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스리랑카 선정동기
Ⅱ. 본론
국가에 대한 기본정보
스리랑카 IT산업 현황
한국기업의 진출전략
Ⅲ. 결론
REPORT 끝낸 소감
스리랑카 선정동기
Ⅱ. 본론
국가에 대한 기본정보
스리랑카 IT산업 현황
한국기업의 진출전략
Ⅲ. 결론
REPORT 끝낸 소감
본문내용
교적, 문화적, 기후 등의 이질감으로 인해 상호 교류가 매우 미약한 상태이다. 다라서 우선은 스리랑카 IT산업의 견인 역할을 한 사설 IT기관들의 교육 프로그램 도입 등 사설교육 시스템을 통한 상호 교류가 서로간의 이해 증진 및 당장 IT산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에 매우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 이다.
2. 좀더 구체적으로 우리기업이 스리랑카 IT업체와 협력하여 세계 표준을 선도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
3. 스리랑카의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 사업 참여도 향후 유망한 협력사업
스리랑카 IT산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취약한 IT인프라로 통신망의 현대화와 더불어 지식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스리랑카의 특성상 전국에 초고속 인터넷 망을 설치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사이버 카페 또는 e-post와 같은 거점의 확보가 필요하며 향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상호 협력이 가능할 것이다.
4. 벤처캐피탈을 통한 협력방안도 고려
스리랑카의 IT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하고 자금력이 미약하다. 한국이 벤처캐피탈 투자를 통해 초기 첨단 기술을 확보하고 인도를 통해 세계 IT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과 스리랑카는 기술 협력을 통하여 이룩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활용하여 제3국 수출 등으로 사업을 확대함으로서 양국 IT산업의 전략적 제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대정보기술, 스리랑카 IT시장 공략 나서...현지 BCC와 제휴
[아이뉴스]이구순기자 2004년 12월 01일
현대정보기술이 스리랑카 IT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대정보기술(대표 박병재 www.hit.co.kr)은 스리랑카의 유력 IT업체인 BCC(CEO 서닐 C 위제싱헤)와 스리랑카 IT시장 진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일 발표했다.
현대정보기술은 "BCC와 기술 제휴 및 공동 마케팅을 통해 스리랑카 IT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대정보기술은 그동안 해외시장에서 강점을 보여온 금융정보화를 비롯, 공공, 제조, 통신, SOC 등 스리랑카 시장을 적극 공략, 한국의 우수한 IT기술을 기반으로 현지에 진출할 계획이다.
또 이를 계기로 효과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주요 벤더, 해외 컨설팅 회사 그리고 현지 유력 IT회사들과의 전략적 공조체제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박병재 현대정보기술 회장은 "이번 협력체계 구축으로 새로이 스리랑카 시장을 개척, 이미 해외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금융 SI 외에 공공 및 제조분야로 영역을 다각화하는 한편 우수한 국산 솔루션의 해외수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BCC사는 지난 82년에 설립된 스리랑카 바틀렛(Bartlet)그룹의 IT 자회사이다. 스리랑카의 국가전자상거래시스템을 구축한 회사이며 20여년간 금융, 공공, 통신분야에 IT서비스를 제공한 스리랑카의 대표적 IT업체로 꼽히고 있다.
<신문기사>
Ⅲ. 결론
내 머릿속에 그려지는 스리랑카는 아직 발전하지 못해서 통신 혜택이라고는 전혀 받지 못하는 그런 나라인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이번에 과제를 하면서 내가 몰라도 너무 몰랐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에 과제 주제를 선택 할때에 브릭스 국가보다 브릭스 주변국이 점수가 20점이나 높았는데 그 이유를 절실히 알았다. 자료가 없어도 너무 없었다. 온갖 경제 연구소며 카인즈며 논문자료까지 다 살폈는데 크게 도움 되는 자료는 찾기 힘들었다. 결국 모든 자료를 찬찬히 읽고 나름대로 정리하면서 현황을 분석하고 전략도 세웠다.
물론, 이 레포트가 기말고사 성적보다 꼭 나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기말고사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한 자책감이 줄어들었다. 기말고사를 너무나도 못 친 나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너무나도 감사드린다.
*참고자료*
주 스리랑카 대사관 (http://www.mofat.go.kr/ek/ek_a001/ek_lklk/ek_02.jsp)
카인즈 (http://www.mofat.go.kr/ek/ek_a001/ek_lklk/ek_02.jsp)
코트라 (http://www.kotra.or.kr/)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mhkim008?Redirect=Log&logNo=120003438230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현대정보기술( http://www.hit.co.kr/ )
현대경제연구원( http://www.hri.co.kr/)
2. 좀더 구체적으로 우리기업이 스리랑카 IT업체와 협력하여 세계 표준을 선도하도록 하는 방안을 고려.
