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 언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생육일수 및 관수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콩나물 품온의 변화
2.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에 따른 콩나물의 부패발생정도
3. 재배온도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4. 재배수온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적 요
참고문헌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1. 생육일수 및 관수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콩나물 품온의 변화
2.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에 따른 콩나물의 부패발생정도
3. 재배온도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4. 재배수온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적 요
참고문헌
본문내용
e represented the mean values of 4 soybean variety (Eunhakong,Kwangankong, Junjeori and introduced soybean)
Table 4. Characteristics of the 6 days old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the various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Characteristics
Water temperature (℃)
14
17
20
23
25
Yield (%)
522
523
548
549
492
Length (㎝)
8.7
10.5
13.4
11.3
9.7
Hypocotyl length (㎝)
3.8
4.7
6.0
4.6
4.2
Root length (㎝)
4.8
5.8
7.5
6.8
5.4
Hypocotyl thickness (㎜)
2.1
2.1
2.1
2.0
2.1
Wholel weight (g)
0.41
0.45
0.5
0.47
0.46
Cotyldon weight (g)
0.22
0.22
0.23
0.23
0.24
Hypocotyl weight (g)
0.14
0.17
0.2
0.17
0.17
Root weight (㎎)
0.05
0.059
0.069
0.065
0.053
1) Cultivation temperature : 20±1℃
2) Each values were represented the mean values of 4 soybean variety (Eunhakong, Kwangankong, Junjeori and introduced soybean)
적 요
1. 콩나물의 품온은 5일차 콩나물이 가장 높았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었고, 관수직후 콩나물 품온은 22℃ 정도에 달하나 관수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콩나물 품온은 증가하여 관수후 180분에는 최대 29.5℃까지 측정되었다.
2. 재배온도가 25℃ 및 30℃, 재배수온이 20℃, 23℃ 및 25℃일 경우 치상후 3일부터 본격적인 발아가 진행되지만 재배온도가 17℃ 및 20℃, 재배수온이 14℃ 및 17℃일 경우 치상후 4일부터 발아가 진행되었다.
3. 콩나물을 25℃ 및 30℃에서 재배한 경우 17℃ 및 20℃로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발아일수에 따른 콩나물 수율 및 콩나물 제반 특성들이 증가되지만 6일차 콩나물부터 부패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콩나물 재배에는 20℃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재배수온이 14℃로 지나치게 낮거나 25℃로 높을 경우 콩나물 생육은 오히려 억제되며 재배수온이 23℃ 이상일 경우 부패가 발생되어 콩나물의 재배에는 17∼20℃의 재배수를 공급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나 콩나물 수율, 콩나물 길이 및 배축장비율을 고려할 때 20℃의 재배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재배온도는 재배수온에 비하여 콩나물 수율과 콩나물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컸다.
6.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의 증가에 따른 배축두께의 변화는 매우 미미하였으며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을 20℃로 조절할 경우 콩나물에 부패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배축장 비율이 50% 미만에 해당하여 외견상의 품질은 낮았다.
참고문헌
1. Bae KG, Yeo IH and Hwang YH 1999. Methods of water supply of growth technology on best soybean sprouts. Korea Soybean Digest 16(2) : 57∼63.
2. Kang CK, Kim YK 1997.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J. Kor. Soc. Hort. Sci. 38(2) : 103∼106.
3. Korea Bean Sprout Association 1997. Research of cultural condition on soybean sprouts. 1 : 8∼17.
4. Park WM 1990. Cause and control on rot of soybean sprouts. Soybean sprouts. 2 : 4∼8.
5. and Kim JH 1998. Effects of watering on yield of soybean sprout. Korea Soybean Digest 15(1) : 46∼57.
6. Park MH, Kim DC, Kim BS and Nam KB 1992. 청정 콩나물 생산 및 유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보고서.
Table 4. Characteristics of the 6 days old soybean sprouts according to the various temperature of water supplied.
