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블루오션
①블루오션이란?
② 블루오션 창출의 절대적인 필요성
Ⅱ 크라운
① 크라운 기업 연보
② 크라운의 경영혁신 사례
③ 기업사례 분석
Ⅲ 서울우유
① 서울우유연보
②서울우유의 경영혁신 사례
*친숙한 이미지로 올드팬 공략
스타벅스와 제휴… 커피음료 시장 진출
③ 기업사례 분석
Ⅳ 오리온
① 오리온 기업연보
②오리온의 경영혁신 사례
*글로벌․집중화로 쾌속 성장
초코파이 情 등 ‘대표상품’
③ 기업사례 분석
①블루오션이란?
② 블루오션 창출의 절대적인 필요성
Ⅱ 크라운
① 크라운 기업 연보
② 크라운의 경영혁신 사례
③ 기업사례 분석
Ⅲ 서울우유
① 서울우유연보
②서울우유의 경영혁신 사례
*친숙한 이미지로 올드팬 공략
스타벅스와 제휴… 커피음료 시장 진출
③ 기업사례 분석
Ⅳ 오리온
① 오리온 기업연보
②오리온의 경영혁신 사례
*글로벌․집중화로 쾌속 성장
초코파이 情 등 ‘대표상품’
③ 기업사례 분석
본문내용
공략을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회사측은 기대하고 있다.
국내에서 오리온의 경쟁력은 10여개 '파워 브랜드'(Power Brand)에서 나온다. 현재 오리온은 경쟁사들이 많은 제품을 내놓는 것과 달리 소수 브랜드에 마케팅을 집중하고 있다. 오리온의 10여개 파워 브랜드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매출액의 60%에 달한다.
오리온은 앞으로도 내수시장에서는 '최적화와 통합' 작업을 통해 영업력 강화와 함께 기존 브랜드들이 파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30%,영업이익 15%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내 통합, 융합 작업을 통해 경영 합리화와 업무 프로세스,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공들여 내놓은 신제품의 성공도 오리온의 성장비결이다. 단순한 신제품이 아니라 오직 오리온(Only Orion)에서만 만날 수 있는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뮤렌'은 프리미엄 비스킷으로 고급 베이커리에서만 쓰이던 '머랭'이라는 작업공정을 양산 제품에 처음 도입했다. 비스킷의 밀가루 원료는 유기농 밀가루를 사용하고 호박씨, 호두 등을 사용하는 등 기존 제과시장에 없었던 프리미엄 비스킷을 만들어낸 것이다.
또 오리온은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기존 장수 브랜드, 히트 브랜드들도 제품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상반기 '오리온 초코파이'를 리뉴얼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설탕을 줄이고 대신 올리고당을 사용했으며, 초콜릿 풍미를 강화하고 패키지 디자인도 전혀 새로운 프리미엄 파이로 재탄생시켰다
한국경제 2006-10-24
③ 기업사례 분석
오리온의 경우 올 상반기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4% 늘어난 2773억원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는 이유는 ‘글로벌화 성공’과 ‘집중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를 잇는 ‘오리온 글로벌 벨트’를 형성하고, 국내에서는 10여개의 ‘파워 브랜드(Power Brand)를 육성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오리온은 조직의 생존전략에 있어서 generalist전략과 specialist전략을 절충적으로 사용해 유연성 있게 대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generalist전략은 다양한 범위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넓은 시장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조직의 전략이며, specialist전략의 경우 좁은 범위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한정된 시장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조직의 전략을 일컫는다. 오리온의 경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라는 넓은 시장을 바탕으로 한 generalist전략에 소수 브랜드에 대한 specialist전략을 통해 성공을 거둔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이 오리온에게는 블루오션으로 작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내 통합, 융합 작업을 통해 경영 합리화와 업무 프로세스,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기계적 조직에서 유기적 조직으로 보다 시장에 유연성 있게 대처 할 수 있게 나아가고 있다.
