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혁신 6시그마( Six Sigma) 완벽 상세분석 및 용어해설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영혁신 6시그마( Six Sigma) 완벽 상세분석 및 용어해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6시그마(Six Sigma)경영의 개념과 정의

Ⅲ. 6시그마의 목표

Ⅳ. 6시그마의 효과

Ⅴ. 6시그마와 HR의 접목
1. 6시그마와 HR
2. HR에서의 6시그마 적용의 사례
3. HR에서 성공적 6시그마 실행 요건

Ⅵ. 6시그마 적용

Ⅶ. 6시그마 용어해설

Ⅷ. 결 론

본문내용

로 분해 각 요소마다 동작을 수행할 때 동작의 난이도에 따라 W/F수를 결정 T/Table에 의해 정미시간을 구하는 방법
* SC(Supply Chain)공급업체의 공급업체에서 고객의 고객까지의 범위 내에 있는 정보,자재 및 제품,자금,조직의 흐름으로서 조달,생산,수배송,제품 혹은 서비스 지원과 관련된 회사 내부운영과 협력 업체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다
* SCM(Supply Chain Management)원자재를 언제,어디서 구매할 것인가, 생산사이클에서 언제 어떤 경로를 밟을 것인지, 언제,어디서,어떻게 주문,보관,수배송 될 것인지를 결정한다.
* SFC(Shop Floor Control)현장의 제조관련 데이터를 바코드로 읽어서 가공하여 정보화하여 의사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주는 현장관리시스템
* Single J/C - 단위 시간내에 완료하는 Job Change를 말함.
* SOP(Sales and Operation Planning)장기간 판매를 예측하여 생산에 반영되어질 정보들을 관리. 이 단계에서 생산물량을 계획하게 된다. (기존의 4개월 생산계획,즉 총괄 생산계획과 유사한 개념이다.)
* SRO(Strategic Resource Operation)고객과 직접 접촉하는 고객대응(CR)프로세스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실행을 담당하는 제조 및 조달, 물류운영 프로세스가 최적화될 수 있도록 생산계획을 Scheduling하고 전략적으로 자원을 운영하는 Major 프로세스
* SRP(Strategic Resource Planning)고객대응(CR) 프로세스의 수주 및 시장동향을 참조하고 필요한 자원 (Capacity/재고/자재...)을 전략적으로 최적화하여 고객대응 및 자원운영이 최적화 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Major 프로세스
* Six Sigma(6 )- (시그마)는 그리스 문자이며, 어떤 프로세스나 절차가 중심(평균)을 주위로 얼마나 퍼져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제조공정을 포함한 기업의 프로세스에서 시그마는 프로세스가 얼마나 훌륭히 수행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시그마값이 클수록 더 좋은 상황이다. 시그마는 프로세스가 결함이 없이 수행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한다. 결함이란 고객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시그마는 프로세스의 능력을 반영하는 통계적 측정 단위이다. 시그마 척도는 DPU(단위당 결함수), PPM(백만개당 결함수), 실패/에러가 발생할 확률과 같은 특성들과 완전한 상관관계에 있다. 6시그마 수준은 3.4PPM의 수준이다.
* S/N비(Signal to Noise Ratio)-신호대 잡음비율로 신호입력의 힘과 잡음이 주는 영향의 힘을 비율로 나타낸 것.
* 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프로세스 Output의 데이터를 관리한계와 비교하여 모니터링하고 불안정한 패턴이나 관리이탈 상황이 발생하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과학. 시간순으로 불량율과 같은 Output의 샘플을 반복적으로 통계량을 구해 프로세스의 행태를 표현한다.
* SQM(Standard Quality Management)-선도적 품질, 원가 및 고객만족을 달성하기 위하여 표준을 설정, 데이터를 분석 평가하고 피드백시스템을 구축하여 공정의 input/output 산포를 6 수준으로 개선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한다.
* Synergy효과A와 B가 통합/융합되어 내는 상승효과
* TACT TIME1개의 물건이 만들어 지는데 소요된 실제시간
* Therblig길브레스가 고안한 17가지 동작기호를 이용해서 작업동작을 관측가능한 최소단위로 분할하는 방법
* 3C( Customer, Change Competition)흔히 경영환경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됨 예)3C의 시대
* 3P(People, Process, Product )경영혁신활동 대상으로서 흔히 3가지 축을 말할 때 쓰임.* TIME STUDY작업자의 작업시간이나 설비의 가동시간을 STOP WATCH로 측정하여 분석하는 기법
* TMU(Time Measurement Unit)기본동작에 부여된 시간치의 단위 (1시간 = 100,000TMU)
* TOC(Theory Of Constraints)제약조건이론
* TPM(Total Productive Maintenance)종합생산보전활동
* VOC(Voice OF Customer)회사의 제품 및 Service에 대한 고객의 모든 반응 및 의견을 말하는데, 불만형 고객의 소리와 제안형 고객의 소리로 나눌 수 있다.
Ⅷ. 결 론
금세기는 국제 환경변화는 물론 국내의 사회 및 기업환경의 엄청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전자제품들이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개념으로 변화되는 가시적인 것 외에 경영환경 변화도 디지털 경제 특징을 가진 아날로그 시대와 차별화 되는 새로운 경제원리와 경영방식을 찾고 있다.
그러나 시대는 변화해도 이를 전담하는 주체는 '인간'임이 분명하다.
수천년의 유구한 역사를 통해 많은 환경변화를 거쳐왔었지만 인간의 사고 역시 기계 바뀌듯이 대체되는 것이 아니었다.
기초가 강한 나라. 기본이 잘되어 있는 국가나 회사가 변화에 강하듯이 산업교육도 기본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선진 외국기법 몇 가지 도입으로 만족해 왔던 기대 심리는 이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의 산업교육은 뿌리와 깊이가 없는 경영기법 시장이다.
새로운 기법이 충분한 검토 없이 도입되어 1-2년 못되어 거품같이 사라져 갔다.
제대로 되는 것도 없고 안돼는 것도 없이 산업교육이 확고한 방향감각을 잃어버렸다는 점은 다함께 깊이 반성하여야 할 것이다.
미국의 오렌지 나무가 기후 환경에 다른 나라에 옮겨 심으면 탱자가 되듯이 심사숙고하여 받아들여야 될 것으로 본다.
경쟁적으로 겉만 번지르한 가시적인 교육 MODEL 제시보다 젝월치가 언급했듯이 종업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당신이 회사발전에 가장 중요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지도록 하는 人才-> 人材->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이제는 기업내 교육의 방향도 HRD 영역만으로는 불충분하며 HRM(인적자원관리)의 영역에서 발상하여 실천해야 올바른 인재육성 전략의 방향이 될 것으로 본다.
  • 가격1,5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7.02.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6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