Characteristics
Water temperature (℃)
14
17
20
23
25
Yield (%)
522
523
548
549
492
Length (㎝)
8.7
10.5
13.4
11.3
9.7
Hypocotyl length (㎝)
3.8
4.7
6.0
4.6
4.2
Root length (㎝)
4.8
5.8
7.5
6.8
5.4
Hypocotyl thickness (㎜)
2.1
2.1
2.1
2.0
2.1
Wholel weight (g)
0.41
0.45
0.5
0.47
0.46
Cotyldon weight (g)
0.22
0.22
0.23
0.23
0.24
Hypocotyl weight (g)
0.14
0.17
0.2
0.17
0.17
Root weight (㎎)
0.05
0.059
0.069
0.065
0.053
1) Cultivation temperature : 20±1℃
2) Each values were represented the mean values of 4 soybean variety (Eunhakong, Kwangankong, Junjeori and introduced soybean)
적 요
1. 콩나물의 품온은 5일차 콩나물이 가장 높았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되었고, 관수직후 콩나물 품온은 22℃ 정도에 달하나 관수후 시간이 경과할수록 콩나물 품온은 증가하여 관수후 180분에는 최대 29.5℃까지 측정되었다.
2. 재배온도가 25℃ 및 30℃, 재배수온이 20℃, 23℃ 및 25℃일 경우 치상후 3일부터 본격적인 발아가 진행되지만 재배온도가 17℃ 및 20℃, 재배수온이 14℃ 및 17℃일 경우 치상후 4일부터 발아가 진행되었다.
3. 콩나물을 25℃ 및 30℃에서 재배한 경우 17℃ 및 20℃로 재배한 경우에 비하여 발아일수에 따른 콩나물 수율 및 콩나물 제반 특성들이 증가되지만 6일차 콩나물부터 부패가 발생하기 시작하여 콩나물 재배에는 20℃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4. 재배수온이 14℃로 지나치게 낮거나 25℃로 높을 경우 콩나물 생육은 오히려 억제되며 재배수온이 23℃ 이상일 경우 부패가 발생되어 콩나물의 재배에는 17∼20℃의 재배수를 공급하는 것이 적절하였으나 콩나물 수율, 콩나물 길이 및 배축장비율을 고려할 때 20℃의 재배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재배온도는 재배수온에 비하여 콩나물 수율과 콩나물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가 더 컸다.
6.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의 증가에 따른 배축두께의 변화는 매우 미미하였으며 재배온도 및 재배수온을 20℃로 조절할 경우 콩나물에 부패가 발생되지 않았으나 배축장 비율이 50% 미만에 해당하여 외견상의 품질은 낮았다.
참고문헌
1. Bae KG, Yeo IH and Hwang YH 1999. Methods of water supply of growth technology on best soybean sprouts. Korea Soybean Digest 16(2) : 57∼63.
2. Kang CK, Kim YK 1997. Effect of plant growth regulators on growth of soybean sprouts. J. Kor. Soc. Hort. Sci. 38(2) : 103∼106.
3. Korea Bean Sprout Association 1997. Research of cultural condition on soybean sprouts. 1 : 8∼17.
4. Park WM 1990. Cause and control on rot of soybean sprouts. Soybean sprouts. 2 : 4∼8.
5. and Kim JH 1998. Effects of watering on yield of soybean sprout. Korea Soybean Digest 15(1) : 46∼57.
6. Park MH, Kim DC, Kim BS and Nam KB 1992. 청정 콩나물 생산 및 유통방법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개발연구원보고서.
키워드
추천자료
수경온실의 양액랭각에 관한 연구
사출성형 금형
농업에 대하여
Phytoremediation과 Phytoextraction
동환산업 기업분석
오스트리아 와인에 관한 조사
정상신생아 케이스 스터디
저항기(Resistor) 설명자료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김치,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젓갈, 한국전통음식(전통식품) 된장, ...
[조선대 인강] 2012년 생활속의자동차 퀴즈 + 기출문제 + 강의 정리본 입니다.
에너지 위기 원인, 유래, 대응방안, 원자력 에너지, 재생가능 에너지, 대체 에너지, 위기, 전...
기계부품 제작방법 용어
지구과학 임용고시 해양학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