국내에서 오리온의 경쟁력은 10여개 '파워 브랜드'(Power Brand)에서 나온다. 현재 오리온은 경쟁사들이 많은 제품을 내놓는 것과 달리 소수 브랜드에 마케팅을 집중하고 있다. 오리온의 10여개 파워 브랜드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 매출액의 60%에 달한다.
오리온은 앞으로도 내수시장에서는 '최적화와 통합' 작업을 통해 영업력 강화와 함께 기존 브랜드들이 파워 브랜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함으로써 시장 점유율 30%,영업이익 15%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내 통합, 융합 작업을 통해 경영 합리화와 업무 프로세스,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
공들여 내놓은 신제품의 성공도 오리온의 성장비결이다. 단순한 신제품이 아니라 오직 오리온(Only Orion)에서만 만날 수 있는 제품 개발에 총력을 기울여왔다. '뮤렌'은 프리미엄 비스킷으로 고급 베이커리에서만 쓰이던 '머랭'이라는 작업공정을 양산 제품에 처음 도입했다. 비스킷의 밀가루 원료는 유기농 밀가루를 사용하고 호박씨, 호두 등을 사용하는 등 기존 제과시장에 없었던 프리미엄 비스킷을 만들어낸 것이다.
또 오리온은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 기존 장수 브랜드, 히트 브랜드들도 제품의 질을 지속적으로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상반기 '오리온 초코파이'를 리뉴얼한 게 대표적인 사례다.
설탕을 줄이고 대신 올리고당을 사용했으며, 초콜릿 풍미를 강화하고 패키지 디자인도 전혀 새로운 프리미엄 파이로 재탄생시켰다
한국경제 2006-10-24
③ 기업사례 분석
오리온의 경우 올 상반기 매출이 작년 동기보다 4% 늘어난 2773억원을 기록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수 있는 이유는 ‘글로벌화 성공’과 ‘집중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를 잇는 ‘오리온 글로벌 벨트’를 형성하고, 국내에서는 10여개의 ‘파워 브랜드(Power Brand)를 육성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미루어 볼 때 오리온은 조직의 생존전략에 있어서 generalist전략과 specialist전략을 절충적으로 사용해 유연성 있게 대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generalist전략은 다양한 범위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넓은 시장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조직의 전략이며, specialist전략의 경우 좁은 범위의 제품이나 서비스를 한정된 시장을 대상으로 제공하는 조직의 전략을 일컫는다. 오리온의 경우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라는 넓은 시장을 바탕으로 한 generalist전략에 소수 브랜드에 대한 specialist전략을 통해 성공을 거둔 사례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이 오리온에게는 블루오션으로 작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전략을 달성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사내 통합, 융합 작업을 통해 경영 합리화와 업무 프로세스, 의사소통과 의사결정을 개선해 나가고 있으며 기계적 조직에서 유기적 조직으로 보다 시장에 유연성 있게 대처 할 수 있게 나아가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전기초자(주)’ 경영혁신 사례 연구』 리포트
경영혁신과 성공사례
경영혁신 6시그마( Six Sigma) 완벽 상세분석 및 용어해설
[GE]GE(제너럴일렉트릭)의 설립, GE(제너럴일렉트릭)의 기업지배구조, GE(제너럴일렉트릭)의 ...
경영혁신에 대한 사례 연구(성공과 실패 사례)A+ : 보루네오 가구, 태평양 라네즈
경영혁신에 대한 사례 연구(성공과 실패 사례)A+
포스코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한국의 분야별 혁신경영인의 리더십사례
구조조정의 원인과 정의를 적고 GE(General Electric)의 경영혁신 사례를 설명
기아자동차의 경영혁신 성공사례
기업 경영혁신 사례와 방안
노키아기업분석,노키아마케팅전략,노키아혁신경영,NOKIA기업분석,NOKIA혁신경영.PPT자료
충북(충청북도)지역 학교경영 진단과 경영혁신 노력 분석 - 충북 도내 단위학교 경영 현황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