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네트워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홈네트워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생체기반 인증기술
2. 접근권한 제어 기술
3.사용자 인증 및 기기 인증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이 함수들은 WAN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변환, 파이어월,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encoding agreement, 그리고 LAN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다루는 홈게이트웨이를 홈게이트(Home Gate)라고 부른다.
OSGi가 API 수준에서 상위 레벨 상호 호환성을 다루는데 비해, 홈게이트는 게이트웨이 내에 LAN 통신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관리를 수용하는 것을 다룬다. WG1에서는 홈게이트웨이의 컴포넌트에 대한 정의를 목적으로 하며, WG1에 의해 정의된 홈게이트웨이의 구성 요소는 WGI(WAN Gateway Interface), HGIP(HomeGate Internal Protocol) 및 LGI(LAN Gateway Interface)가 있다. 여기서 HGIP란 용어는 RGIP로도 바뀌어 쓰이기도 한다.
WGI는 특정한 WAN 인터페이스 모듈, 신호가 WAN을 통해 전송될 수 있게 변환되었는지를 보증해주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 모듈, 그리고 HGIP와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되어있다. LGI도 WGI와 유사하게 특정한 LAN 인터페이스 모듈, 신호가 WAN을 통해 전송될 수 있게 변환되었는지를 보증해주는 프로토콜 변환 처리 모듈, 그리고 HGIP와의 인터페이스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HGIP는 다음과 같은 기능을 가진다.
- HGIP로의 공유 인터페이스
- WGI와 LGI 모듈간 데이터를 라우팅 시킬 수 있는 기능
- HGIP와 그에 달린 모듈들의 활동을 관리하는 프로세스들
- 보안 정책들
- 함수들을 가져올 표준 프로토콜
- HGIP를 동작하기 위한 표준 함수들
마. 홈게이트웨이 인증
① 처음 설치시 개통 절차
Mac 및 ip 주소, 서비스 id 등록에 의한 개통
개통 후 인증 id (HDSID) 획득
② 홈게이트웨이 인증
HDSID 및 Mac 정보에 의한 기기 인증
3) 댁내 기기 인증
① 댁내 기기는 NAT로 연결 (사설 IP)
② 홈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인증
Ⅲ.결론
홈 네트워크 서비스 산업은 미래의 국가 발전과 새로운 변혁의 원동력으로서 향후 발전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보급이 확산되고 다양한 형태의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등장하면, 사이버 공격의 대상 범위 또한 커져서 사회적 경제적으로 우리 사회에 큰 불안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렇듯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침해사고 발생은 그 피해가 인터넷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에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홈 네트워크 시범 서비스를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있으나, 실제 정보보호 대책은 사용자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한 단순한 인증 방식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널리 보급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보안 요소가 고려되어야 한다. 개인과 가족의 신원 확인을 정확히 확인하고, 타인이 홈 네트워크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 또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이용하기 위해 인증을 받은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기기 혹은 서비스를 차등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홈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할 때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하고 획일적인 서비스 사용 권한을 부여하는 것은 예상치 못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불필요한 이벤트 발생 등으로 시스템의 안전성을 위협할 수 있다.
즉, 홈 게이트웨이를 기반으로 각 가정의 홈 네트워크 특성을 고려한 접근제어 정책을 수립하고, 실시간으로 접근을 제어하는 홈 네트워크 접근제어 시스템이 필요하다. 홈 네트워크에 존재하게 되는 개인정보 등의 민감한 데이터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개인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기술도 필요하다. 또한 홈 네트워크 서비스가 점차 지능화되고 다양화되므로 인해 사용자 개입이 없이 홈 네트워크 서비스를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는 방법과, 이종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이루어진 홈 네트워크의 특성으로 인한 보안 허점을 메워주기 위해 홈 디바이스간 인증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고 하겠다.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수준의 초고속 정보통신 인프라 및 밀집형 주거형태 등 홈 네트워크 산업이 조기에 활성화 될 수 있는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어 현재 진행중인 국내 및 국제 표준화 활동과 더불어 방송, 가전, 서비스 등 우리나라가 국제 경쟁력을 확보한 영역을 중심으로 사업자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홈 네트워크 인증센터를 통한 인증체계 구축 및 시범사업을 통한 기술 및 서비스 검증, 법,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하면 홈 네트워크 산업을 활성화하고 국민소득 2만 달러 달성으로 국민의 디지털라이프를 실현하는 핵심 산업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향후 유비쿼터스 환경이 도래하면 홈 네트워크 환경도 점차 지능화되고 다양한 차세대 홈서비스들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홈 네트워크 서비스의 미래는 매우 밝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유비쿼터스 지능형 홈 네트워크 환경을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보안 대책 및 기술 개발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기술과 서비스가 점점 복잡해지면 보안에 대한 위협도 비례한다는 것을 명심하고 우리의 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한 대책에 만전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장재득, 최송인, “생체인식 기술/표준화/기술동향 분석”, IT FIND 주간 기술
동향 제 1198호
[2] http://blog.naver.com/airbag1?Redirect=Log&logNo=80015085921
[3] 김기현, “접근 통제 개요”, 한국정보보호센터
[4] 정보보호연구단, “홈네트워크를 위한 인증 및 접근권한 제어기술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4.6.2
[5] http://crypto.dongseo.ac.kr/board/down
/Chapter%204%20%C1%A2%B1%D9%20%C5%EB%C1%A6.ppt
[6] 전영표 부사장, “홈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홈게이트웨이 관점의 고려사항”,
아이크로스테크놀러지, 2005.5.31
[7] http://blog.naver.com/hjo0075?Redirect=Log&logNo=14001845343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0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