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평가와 꾸중화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생평가와 꾸중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긍정평가와 부정평가
1. 학생 대답에 대한 교사 평가 발화 유형
가. 긍정평가
나. 부정 평가
다. 평가 전달
2. 제 3 대화이동 이후에서 대화의 전개양상
가. 긍정평가 이후
나. 부정평가 이후
다. 비대답, 퇴짜, 되묻기 질문 이후

Ⅱ. 꾸중화법(수업 중 일탈 학생 지도법)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학생의 말 통제
2) 학생의 행동 통제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2) 엄포 놓기
3) 야단치기

본문내용

식의 핵심적 차이점이라면 칭찬은 아동으로 하여금 갈수록 바람직한 행동을 더욱 더 많이 하게 할 수 있지만, 꾸중은 지금까지의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덜 하게 할 수는 있어도 그것이 곧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꾸중을 많이들은 아동의 최종 상태는 아무런 행동도 하지 않고 가만히 움츠리고 있는 모습일 가능성이 높다.
◎ 일탈행동
- 규범, 규칙 약속에서 벗어난 행동을 말하는데, 조용히 하고 학습활동을 해야 하는 행위로부터 일탈된 행동을 말한다.
가. 목적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 수업의 흐름을 저해하는 학생의 일탈행동을 막아 원활히 수업 목표를 달성하도록 이끌어가는 것을 말한다.
1) 학생의 말 통제
(1) 떠들기 통제
- 학생의 자세를 지적하거나 교사의 권위를 이용해서 통제한다.
학생 : (떠드는 소리 때문에) (( ))
교사 : 자세 봐, 다들 어떻게 해야 되는 거야↗
학생 : (주변의 시끄러운 소리 때문에) (( ))
교사 : 야! 누구야↗ // 승미야~! 다시 해야 돼! 승미야!
(2) 다툼 통제
교사 : 누가 썼어↗
학생 : 우리 안 썼어요
교사 : 1) 누가 썼어↗
2) 쓴 사람 있는 거지↗
3) 써진 글씨와 대조해 본다↘ 이름 쓴 사람
4) 좋은 말할 때 나와~~
학생들 : (서로 미루면서 웅성웅성)
학생 : 아냐
교사 : 1) 머리에 손!
2)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3) 쓴 사람 일어서
4) 없지↗
5) 누구야↘ 나와 안 나오지↗
6) 치환이↗ 나와! 너는 봤어↗
7) 너희 셋 다 나와 빨리↗
8) 쓴 것 본 적 있는 사람 일어서!
학생 : (아직 쓰지 못한 모둠동료에게)다 썼어↗ 이 바보야↗
교사 : 어! 바르말 고운말!
(3) 헛소리 통제
- 헛소리는 미덥지 않은 말이지만 수업에서는 수업과 관련이 전혀 없는 쓸 데 없는 소리를 말한다.
학생 : 아 배고파
교사 : 선생님도 얘기 해야지
학생 : (괴성) 휘휘
교사 : 바르게 않아서(침묵) 승헌이 발표해보자.
(4) 되받아치기 통제
- 되받아치기란 교사의 말을 따라하거나 또는 교사의 지시에 반발을 하거나 혹은 초점에 빗나간 대답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 (녹음자료를 들으면서) 선생님! 한번 들어봤었는데
교사 : 1) (칠판에 판서를 하고 난 뒤)자, 한번 들어 봤죠
2) 일단 들어!
학생 : 저, 선생님! 다음 거요↘↗
교사 : 1) 노벨 들어 봤었다구요↘
2) 괜찮아~~ 또 들어도~~
3) 노벨에 대해 들어 봤어요
교사 : (화제 전환하기 위해) 자, 그러면 여러분들이 어떤 장면이 떠오르는지 생각 해 봤죠↗
학생 : 안 해 봤는데요↘
교사 : (무시하며)(손들어보라는 제스처를 함)
2) 학생의 행동 통제
(1) 장난치기 통제
- 수업과는 상관없이 학생들이 하는 놀이를 통제하는 것이다.
