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 요
1. 공공요금의 개념
2. 정부가 사용재를 공급하는 이유
3. 공공요금 설정의 기본원칙
Ⅱ. 한계비용 가격설정
1. 가격설정방식
2. 장,단점
Ⅲ. 평균비용 가격설정
1. 가격설정방식
2. 장,단점
Ⅳ. 램지가격설정
1. 개 요
2. 가 정
3. 설 명
4. 문제점
V. 이부요금제도
Ⅵ. 가격차별
1. 개 념
2. 제2급 가격차별
3. 제3급 가격차별
Ⅶ. 최대부하 가격설정
1. 개 요
2. 가격설정방법
Ⅷ. 공공요금 결정시의 고려사항
1. 효울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3. 행정적 단순성
4. 거시경제적인 측면의 고려
1. 공공요금의 개념
2. 정부가 사용재를 공급하는 이유
3. 공공요금 설정의 기본원칙
Ⅱ. 한계비용 가격설정
1. 가격설정방식
2. 장,단점
Ⅲ. 평균비용 가격설정
1. 가격설정방식
2. 장,단점
Ⅳ. 램지가격설정
1. 개 요
2. 가 정
3. 설 명
4. 문제점
V. 이부요금제도
Ⅵ. 가격차별
1. 개 념
2. 제2급 가격차별
3. 제3급 가격차별
Ⅶ. 최대부하 가격설정
1. 개 요
2. 가격설정방법
Ⅷ. 공공요금 결정시의 고려사항
1. 효울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3. 행정적 단순성
4. 거시경제적인 측면의 고려
본문내용
용 전력에 대해서는 높은 요율을 적용하는 것이 제3급 가격차별에 해당
Ⅶ. 최대부하 가격설정
1. 개 요
① 공공부문에서 주로 공급하는 전기전화 등의 서비스는 그 특성상 저장이 불가능한데 비하여 수요는 시간요일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
② 따라서 성수기에는 생산설비를 완전가동해야 하는 반면에 비수기에는 생산설비의 일부가 유휴상태가 되는 현상이 발생
③ 최대부하 가격설정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가격을 어떤 식으로 설정해야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
2. 가격설정방법
① 비수기 가격은 단기한계비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성수기 가격은 장기한계비용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
② 이 방식하에서 비수기의 수요자들은 가변비용만 부담하므로 생산설비 보유에 따른 고정비용은 전부 성수기의 수요자들이 부담
Ⅷ. 공공요금 결정시의 고려사항
1. 효울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
① 공공요금 결정에 있어서 효율성을 중시하면 공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평성을 강조하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② 따라서 공급되는 공공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효율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① 공기업이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통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무조건 낮은 가격으로 공급한다면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가 발생
②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요금을 책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① 공기업이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통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무조건 낮은 가격으로 공급한다면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가 발생
②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요금을 책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3. 행정적 단순성
① 공공요금의 체계가 너무 복잡하게 되어 있다면 행정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게 됨
② 그러므로 공공요금 구조는 가능하면 단순화하여 행정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들도 요금구조를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4. 거시경제적인 측면의 고려
① 일반적인 재화의 경우와는 달리 공공요금은 물가변화와 아주 밀접하게 관련
② 따라서 공공요금 결정에 있어서는 물가, 경기상황 등 경제 전반의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
Ⅶ. 최대부하 가격설정
1. 개 요
① 공공부문에서 주로 공급하는 전기전화 등의 서비스는 그 특성상 저장이 불가능한데 비하여 수요는 시간요일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
② 따라서 성수기에는 생산설비를 완전가동해야 하는 반면에 비수기에는 생산설비의 일부가 유휴상태가 되는 현상이 발생
③ 최대부하 가격설정에서는 성수기와 비수기의 가격을 어떤 식으로 설정해야 효율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
2. 가격설정방법
① 비수기 가격은 단기한계비용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성수기 가격은 장기한계비용보다 높은 수준에서 결정
② 이 방식하에서 비수기의 수요자들은 가변비용만 부담하므로 생산설비 보유에 따른 고정비용은 전부 성수기의 수요자들이 부담
Ⅷ. 공공요금 결정시의 고려사항
1. 효울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
① 공공요금 결정에 있어서 효율성을 중시하면 공평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가 발생할 수 있으며, 공평성을 강조하면 자원배분의 효율성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음
② 따라서 공급되는 공공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효율성과 공평성의 적절한 조화가 필요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① 공기업이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통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무조건 낮은 가격으로 공급한다면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가 발생
②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요금을 책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2.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 확보
① 공기업이 공공서비스의 공급을 통해 이윤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지만, 무조건 낮은 가격으로 공급한다면 손실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자원의 낭비가 발생
② 따라서 적절한 수준의 재정수입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공공요금을 책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
3. 행정적 단순성
① 공공요금의 체계가 너무 복잡하게 되어 있다면 행정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혼란을 초래하게 됨
② 그러므로 공공요금 구조는 가능하면 단순화하여 행정비용을 절감하고, 소비자들도 요금구조를 명확히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
4. 거시경제적인 측면의 고려
① 일반적인 재화의 경우와는 달리 공공요금은 물가변화와 아주 밀접하게 관련
② 따라서 공공요금 결정에 있어서는 물가, 경기상황 등 경제 전반의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