 공영방송 시대(1980-1991)
Ⅲ. 공영방송 KBS의 개혁
1. 이념의 재정립
2. 독립성-공정성확보
1) 규제 및 통제 시스템의 개혁
2) 외부 감시체계의 재정비와 투명성 증대
3) 내부 민주주의의 정착과 자율권의 신장
3. 채널 및 편성 개혁
4. 효율성 개혁
5. 국민 참여권 보장
6. 지역방송의 정상화
Ⅳ. 교육방송 EBS의 개혁
1. 교육방송에서 교육개혁방송으로
2. 책임경영과 전문성 확보
3. 효율성 개혁
4. 방송 소외 계층, 소외 영역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
5. 비정규직 종사자의 처우 개선
6. 국민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통로의 마련
7. 주요 도시에 프로그램 판매 사무소의 운영
8. 선택과 집중의 수정
Ⅴ. 지역방송 ITV의 개혁
1. 정체성
2. 공익적 민영방송의 실현방안
1) 소유구조개편 : 비영리재단법인 설립을 중심으로
2) 경영구조개편 : 사장추천공모제
3) 방송언론의 독립과 시민참여
4) SBS노동조합과 연대
참고문헌
본문내용
y)
5) 자발성(voluntariness)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3. 배양효과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2) 재원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2) 해외방송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2) 교육방송·교통방송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2) TV
7. 공영방송 시대(1980-1991)
Ⅲ. 공영방송 KBS의 개혁
1. 이념의 재정립
2. 독립성-공정성확보
1) 규제 및 통제 시스템의 개혁
2) 외부 감시체계의 재정비와 투명성 증대
3) 내부 민주주의의 정착과 자율권의 신장
3. 채널 및 편성 개혁
4. 효율성 개혁
5. 국민 참여권 보장
6. 지역방송의 정상화
Ⅳ. 교육방송 EBS의 개혁
1. 교육방송에서 교육개혁방송으로
2. 책임경영과 전문성 확보
3. 효율성 개혁
4. 방송 소외 계층, 소외 영역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
5. 비정규직 종사자의 처우 개선
6. 국민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통로의 마련
7. 주요 도시에 프로그램 판매 사무소의 운영
8. 선택과 집중의 수정
Ⅴ. 지역방송 ITV의 개혁
1. 정체성
2. 공익적 민영방송의 실현방안
1) 소유구조개편 : 비영리재단법인 설립을 중심으로
2) 경영구조개편 : 사장추천공모제
3) 방송언론의 독립과 시민참여
4) SBS노동조합과 연대
참고문헌
Ⅰ. 방송의 개념
1. 방송의 정의
방송이라 함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과 교양, 음악 오락 연예 등을 공중에게 전파함을 목적으로 방송국이 행하는 무선통신의 송신을 말한다.
2. 방송의 속성
1) 방송의 편재성(ubiquity)
동시에 순식간에 광범위하게 한다.
2) 즉시성(immediacy)
방송이 전파를 통해 방송국으로 즉시 시청자에게 도달한다. 송신과 수신이 동시점에서 이루어지므로 이를 방송에 동시각성이라고 한다.
3) 탐욕성(voracity)
끊임없는 이야기거리를 창출한다.
4) 유연성(flexibility)
편집, 조종 가능(기술적 측면)하다.
5) 자발성(voluntariness)
수용자의 직접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전파영역을 필요로 하기에 관리상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사회적 위력, 영향력을 이야기한다.
3. 배양효과
TV매체는 매일 같은 범죄, 폭력 등을 계속 방송할 경우의 인식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 효과. 지각과정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국영방송 : 초창기 방송
공영방송 : 공공단체나 기관이 소유
사영방송 : 소유주가 개인
2) 재원
상업방송 : 광고료
비상업방송 : 국가보조, 기금, 시청료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전국방송, 지역방송이 있다.
2) 해외방송
처음에는 전쟁중 심리전이었다. 지금은 자국소개, 동포에게 소식을 전한다.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종교방송이 있다.
