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1. 학생 대답에 대한 교사 평가 발화 유형
가. 긍정평가
나. 부정 평가
다. 평가 전달
2. 제 3 대화이동 이후에서 대화의 전개양상
가. 긍정평가 이후
나. 부정평가 이후
다. 비대답, 퇴짜, 되묻기 질문 이후
Ⅱ. 꾸중화법(수업 중 일탈 학생 지도법)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학생의 말 통제
2) 학생의 행동 통제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2) 엄포 놓기
3) 야단치기
1. 학생 대답에 대한 교사 평가 발화 유형
가. 긍정평가
나. 부정 평가
다. 평가 전달
2. 제 3 대화이동 이후에서 대화의 전개양상
가. 긍정평가 이후
나. 부정평가 이후
다. 비대답, 퇴짜, 되묻기 질문 이후
Ⅱ. 꾸중화법(수업 중 일탈 학생 지도법)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학생의 말 통제
2) 학생의 행동 통제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2) 엄포 놓기
3) 야단치기
본문내용
식의 핵심적 차이점이라면 칭찬은 아동으로 하여금 갈수록 바람직한 행동을 더욱 더 많이 하게 할 수 있지만, 꾸중은 지금까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덜 하게 할 수는 있어도 그것이 곧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꾸중을 많이들은 아동의 최종 상태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고 가만히 움츠리고 있는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 일탈행동
- 규범, 규칙 약속에서 벗어난 행동을 말하는데, 조용히 하고 학습활동을 해야 하는 행위로부터 일탈된 행동을 말한다.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 수업의 흐름을 저해하는 학생의 일탈행동을 막아 원활히 수업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끌어가는 것을 말한다.
1) 학생의 말 통제
(1) 떠들기 통제
- 학생의 자세를 지적하거나 교사의 권위를 이용해서 통제한다.
학생 : (떠드는 소리 때문에) (( ))
교사 : 자세 봐, 다들 어떻게 해야 되는 거야↗
학생 : (주변의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 ))
교사 : 야! 누구야↗ // 승미야~! 다시 해야 돼! 승미야!
(2) 다툼 통제
교사 : 누가 썼어↗
학생 : 우리 안 썼어요
교사 : 1) 누가 썼어↗
2) 쓴 사람 있는 거지↗
3) 써진 글씨와 대조해 본다↘ 이름 쓴 사람
4) 좋은 말할 때 나와~~
학생들 : (서로 미루면서 웅성웅성)
학생 : 아냐
교사 : 1) 머리에 손!
2)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3) 쓴 사람 일어서
4) 없지↗
5) 누구야↘ 나와 안 나오지↗
6) 치환이↗ 나와! 너는 봤어↗
7) 너희 셋 다 나와 빨리↗
8) 쓴 것 본 적 있는 사람 일어서!
학생 : (아직 쓰지 못한 모둠동료에게)다 썼어↗ 이 바보야↗
교사 : 어! 바르말 고운말!
(3) 헛소리 통제
- 헛소리는 미덥지 않은 말이지만 수업에서는 수업과 관련이 전혀 없는 쓸 데 없는 소리를 말한다.
학생 : 아 배고파
교사 : 선생님도 얘기 해야지
학생 : (괴성) 휘휘
교사 : 바르게 않아서(침묵) 승헌이 발표해보자.
(4) 되받아치기 통제
- 되받아치기란 교사의 말을 따라하거나 또는 교사의 지시에 반발을 하거나 혹은 초점에 빗나간 대답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 (녹음자료를 들으면서) 선생님! 한번 들어봤었는데
교사 : 1) (칠판에 판서를 하고 난 뒤)자, 한번 들어 봤죠
2) 일단 들어!
학생 : 저, 선생님! 다음 거요↘↗
교사 : 1) 노벨 들어 봤었다구요↘
2) 괜찮아~~ 또 들어도~~
3) 노벨에 대해 들어 봤어요
교사 : (화제 전환하기 위해) 자, 그러면 여러분들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지 생각 해 봤죠↗
학생 : 안 해 봤는데요↘
교사 : (무시하며)(손들어보라는 제스처를 함)
2) 학생의 행동 통제
(1) 장난치기 통제
- 수업과는 상관없이 학생들이 하는 놀이를 통제하는 것이다.
학생들 : 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
교사 : 1) 민성이하고 현우는 계속 선생님하고 눈 마주쳤는데 계속 장난만 치고 있지↗
2) 이쪽으로 와 이리로 와
(2) 쪽지 돌리기 통제
- 쪽지 돌리기와 같이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은 교사의 지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다른 학생들에게도 파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압적인 통제발화를 할 때가 많다.
