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술의 양면성에 대하여..>
(1)술의 장점
(2)술의 단점
(3)술의 양면성
<동 · 서양의 술에 대한 비교>
(1)술의 장점
(2)술의 단점
(3)술의 양면성
<동 · 서양의 술에 대한 비교>
본문내용
양의 경우 술은 배부르게 마시는 그런 것이라기보다는 음료이고 즐기는 차의 일종이라 생각 하는 듯 하다. 식사 전후의 반주 정도로 와인을 마시고, 입맛을 돋우기 위해서, 그리고 상대방과의 대화에 가벼운 음료 정도 인것이다. 이것이 동양과 서양의 술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아닌가 한다.
위에서 이야기한 술의 양면성으로 본다면 동양의 술 문화는 술의 악마적인 기질을 끄집어 네는 과정이고, 서양의 술 문화는 천사적인 기질에서의 술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동양의 술 문화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동양의 경우 술을 마시면서 사람과의 정을 쌓아 가고, 사람에 대하여 알아가는 과정의 한 단계 이기 때문이다. 서로 서스름 없이 벽을 허무는데 술만큼 좋은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동양에는 술을 마시는 주도가 있다.
서양에서는 술을 음료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술은 그저 그냥 마시는 것이라고 만 생각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동양에는 술을 마실 때에는 지켜야할 주도라는 것이 존재 한다. 술을 마시는 예절이라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 보면, ‘술은 어른에게 배워야 한다’ 는 말이 있다. 이는 술을 마시는 데에는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과 술을 먹는 예의가 있다는 것을 내포하는 듯 하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몇 가지 흔한 주도를 살펴보면, 어른들과 술을 마실 때에는 고개를 돌리고 술을 마시고, 무릎을 꿇어야 하며, 술을 딸거나 받을 때에는 두 손으로 해야 한다는 간단하지만 중요한 주도가 있다. 이것은 서양의 술 문화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위에서 이야기한 술의 양면성으로 본다면 동양의 술 문화는 술의 악마적인 기질을 끄집어 네는 과정이고, 서양의 술 문화는 천사적인 기질에서의 술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동양의 술 문화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동양의 경우 술을 마시면서 사람과의 정을 쌓아 가고, 사람에 대하여 알아가는 과정의 한 단계 이기 때문이다. 서로 서스름 없이 벽을 허무는데 술만큼 좋은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동양에는 술을 마시는 주도가 있다.
서양에서는 술을 음료의 한 종류라고 생각하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술은 그저 그냥 마시는 것이라고 만 생각할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동양에는 술을 마실 때에는 지켜야할 주도라는 것이 존재 한다. 술을 마시는 예절이라는 것인데, 우리나라의 예를 들어 보면, ‘술은 어른에게 배워야 한다’ 는 말이 있다. 이는 술을 마시는 데에는 어른을 공경하는 마음과 술을 먹는 예의가 있다는 것을 내포하는 듯 하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몇 가지 흔한 주도를 살펴보면, 어른들과 술을 마실 때에는 고개를 돌리고 술을 마시고, 무릎을 꿇어야 하며, 술을 딸거나 받을 때에는 두 손으로 해야 한다는 간단하지만 중요한 주도가 있다. 이것은 서양의 술 문화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