2) 교육방송·교통방송
수도권 지역만을 대상으로 방송한다.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일제하의 방송(1927-1945),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공영방송 시대 (1981-1991), Era of Something unknown(1991-?)이 있다.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 정통성 시비 vs. 사실성에 기초한 방송역사
* 방송의 기능-일본인에 의한 교화, 설득: 유화정책의 일원
* 이중방송 실시-언어 장벽때문
1932년 한국인 라디오 보유대수 300대 =>1933년 3,663대로 증가 (12배)
* 1934년 상설기구로 방송 심의회 설치: 방송이 신문에 내부적으로 종속
* 1937년 9월- 총독부에 정보의원회 설치
* 1938년 방송 편성회 보강 (설치 1934년)
1941년 총력 방송위원회 설치 cf. 방송 차단기
cf. 라디오 수신기 보유->지주 계급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일본식의 방송을 답습 1945년 9월, 10개 방송국의 편성권 접수, program 체제만 변경하였다. 우리 방송을 홍보매체로 이용하였다. 1948. 6. 미 군정장관, 공부부 방송국 폐지하였다. 1948. 8. 정부 수립과 동시에 공보처에 예속된다. 방송국 직원의 능력/인식 부족=>독립성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다. Program 편성에 대한 대안이 없었다. 띠(시간대)별로 나누어서 방송: 내용, 편성면에 영향을 주었다. 편성 style이 영향을 주었다.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전시에 방송이 수단화 되었다.
전시에는 내용, 역할이 미비. VOA, 연합군 총사령부 방송이 많은 영향가까이 있는 방송이었다. 방송 활동부분이 위축 되었다. 48년 London Olympic 중계, 52년 헬싱키 올림픽 중계 하였다. 올림픽과 방송과는 밀접한 관계있다. sports 중계가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 KBS 1개 채널만 있었다. VOA, 연합군 총사령부 방송 중계(영어)와 함께 했다. General Service가 역량을 발휘 못했다. program 종류. 이름은 상당히 많다.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1956년 수원 송신소 설치(제 1 송신소-연희 송신소)->제2방송 탄생=>특수방송(소수계층을 위한 program), 일일 연속극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1961. 1. 2.-문화방송
1963. 4월-동아방송
1964. 5월-라디오 서울(->동양라디오->라디오 서울->KBS->서울 방송)
=>多 채널화 시대
청취자 참여PROGRAM등장하여
5) 자발성(voluntariness)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3. 배양효과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2) 재원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2) 해외방송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2) 교육방송·교통방송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2) TV
7. 공영방송 시대(1980-1991)
Ⅲ. 공영방송 KBS의 개혁
1. 이념의 재정립
2. 독립성-공정성확보
1) 규제 및 통제 시스템의 개혁
2) 외부 감시체계의 재정비와 투명성 증대
3) 내부 민주주의의 정착과 자율권의 신장
3. 채널 및 편성 개혁
4. 효율성 개혁
5. 국민 참여권 보장
6. 지역방송의 정상화
Ⅳ. 교육방송 EBS의 개혁
1. 교육방송에서 교육개혁방송으로
2. 책임경영과 전문성 확보
3. 효율성 개혁
4. 방송 소외 계층, 소외 영역에 대한 획기적인 대책 마련
5. 비정규직 종사자의 처우 개선
6. 국민과 원활한 커뮤니케이션 통로의 마련
7. 주요 도시에 프로그램 판매 사무소의 운영
8. 선택과 집중의 수정
Ⅴ. 지역방송 ITV의 개혁
1. 정체성
2. 공익적 민영방송의 실현방안
1) 소유구조개편 : 비영리재단법인 설립을 중심으로
2) 경영구조개편 : 사장추천공모제
3) 방송언론의 독립과 시민참여
4) SBS노동조합과 연대
참고문헌
Ⅰ. 방송의 개념
1. 방송의 정의
방송이라 함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시사 등에 관한 보도, 논평 및 여론과 교양, 음악 오락 연예 등을 공중에게 전파함을 목적으로 방송국이 행하는 무선통신의 송신을 말한다.
2. 방송의 속성
1) 방송의 편재성(ubiquity)
동시에 순식간에 광범위하게 한다.
2) 즉시성(immediacy)
방송이 전파를 통해 방송국으로 즉시 시청자에게 도달한다. 송신과 수신이 동시점에서 이루어지므로 이를 방송에 동시각성이라고 한다.
3) 탐욕성(voracity)
끊임없는 이야기거리를 창출한다.
4) 유연성(flexibility)
편집, 조종 가능(기술적 측면)하다.
5) 자발성(voluntariness)
수용자의 직접수신이 가능해야 한다.
6) 간섭경향(interference proneness)
전파영역을 필요로 하기에 관리상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
7) 사회적 통제 가능성의 잠재력(potential for social control)
사회적 위력, 영향력을 이야기한다.