학생 : (한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줄 쪽지를 읽고 있음)
교사 : (이를 발견하고는 은서네 모둠 쪽으로 다가와 손을 내민다)
학생 : ( 쪽지를 숨긴다)
교사 : 주세요. 빨리!(억지로 뺏는다)
학생 : (손을 뻗어 빼앗으려다 못 빼앗고 고개를 숙인다)
(3) 딴 짓 통제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1: (교과서를 읽음)
학생 2 : (다음차례를 놓친 듯)
교사 : 김혜연!
학생 : 혜연아!
교사 : 김혜연! 어디에다 정신팔고 있지↗
학생 : (교과서 읽음)
(4) 잠자기 통제
학생 : (학생개별활동을 멈추고 손머리함)
교사 : 1) 그만, 머리에 손 내려 1번
2) 어텐션
학생들 : 어텐션
교사 : 국현아! 앞으로 집에서 자~~ 알았어↗
(5) 돌아다니기 통제
- 학생들의 돌아다니는 행위는 교사의 설명이 끝나고 개별 활동이나 모둠활동할 때 교사의 눈을 피해 교실을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교사 : 1) 그래요
2) 까치 아주머니가 매미들에게 와서 알려 주었죠↗
3) 아이들이
학생 : 선생님! 성훈이 돌아다녀요↗
교사 : (돌아다니는 학생을 향해 인상을 써 주고 계속 순회 함)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 명령하기는 수업대화에서 교사의 발화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특징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 해준다. 이 방법은 빈번히 나타나는 통제방식으로 제한된 언어를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생들 : (( ))(떠들고 있음)
교사 : (떠드는 아동을 지목하며)김세훈! 떠들지마!
교사 :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교사 : 모두 조용히 안 해! 입!
2) 엄포 놓기
- 엄포 놓기는 실제로는 그리 하지 않더라도 큰 소리로 학생들을 위협하거나 으름장을 놓는 것을 말한다. 발화 형태는 대부분 “계속하면 ~할 거야.” 또는 “계속하면 ~알지.”로 나타난다.
학생들 : (교과서 보고 있음)
교사 : 1) 그게 그 대목이 할머니 한마디 때문이었습니다.
2) 여러분들 149쪽 보시기 바랍니다.
(중략)
3) 경수! 안 되겠네↗
4) 혼나는 거 알지↗
5) 4번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을 거야
3) 야단치기
- 학생의 일탈행동에 대하여 교사가 꾸짖는 행위를 말한다. 야단치는 방법에는 학생들을 부끄럽게 하여 볼 낯이 없도록 무안주기와 잘못한 점을 직접 말하지 않고 빈정거리면서 말하는 비꼬기, 그리고 남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학생 : (교과서를 가지고 오지 않음)
교사 : 1) 책 어디 갔어↗
2) 너는 왜 책도 안 가져 왔어!
3) 쉬는 시간은 뭐 하러 쉬는 시간이야 책도 사물함에 놓고 다니지↘
4) 말대로 노는 게 쉬는 시간이야 지금 뭐하는 거야 쉬는 시간은 쉬면서 다음시간
준비하는 거야 아니야↗
학생 : (학생에 엎드려 졸고 있다)
교사 : 이해성, 자장가로 들리냐↗)
학생 : (깜짝 놀라 바르게 고쳐 앉는다)
교사 : 밤새 뭐하시고 공부시간에 졸아요
◎ 일탈행동
- 규범, 규칙 약속에서 벗어난 행동을 말하는데, 조용히 하고 학습활동을 해야 하는 행위로부터 일탈된 행동을 말한다.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 수업의 흐름을 저해하는 학생의 일탈행동을 막아 원활히 수업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끌어가는 것을 말한다.
1) 학생의 말 통제
(1) 떠들기 통제
- 학생의 자세를 지적하거나 교사의 권위를 이용해서 통제한다.
학생 : (떠드는 소리 때문에) (( ))
교사 : 자세 봐, 다들 어떻게 해야 되는 거야↗
학생 : (주변의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 ))
교사 : 야! 누구야↗ // 승미야~! 다시 해야 돼! 승미야!
(2) 다툼 통제
교사 : 누가 썼어↗
학생 : 우리 안 썼어요
교사 : 1) 누가 썼어↗
2) 쓴 사람 있는 거지↗
3) 써진 글씨와 대조해 본다↘ 이름 쓴 사람
4) 좋은 말할 때 나와~~
학생들 : (서로 미루면서 웅성웅성)
학생 : 아냐
교사 : 1) 머리에 손!
2)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3) 쓴 사람 일어서
4) 없지↗
5) 누구야↘ 나와 안 나오지↗
6) 치환이↗ 나와! 너는 봤어↗
7) 너희 셋 다 나와 빨리↗
8) 쓴 것 본 적 있는 사람 일어서!
학생 : (아직 쓰지 못한 모둠동료에게)다 썼어↗ 이 바보야↗
교사 : 어! 바르말 고운말!
(3) 헛소리 통제
- 헛소리는 미덥지 않은 말이지만 수업에서는 수업과 관련이 전혀 없는 쓸 데 없는 소리를 말한다.
