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계 문헌의 개요
♧기관지 협착증
기관과 기관지, 기관지 확장증의 정의, 병리, 원인, 임상적 소견, 치료
2.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①개인력
②기본욕구 사정
③현재 정신력 사정
④과거 정신력 사정
⑤신체검진
⑥검사소견
⑦의학적 치료계획(약물요법)
-Problem list
-간호 과정 적용
3. 결론
-실습소감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관계 문헌의 개요
♧기관지 협착증
기관과 기관지, 기관지 확장증의 정의, 병리, 원인, 임상적 소견, 치료
2. 본론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①개인력
②기본욕구 사정
③현재 정신력 사정
④과거 정신력 사정
⑤신체검진
⑥검사소견
⑦의학적 치료계획(약물요법)
-Problem list
-간호 과정 적용
3. 결론
-실습소감
본문내용
377
7.465
7.471
7.274
7,305
7.545
7.491
7.474
7.484
7.35~7.45
PCO2
93.2
61.8
52.4
56.3
86.7
77.8
51.2
60.4
52.9
63.8
35~45 mmHg
PaO2
62.2
61.5
78.2
85.6
64.7
67.6
75.5
51.4
47.7
61.1
80~100 mmHg
HCO3
38.7
35.7
36.8
40.4
39.3
42.5
43.3
45.1
38.0
46.9
22~26 mmol/L
SpO2
88.9
95.3
99.0
98.9
94
98.8
98.8
92.3
93.4
95.6
95-100%
ABGA 수치
-단기목표 :
6/ 9일까지
①호흡수, 심박동수가 안정된다.
②Ventilator care상 SpO2가 95% 이상으로 유지된다.
-장기목표 :
6/15일까지
불안과 혼돈의 증상이 사라진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동맥혈 가스분압을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라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못함,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하고 보고 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뤄 질 수 있도록 하였고, 휴식을 격려하여 산소요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④ 기침을 자극시켜 드리고, suction을 하여 분비물 증가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예방 한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켜 준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동맥혈 가스분압을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라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못함,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하고 보고 하였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뤄 질 수 있도록 하였고, 휴식을 격려하여 산소요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④ 기침을 자극시켜 드리고, suction을 하여 분비물 증가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예방 하였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켜 드렸다.
6/15..
-suction 수행 시 E-tube에서 거품 섞인 bloody color의 sputum이 다량나왔으나(6/5) 점차 색이 옅어져 yellowish color(6/13)로 나왔다. Ventilator care상 SpO2가 95%로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였으며 그때그때 적절히 Ventilator 를 조절하였다.
-불안과 혼돈의 증상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및 이론적 근거
6/7
주관적 자료 :
-대상자께서 가래를 빼달라고 손으로 입 쪽을 가리켰다.
객관적 자료 :
-잡음,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관찰 되었다.
-기침을 하시고, 호흡이 빨라 지셨다.
-불안해하고 irritable한 양상을 보이신다.
-단기목표 : 6/9일까지 환자는 효율적인 기도청결이 유지 된다.
-장기목표 :
6/15일까지 ①대상자의 객담이 제거되고 안정을 되찾는다.
②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없고, 효율적으로 기침을 한다.
① 호흡수와 깊이, 호흡음,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한다.
② 똑바로 오래 누워 있으면 장기가 흉부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려 호흡이 어렵게 되므로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준다.
③ Bed를 올려드려 높은 반좌위를 취해준다.
④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 주 하도록 격려한다.
⑤ 4시간 간격으로 체위배액과 타진, 진동법을 실시하고 객담상태를 관찰하였으며, 상하기도의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한다.
⑥ 분비물 액화를 위해 제공된 가습기를 점검하여 적절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⑤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secretion이 액화되어 배출이 쉽도록 도모한다.
⑥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권장한다.
① 호흡수와 깊이, 호흡음,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똑바로 오래 누워 있으면 장기가 흉부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려 호흡이 어렵게 되므로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③ Bed를 올려드려 높은 반좌위를 취해 드렸다.
④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⑤ 4시간 간격으로 체위배액과 타진, 진동법을 실시하고 객담상태를 관찰하였으며, 상하기도의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하였다.
⑥ 분비물 액화를 위해 제공된 가습기를 점검하여 적절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secretion이 액화되어 배출이 쉽도록 도모하였다.
⑥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권장하였다.
6/15..
-suction시 Bloody or yellowish한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다. Ventilator care상 호흡수가 안정되고, 호흡시 잡음과 천명음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Back care시 대상자의 등을 두드려주고 체위변경을 해주어 객담배출을 도왔다. 그러나 대상자의 secretion의 양이 여전히 많아 효율적인 기도 청결이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기관지삽관을 고려중이며 보호자에게 동의를 구하는 중이다.
Ⅲ. 결론
참고문헌
-임상간호 매뉴얼(7판), 현문사, 2003년 출판.
-김소야자, 김순용외 3명 수문사, 1990년 출판.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성인간호학 上2, 下2 현문사, 전시자외.
-기본간호학 上, 下, 수문사. 김순자외.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오송자민순 편저
7.465
7.471
7.274
7,305
7.545
7.491
7.474
7.484
7.35~7.45
PCO2
93.2
61.8
52.4
56.3
86.7
77.8
51.2
60.4
52.9
63.8
35~45 mmHg
PaO2
62.2
61.5
78.2
85.6
64.7
67.6
75.5
51.4
47.7
61.1
80~100 mmHg
HCO3
38.7
35.7
36.8
40.4
39.3
42.5
43.3
45.1
38.0
46.9
22~26 mmol/L
SpO2
88.9
95.3
99.0
98.9
94
98.8
98.8
92.3
93.4
95.6
95-100%
ABGA 수치
-단기목표 :
6/ 9일까지
①호흡수, 심박동수가 안정된다.
