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자 간호관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중환자 간호
1.목적
2.목표

*호흡기계관리
1.ARDS
2.Asthma
3.Pneumonia

*Endotracheal intubation 적응증
* Endotracheal tube

*폐혈증 및 쇽 환자 관리
1.쇽의 정의
2.기전
3.분류
4.증상
5.치료

*두부외상과 응급처치
1.두부손상의 분류
2.두개강내압
3.두부손상환자의 초리진료
4.이학적 검사
5.신경학적 검사
6.집중적인 가료
7.두개강내압 항진에 따른 내과적 치료

* 욕창 예방간호
1.욕창의 정의
2.욕창 발생 관련 요인
3.욕창의 단개
4.욕창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

*상처 간호
1.상처세척
2.세척제 종류
3.이상적인 상처 드레싱
4.Dressing 종류

*산소요법
1.산소요법의 목적
2.산송 공급의 결정 요인
3.산소 투여 방법
4.산소 요법의 평가

본문내용

위한 적절한 생리학적 환경을 제공
- 상처로부터 삼출액 제거가 용이
- 상처면에서 적절한 습도, 체온 유지
- 세균과 독성 물질의 침입을 막을 수 있어야 함
4. Dressing 종류
1) Gauze Dressing - 천연섬유와 합성거즈
- 적용 : 봉합상처, 흡수와 보호를 위한 1,2차 Dressing, Mechanical debridment(wet to dry), 느근하게 packing, 풀어서 뭉쳐 적용
- 주의 : 상처건조 유발, 균과 상처 삼출물의 통로가 되어 오염, 상처에 붙어 치유지연
2) Paraffin Gauze
- 종류 : Gauze에 Paraffin이나 항생제 연고 묻힘, 바셀린
- 주의 : 감염 상처에 주의하여 사용, 알러지 유발
3) Transparent Film Dressing
- 종류 : Tegaderm, Thin polyurethane
- 특징 : 습기, 산소, 이산화 탄소 통과, 박테리아,물, 오염물질 통과 못함
- 주의 : 감염 상처, 제거시 더욱 피부손상 유발, Exudates 흡수 못함
4) Hydrocolloid Dressing
- 특징 : 방수, 소량에서 중간정도의 삼출물 흡수, 삼출물과 함께 gel형성, 상처표면의 습도 유지, 체온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부착, 2차감염으로 부터 상처 보호, Growth factor와 상호작용하여 치유 촉진
- 교환 : 3~5일, 7일까지 적용
- 주의 : 감염 상처나, 허혈 상처, 다량의 삼출물, 깊은 상처시
5) Hydrogel Dressing - 고수분 함유(30-98%)
- 적용 : 상처의 debridement 촉진, 건조한 상처에 습기 및 수분 제공, 국소 도포 약물 섞어 상처에 적용, Burn Wound 통증과 열감 감소
- 주의 : 알러기, 다량의 삼출물, 잦은 Dressing change
6) Foam Dressing
- 특징 : 상처의 심부 온도를 올려 효소 활동 자극, 보호와 쿠션 제공, 삼출물 흡수
과도한 육아 성장을 압박하여 방지 (Allevyn, Medifoam)
- 적용 : Skin graft, 과량의 삼출물, 손가락 발가락
- 주의 : 국소적, 전신적 감염, 동맥부전이나 당뇨병성 상처
산소요법 (Oxygen Therapy)
1. 산소요법의 목적
1) 저산소혈증 치료 - 21%이상의 산소를 흡입하면 폐포내에 산소 분압증가로 션터 효과에 의해 동맥혈 저산소혈증은 흡입 산소 농도를 증가시킴으로 효과적으로 개선
2) 호흡작업량 감소 - 저산소혈증 및 저산소증은 호흡작업량 증가를 초래하여 이때 산소 공급이 충분히 되어지며 폐포내 산소 분압을 정상으로 유지시켜 줌으로 환기량 증가가 필요 없게 되어 호흡작업량 감소를 가져옴