학생들 : 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매암
교사 : 1) 민성이하고 현우는 계속 선생님하고 눈 마주쳤는데 계속 장난만 치고 있지↗
2) 이쪽으로 와 이리로 와
(2) 쪽지 돌리기 통제
- 쪽지 돌리기와 같이 규범에 어긋나는 행동은 교사의 지위에 도전하는 것으로 간주되고 다른 학생들에게도 파급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압적인 통제발화를 할 때가 많다.
학생 : (한 학생이 다른 학생에게 줄 쪽지를 읽고 있음)
교사 : (이를 발견하고는 은서네 모둠 쪽으로 다가와 손을 내민다)
학생 : ( 쪽지를 숨긴다)
교사 : 주세요. 빨리!(억지로 뺏는다)
학생 : (손을 뻗어 빼앗으려다 못 빼앗고 고개를 숙인다)
(3) 딴 짓 통제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는 않지만, 수업과 관련 없는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학생 1: (교과서를 읽음)
학생 2 : (다음차례를 놓친 듯)
교사 : 김혜연!
학생 : 혜연아!
교사 : 김혜연! 어디에다 정신팔고 있지↗
학생 : (교과서 읽음)
(4) 잠자기 통제
학생 : (학생개별활동을 멈추고 손머리함)
교사 : 1) 그만, 머리에 손 내려 1번
2) 어텐션
학생들 : 어텐션
교사 : 국현아! 앞으로 집에서 자~~ 알았어↗
(5) 돌아다니기 통제
- 학생들의 돌아다니는 행위는 교사의 설명이 끝나고 개별 활동이나 모둠활동할 때 교사의 눈을 피해 교실을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교사 : 1) 그래요
2) 까치 아주머니가 매미들에게 와서 알려 주었죠↗
3) 아이들이
학생 : 선생님! 성훈이 돌아다녀요↗
교사 : (돌아다니는 학생을 향해 인상을 써 주고 계속 순회 함)
나. 수단에 따른 교사의 통제발화
1) 명령하기
- 명령하기는 수업대화에서 교사의 발화가 전통적이고 권위적인 특징이 있다는 것을 뒷받침 해준다. 이 방법은 빈번히 나타나는 통제방식으로 제한된 언어를 사용하여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학생들 : (( ))(떠들고 있음)
교사 : (떠드는 아동을 지목하며)김세훈! 떠들지마!
교사 : 이거 봐라~~~! 얘기 하지마!
교사 : 모두 조용히 안 해! 입!
2) 엄포 놓기
- 엄포 놓기는 실제로는 그리 하지 않더라도 큰 소리로 학생들을 위협하거나 으름장을 놓는 것을 말한다. 발화 형태는 대부분 “계속하면 ~할 거야.” 또는 “계속하면 ~알지.”로 나타난다.
학생들 : (교과서 보고 있음)
교사 : 1) 그게 그 대목이 할머니 한마디 때문이었습니다.
2) 여러분들 149쪽 보시기 바랍니다.
(중략)
3) 경수! 안 되겠네↗
4) 혼나는 거 알지↗
5) 4번은 하지 않아도 된다고 했을 거야
3) 야단치기
- 학생의 일탈행동에 대하여 교사가 꾸짖는 행위를 말한다. 야단치는 방법에는 학생들을 부끄럽게 하여 볼 낯이 없도록 무안주기와 잘못한 점을 직접 말하지 않고 빈정거리면서 말하는 비꼬기, 그리고 남과 비교하는 방법이 있다.
학생 : (교과서를 가지고 오지 않음)
교사 : 1) 책 어디 갔어↗
2) 너는 왜 책도 안 가져 왔어!
3) 쉬는 시간은 뭐 하러 쉬는 시간이야 책도 사물함에 놓고 다니지↘
4) 말대로 노는 게 쉬는 시간이야 지금 뭐하는 거야 쉬는 시간은 쉬면서 다음시간
준비하는 거야 아니야↗
학생 : (학생에 엎드려 졸고 있다)
교사 : 이해성, 자장가로 들리냐↗)
학생 : (깜짝 놀라 바르게 고쳐 앉는다)
교사 : 밤새 뭐하시고 공부시간에 졸아요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4.02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7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