학생 : 아 배고파
교사 : 선생님도 얘기 해야지
학생 : (괴성) 휘휘
교사 : 바르게 않아서(침묵) 승헌이 발표해보자.
(4) 되받아치기 통제
- 되받아치기란 교사의 말을 따라하거나 또는 교사의 지시에 반발을 하거나 혹은 초점에 빗나간 대답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 (녹음자료를 들으면서) 선생님! 한번 들어봤었는데
교사 : 1) (칠판에 판서를 하고 난 뒤)자, 한번 들어 봤죠
2) 일단 들어!
학생 : 저, 선생님! 다음 거요↘↗
교사 : 1) 노벨 들어 봤었다구요↘
2) 괜찮아~~ 또 들어도~~
3) 노벨에 대해 들어 봤어요
교사 : (화제 전환하기 위해) 자, 그러면 여러분들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지 생각 해 봤죠↗
학생 : 안 해 봤는데요↘
교사 : (무시하며)(손들어보라는 제스처를 함)
2) 학생의 행동 통제
(1) 장난치기 통제
- 수업과는 상관없이 학생들이 하는 놀이를 통제하는 것이다.
학생들 : 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
교사 : 1) 민성이하고 현우는 계속 선생님하고 눈 마주쳤는데 계속 장난만 치고 있지↗
2) 이쪽으로 와 이리로 와
(2) 쪽지 돌리기 통제
- 쪽지 돌리기와 같이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은 교사의 지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다른 학생들에게도 파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압적인 통제발화를 할 때가 많다.
학생 : (한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줄 쪽지를 읽고 있음)
교사 : (이를 발견하고는 은서네 모둠 쪽으로 다가와 손을 내민다)
학생 : ( 쪽지를 숨긴다)
교사 : 주세요. 빨리!(억지로 뺏는다)
학생 : (손을 뻗어 빼앗으려다 못 빼앗고 고개를 숙인다)
(3) 딴 짓 통제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1: (교과서를 읽음)
학생 2 : (다음차례를 놓친 듯)
교사 : 김혜연!
학생 : 혜연아!
교사 : 김혜연! 어디에다 정신팔고 있지↗
학생 : (교과서 읽음)
(4) 잠자기 통제
학생 : (학생개별활동을 멈추고 손머리함)
교사 : 1) 그만, 머리에 손 내려 1번
2) 어텐션
학생들 : 어텐션
교사 : 국현아! 앞으로 집에서 자~~ 알았어↗
(5) 돌아다니기 통제
- 학생들의 돌아다니는 행위는 교사의 설명이 끝나고 개별 활동이나 모둠활동할 때 교사의 눈을 피해 교실을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교사 : 1) 그래요
2) 까치 아주머니가 매미들에게 와서 알려 주었죠↗
3) 아이들이
학생 : 선생님! 성훈이 돌아다녀요↗
교사 : (돌아다니는 학생을 향해 인상을 써 주고 계속 순회 함)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 명령하기는 수업대화에서 교사의 발화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특징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 해준다. 이 방법은 빈번히 나타나는 통제방식으로 제한된 언어를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생들 : (( ))(떠들고 있음)
교사 : (떠드는 아동을 지목하며)김세훈! 떠들지마!
교사 :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교사 : 모두 조용히 안 해! 입!
2) 엄포 놓기
- 엄포 놓기는 실제로는 그리 하지 않더라도 큰 소리로 학생들을 위협하거나 으름장을 놓는 것을 말한다. 발화 형태는 대부분 “계속하면 ~할 거야.” 또는 “계속하면 ~알지.”로 나타난다.
학생들 : (교과서 보고 있음)
교사 : 1) 그게 그 대목이 할머니 한마디 때문이었습니다.
2) 여러분들 149쪽 보시기 바랍니다.
(중략)
3) 경수! 안 되겠네↗
4) 혼나는 거 알지↗
5) 4번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을 거야
3) 야단치기
- 학생의 일탈행동에 대하여 교사가 꾸짖는 행위를 말한다. 야단치는 방법에는 학생들을 부끄럽게 하여 볼 낯이 없도록 무안주기와 잘못한 점을 직접 말하지 않고 빈정거리면서 말하는 비꼬기, 그리고 남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학생 : (교과서를 가지고 오지 않음)
교사 : 1) 책 어디 갔어↗
2) 너는 왜 책도 안 가져 왔어!
3) 쉬는 시간은 뭐 하러 쉬는 시간이야 책도 사물함에 놓고 다니지↘
4) 말대로 노는 게 쉬는 시간이야 지금 뭐하는 거야 쉬는 시간은 쉬면서 다음시간
준비하는 거야 아니야↗
학생 : (학생에 엎드려 졸고 있다)
교사 : 이해성, 자장가로 들리냐↗)
학생 : (깜짝 놀라 바르게 고쳐 앉는다)
교사 : 밤새 뭐하시고 공부시간에 졸아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