3. 스리랑카의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 사업 참여도 향후 유망한 협력사업
스리랑카 IT산업의 가장 큰 장애요인은 취약한 IT인프라로 통신망의 현대화와 더불어 지식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초고속 인터넷 망 구축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스리랑카의 특성상 전국에 초고속 인터넷 망을 설치하기 어려운 점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사이버 카페 또는 e-post와 같은 거점의 확보가 필요하며 향후 무선 인터넷을 이용하는 방안 등 다양한 상호 협력이 가능할 것이다.
4. 벤처캐피탈을 통한 협력방안도 고려
스리랑카의 IT기업들은 대부분 영세하고 자금력이 미약하다. 한국이 벤처캐피탈 투자를 통해 초기 첨단 기술을 확보하고 인도를 통해 세계 IT시장 진출 교두보를 마련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한국과 스리랑카는 기술 협력을 통하여 이룩할 수 있는 시너지효과를 활용하여 제3국 수출 등으로 사업을 확대함으로서 양국 IT산업의 전략적 제휴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을 것이다.
현대정보기술, 스리랑카 IT시장 공략 나서...현지 BCC와 제휴
[아이뉴스]이구순기자 2004년 12월 01일
현대정보기술이 스리랑카 IT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대정보기술(대표 박병재 www.hit.co.kr)은 스리랑카의 유력 IT업체인 BCC(CEO 서닐 C 위제싱헤)와 스리랑카 IT시장 진출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1일 발표했다.
현대정보기술은 "BCC와 기술 제휴 및 공동 마케팅을 통해 스리랑카 IT시장에 본격 진출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현대정보기술은 그동안 해외시장에서 강점을 보여온 금융정보화를 비롯, 공공, 제조, 통신, SOC 등 스리랑카 시장을 적극 공략, 한국의 우수한 IT기술을 기반으로 현지에 진출할 계획이다.
또 이를 계기로 효과적인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주요 벤더, 해외 컨설팅 회사 그리고 현지 유력 IT회사들과의 전략적 공조체제를 더욱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박병재 현대정보기술 회장은 "이번 협력체계 구축으로 새로이 스리랑카 시장을 개척, 이미 해외시장에서 인정받고 있는 금융 SI 외에 공공 및 제조분야로 영역을 다각화하는 한편 우수한 국산 솔루션의 해외수출에도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BCC사는 지난 82년에 설립된 스리랑카 바틀렛(Bartlet)그룹의 IT 자회사이다. 스리랑카의 국가전자상거래시스템을 구축한 회사이며 20여년간 금융, 공공, 통신분야에 IT서비스를 제공한 스리랑카의 대표적 IT업체로 꼽히고 있다.
<신문기사>
Ⅲ. 결론
내 머릿속에 그려지는 스리랑카는 아직 발전하지 못해서 통신 혜택이라고는 전혀 받지 못하는 그런 나라인 줄로만 알았다. 그런데 이번에 과제를 하면서 내가 몰라도 너무 몰랐다는 걸 알게 되었다.
그리고 처음에 과제 주제를 선택 할때에 브릭스 국가보다 브릭스 주변국이 점수가 20점이나 높았는데 그 이유를 절실히 알았다. 자료가 없어도 너무 없었다. 온갖 경제 연구소며 카인즈며 논문자료까지 다 살폈는데 크게 도움 되는 자료는 찾기 힘들었다. 결국 모든 자료를 찬찬히 읽고 나름대로 정리하면서 현황을 분석하고 전략도 세웠다.
물론, 이 레포트가 기말고사 성적보다 꼭 나을 것이라는 보장은 없지만, 기말고사 공부를 제대로 하지 못한 자책감이 줄어들었다. 기말고사를 너무나도 못 친 나에게 다시 한번 기회를 주신 교수님께 너무나도 감사드린다.
*참고자료*
주 스리랑카 대사관 (http://www.mofat.go.kr/ek/ek_a001/ek_lklk/ek_02.jsp)
카인즈 (http://www.mofat.go.kr/ek/ek_a001/ek_lklk/ek_02.jsp)
코트라 (http://www.kotra.or.kr/)
네이버 블로그 ( http://blog.naver.com/mhkim008?Redirect=Log&logNo=120003438230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현대정보기술( http://www.hit.co.kr/ )
현대경제연구원( http://www.hri.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