②Ventilator care상 SpO2가 95% 이상으로 유지된다.
-장기목표 :
6/15일까지
불안과 혼돈의 증상이 사라진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한다.
② 동맥혈 가스분압을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라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한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못함,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하고 보고 한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뤄 질 수 있도록 하였고, 휴식을 격려하여 산소요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④ 기침을 자극시켜 드리고, suction을 하여 분비물 증가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예방 한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켜 준다.
①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동맥혈 가스분압을 확인하고 기록하여 시간에 따라 비교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③ 저산소증의 증상(안절부절 못함, 불안, 빈맥, 혼돈)을 관찰하고 보고 하였다.
③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여 충분한 환기가 이뤄 질 수 있도록 하였고, 휴식을 격려하여 산소요구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④ 기침을 자극시켜 드리고, suction을 하여 분비물 증가로 인해 기도가 좁아지는 것을 예방 하였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공기의 흐름을 증진시켜 드렸다.
6/15..
-suction 수행 시 E-tube에서 거품 섞인 bloody color의 sputum이 다량나왔으나(6/5) 점차 색이 옅어져 yellowish color(6/13)로 나왔다. Ventilator care상 SpO2가 95%로 이하로 떨어지기도 하였으며 그때그때 적절히 Ventilator 를 조절하였다.
-불안과 혼돈의 증상이 조금씩 나아지고 있다.
다량의 분비물과 관련된 기도 청결의 비효율성
일시
간호사정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수행
평가 및 이론적 근거
6/7
주관적 자료 :
-대상자께서 가래를 빼달라고 손으로 입 쪽을 가리켰다.
객관적 자료 :
-잡음, 천명음과 같은 비정상적인 호흡음이 관찰 되었다.
-기침을 하시고, 호흡이 빨라 지셨다.
-불안해하고 irritable한 양상을 보이신다.
-단기목표 : 6/9일까지 환자는 효율적인 기도청결이 유지 된다.
-장기목표 :
6/15일까지 ①대상자의 객담이 제거되고 안정을 되찾는다.
②비정상적인 호흡음이 없고, 효율적으로 기침을 한다.
① 호흡수와 깊이, 호흡음,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한다.
② 똑바로 오래 누워 있으면 장기가 흉부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려 호흡이 어렵게 되므로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준다.
③ Bed를 올려드려 높은 반좌위를 취해준다.
④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 주 하도록 격려한다.
⑤ 4시간 간격으로 체위배액과 타진, 진동법을 실시하고 객담상태를 관찰하였으며, 상하기도의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한다.
⑥ 분비물 액화를 위해 제공된 가습기를 점검하여 적절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⑤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secretion이 액화되어 배출이 쉽도록 도모한다.
⑥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권장한다.
① 호흡수와 깊이, 호흡음, 분비물의 양상을 사정하였다.
② 똑바로 오래 누워 있으면 장기가 흉부쪽으로 밀리면서 폐가 눌려 호흡이 어렵게 되므로 2~4시간마다 Back care를 실시하여 체위를 변경시켜 드렸다.
③ Bed를 올려드려 높은 반좌위를 취해 드렸다.
④ 효과적인 기침이 기관지 청결과 분비물 제거에 좋음을 설명 드리고, 기침과 심호흡을 자주 하도록 격려하였다.
⑤ 4시간 간격으로 체위배액과 타진, 진동법을 실시하고 객담상태를 관찰하였으며, 상하기도의 청결을 위해 필요시 suction을 실시하였다.
⑥ 분비물 액화를 위해 제공된 가습기를 점검하여 적절한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⑤ Nebulizer를 연결하여 처방된 NB-BD (Micronized Budesonide)와, NBSBM1(Salbutamol)을 투여하여 secretion이 액화되어 배출이 쉽도록 도모하였다.
⑥ 적절한 수분공급을 하도록 권장하였다.
6/15..
-suction시 Bloody or yellowish한 객담이 다량 배출되었다. Ventilator care상 호흡수가 안정되고, 호흡시 잡음과 천명음이 줄어드는 양상을 보였다. Back care시 대상자의 등을 두드려주고 체위변경을 해주어 객담배출을 도왔다. 그러나 대상자의 secretion의 양이 여전히 많아 효율적인 기도 청결이 유지되지 않고 있으며, 현재 기관지삽관을 고려중이며 보호자에게 동의를 구하는 중이다.
Ⅲ. 결론
참고문헌
-임상간호 매뉴얼(7판), 현문사, 2003년 출판.
-김소야자, 김순용외 3명 수문사, 1990년 출판.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성인간호학 上2, 下2 현문사, 전시자외.
-기본간호학 上, 下, 수문사. 김순자외.
-의학약어와 해설, 현문사. 오송자민순 편저
키워드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case study (pneumonia)
급성세기관지염 케이스
급성기관지염 (Acute bronchitis) (사례연구 case)
[간호학]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아동간호학][Asthma][천식][소아천식]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아동간호학][폐렴][pneumonia]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쯔쯔가무시]케이스스터디(Case Study)[Tsutsugamushi]
급성기관지염(Acute bronchitis) 케이스 스터디
[간호] 폐암 케이스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간호
성인간호학 기흉 케이스스터디 A+ 자료
기관지천식 케이스 스터디
기관지염
아동간호학 실습 크룹 (croup) 케이스스터디 자료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