3) 심근 작업량 감소 - 저산소혈증이나 저산소증은 호흡, 심근 작업량을 증가시키는데 산소 공급으로 이를 감소시킴
2. 산소 공급의 결정 요인
1) 동맥내 산소 함량
* Hb, SaO2, PaO2 에 의해 결정
- 혈색소가 산소 한분자에 결합하는 힘 1.34
- 산소투여로 최소한 Pa02 60mmHg는 유지하여야 함
2) 산소 운반
- 심박출량과 Ca02(동맥내 산소함량)에 의해 결정됨
* 저산소증시 동맥내 산소함량이 감소되면 심박출량을 늘리는 보상기전이 중요
3)산소 소모
- 공급된 산소와 조직에서 소모하고 남아 돌아온 혼합 정맥혈 산소함량의 차로 구함
* 일반적으로 공급된 산소의 1/4을 소모한다.
3. 산소 투여 방법
저유량 산소법
1) 비강캐뉼라 (nasal cannula)
- 단순한 방법으로 낮은 용량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
- 분당 산소량은 1-6L/min
- Nasal 손상 가능성 및 불쾌감 호소, 산소 공급량이 불안정함
2) 비강카테터 (nasal catheter)
- 단순한 방법으로 낮은 용량의 산소를 공급하기 위함
- 분당 산소량은 6-8L/min
- 코끝에서 귀바퀴 까지의 길이를 표시해서 젤리를 바르고 부드럽게 삽입
- Gastric distrnsion 가능성
3) 단순안면 마스크 (simple facial mask)
- 02rk 단순하게 공급되고, 호기는 열려있는 구멍으로 나가게 됨
- 분당 산소량은 5L/min 이하여야 CO2 재호흡 하지 않음
4) 부분 재호흡 산소 마스크 (partial rebreathing oxygen mask)
- 안면마스크에 reservior bag이 부착 되어 있음
- 분당 산소량은 6-10L/min, FiO2는 35-60로 유지 됨
- 호기량의 일부를 재호흡함으로써 산소량을 보존하는 것
5) 비 재호흡 산소 마스크 (non rebreathing oxygen mask)
- 안면마스크에 reservior bag이 부착 되어 있음
- 분당 산소량은 10-15L/min, FiO2는 30이상으로 유지 됨
- 흡기시 reservior bag이 collapse 되지 않도록 흡기 유량을 조절함
고유량 산소법
- 일정한 산소농도 유지로 호흡양상이 불규칙한 중환자 산소 요법에 많이 이용
4. 산소요법의 평가
1) 심폐계
- vital sing, 관류 상태(피부색깔, 탄력성, 모세혈관 재충전),의식상태, 뇨량 측정
- 환기상태 : 일회 환기량, 호흡수, 호흐브이 재규칙성, 호흡곤란 여부
2) 동맥혈 가스 분석
- 조직의 산소화 정도 예측, 환기 정도 평가
3) 맥박 산소 포화도
- 맥박 산소 계측기를 이용하여 산소 포화도 측정
4) 혼합 정맥혈 산소 포화도
- 우리 몸 안의 산소 소모량, 즉 산소 요구량을 알 수 있음
=> 산소 치료 효과는 22~50%에서만 나타남
=> 흡입 산소분율 0.5이상에는 탈질소화 흡수성 무기폐로 션트 증가로 역작용
=> 505이상 산소가 요구될 때는 기관지 확장제, 이뇨제 및 지속적 양압환기 등으로 폐의 산소 중독증 감소 시켜야 함
=> 심폐소생술시 단기간에는 70% 이상의 고농도 산소를 투여함
=> 그 외 산소도 약제이므로 남용은 금물임
Liters/min
% Oxygen
1ℓ/min
24%
2ℓ/min
28%
3ℓ/min
32%
4ℓ/min
36%
5ℓ/min
40%
6ℓ/min
44%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1.31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5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