3. 배양효과
TV매체는 매일 같은 범죄, 폭력 등을 계속 방송할 경우의 인식구조의 변화를 가져오는 효과. 지각과정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4. 방송의 종류
1) 소유형태
국영방송 : 초창기 방송
공영방송 : 공공단체나 기관이 소유
사영방송 : 소유주가 개인
2) 재원
상업방송 : 광고료
비상업방송 : 국가보조, 기금, 시청료
5. 방송범위
1) 국내방송
전국방송, 지역방송이 있다.
2) 해외방송
처음에는 전쟁중 심리전이었다. 지금은 자국소개, 동포에게 소식을 전한다.
6. 방송목적
1) 특수방송
종교방송이 있다.
2) 교육방송·교통방송
수도권 지역만을 대상으로 방송한다.
Ⅱ. 방송의 역사적 전개
1. 시대분류
일제하의 방송(1927-1945),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공영방송 시대 (1981-1991), Era of Something unknown(1991-?)이 있다.
2. 일제하의 방송(1927-1945)
* 정통성 시비 vs. 사실성에 기초한 방송역사
* 방송의 기능-일본인에 의한 교화, 설득: 유화정책의 일원
* 이중방송 실시-언어 장벽때문
1932년 한국인 라디오 보유대수 300대 =>1933년 3,663대로 증가 (12배)
* 1934년 상설기구로 방송 심의회 설치: 방송이 신문에 내부적으로 종속
* 1937년 9월- 총독부에 정보의원회 설치
* 1938년 방송 편성회 보강 (설치 1934년)
1941년 총력 방송위원회 설치 cf. 방송 차단기
cf. 라디오 수신기 보유->지주 계급
3. 미 군정기의 방송(1945-1948)
일본식의 방송을 답습 1945년 9월, 10개 방송국의 편성권 접수, program 체제만 변경하였다. 우리 방송을 홍보매체로 이용하였다. 1948. 6. 미 군정장관, 공부부 방송국 폐지하였다. 1948. 8. 정부 수립과 동시에 공보처에 예속된다. 방송국 직원의 능력/인식 부족=>독립성 문제를 고민하지 않는다. Program 편성에 대한 대안이 없었다. 띠(시간대)별로 나누어서 방송: 내용, 편성면에 영향을 주었다. 편성 style이 영향을 주었다.
4. 정부 수립후의 방송(1948-1953)
전시에 방송이 수단화 되었다.
전시에는 내용, 역할이 미비. VOA, 연합군 총사령부 방송이 많은 영향가까이 있는 방송이었다. 방송 활동부분이 위축 되었다. 48년 London Olympic 중계, 52년 헬싱키 올림픽 중계 하였다. 올림픽과 방송과는 밀접한 관계있다. sports 중계가 커다란 호응을 얻었다. KBS 1개 채널만 있었다. VOA, 연합군 총사령부 방송 중계(영어)와 함께 했다. General Service가 역량을 발휘 못했다. program 종류. 이름은 상당히 많다.
5. 민영방송 출현시기(1954-1960)
1956년 수원 송신소 설치(제 1 송신소-연희 송신소)->제2방송 탄생=>특수방송(소수계층을 위한 program), 일일 연속극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6. 상업방송 및 TV방송시기(1961-1979)
1) 라디오
1961. 1. 2.-문화방송
1963. 4월-동아방송
1964. 5월-라디오 서울(->동양라디오->라디오 서울->KBS->서울 방송)
=>多 채널화 시대
청취자 참여PROGRAM등장하여
추천자료
미디어로서의 신문과 방송
광고 매체로서 위성방송
새로운 매체, 데이타 방송
한국 지상파 방송 내용 규제에 관한 연구
CNN의 현황 및 방송내용
대중 문화 속의 종교(원음방송 사례를 중심으로)
[광고학] 위성방송과 광고에 대해서
[프랑스연극과영화]프랑스의 텔레비전 방송사와 영화산업 사이의 관계
광고 매체로서 위성방송
미녀들의 수다를 본 시청자 소감과 방송이 나가야 할 과제
(글과생각)방송대 입학 동기와 하고자하는 바에 관하여 생각을 정리하고, <옛문인의 글과 생...
광고 매체로서 위성방송
제리스프링거 쇼를 본 미국방송의 상업성과 언론윤리
영어권국가의이해A형 (방송통신대 2018) Brexit와 스코틀랜드 민족주의(the Scottish Nation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