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도입 - 진호야 사랑해
Ⅱ.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1. 사례로 보는 자폐증
2. 자폐증의 정의
3. 자폐증의 역사적 고찰
4. 자폐증의 증상(특성)
Ⅲ. 자폐증은 왜 생기는가
1. 자폐증의 원인
2. 자폐증의 진단
Ⅳ. 자폐증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자폐아동의 중재방법(치료)
2. 기독교인으로서 부모의 역할
Ⅴ. 기관탐방
1. 기관소개
Ⅵ. 부록
1. 유사자폐
Ⅶ. 참고문헌
Ⅱ. 자폐증이란 무엇인가
1. 사례로 보는 자폐증
2. 자폐증의 정의
3. 자폐증의 역사적 고찰
4. 자폐증의 증상(특성)
Ⅲ. 자폐증은 왜 생기는가
1. 자폐증의 원인
2. 자폐증의 진단
Ⅳ. 자폐증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
1. 자폐아동의 중재방법(치료)
2. 기독교인으로서 부모의 역할
Ⅴ. 기관탐방
1. 기관소개
Ⅵ. 부록
1. 유사자폐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신해서 표현해서 표현해준다. 과일을 달라고 손을 끈다면 엄마가 "엄마 사과주세요" 하며 크고 분명한 소리로 발음해준다.
* 끊어지는 말을 해요 -- 문장으로 만들어 표현해 주세요.
처음부터 복잡하고 어려운 말을 제시하기 보다는 재미있는 의성어나 의태어를 따라하게 하고 따라하면 칭찬해 준다.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이 즐겁다는 것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주목적. 끊어지는 말을 하면 아이가 한 말을 이용해서 단어나 문장으로 만들어 준다. 동화책을 연기하듯이 재미있게 읽어줘도 좋다.
* 감정의 변화가 적어요 -- 자주 스킨십을 해주세요.
아이의 표정 변화가 적은 것은 아이가 외부 세계에 반응을 하지 않을 정도로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것이다. 자주 안아주고, 뽀뽀해 주고, 아이에게 정서적인 표현을 많이 해준다. '고마워, 참 예쁘구나, 어제보다 밥을 조금 더 먹었네, 너무 기특해' 등 다양한 정서적인 표현과 칭찬, 자신감을 북돋는 말을 해주도록 한다.
5) 숫자, 날짜 기억력만 뛰어나고 사회성 떨어지면 위험!
"우리 아이가 전화번호부 1페이지를 통채로 달달 외워요. 집중력도 굉장히 뛰어나 2시간이든 3시간이든 꼼짝 않고 한 가지만 가지고 놀아요"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이 아이는 영재 아다. 영재 아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인 기억력과 집중력이 모두 뛰어나기 때문. 하지만 만약 이 아이가 숫자가 배열 등 규칙이 있는 것만 잘 외운다면? 언어발달이 또래에 비해 상당히 늦다면? 그리고 엄마와 대화하지 않고 눈을 맞추지 않는다면? 이 아이는 영재가 아니라 자폐아다.
영화 '레인맨' 이나 '머큐리' 에서처럼 자폐아 중 소수의 아이들이 비상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달력을 통째로 외우거나 전화번호를 굉장한 짧은시간에 외운다거나 규칙적으로 이어지는 문자를 달달 외우기도 한다. 이런 자폐아를 백치천재라고 하는데 가끔 엄마들 중에 아이가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적인 면만 보고 영재아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간혹 영재 아 검사를 받으러 가서 엉뚱하게도 자폐아 판정을 받는 경우가 생기는 것도 엄마들의 이런 착각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재 아와 자폐아는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영재아들은 숫자나 날짜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골고루 뛰어난 기억력을 보이지만, 자폐아는 형태나 기호, 기계적인 규칙이 있는 것에만 기억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영재아들이 다양한 것에 집중력을 보이고 창의성이 뛰어난 반면, 자폐아의 경우는 유독 한 가지에만 집중하며 놀이 법에도 전혀 변화가 없다. 아이가 아무리 비상한 기억력을 가졌다 해도 사회적인 상호관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묻는 말을 그대로 따라하며 반복된 특이한 행동을 보인다면 즉시 소아정신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6) 엄마가 체크하세요! 이런 행동 보이면 유사자폐 가능성 있어요.
1. 엉엉 소리 내어 울거나 환하게 웃는 등의 표정 변화가 약하다.
2. 엄마와 또렷하게 눈을 맞추지 못한다.
3. 불러도 대답을 없거나 너무 느리게 돌아보기만 한다.
4. 낯선 사람을 만나도 호기심이나 낯가림 등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5. 엄마와도 잘 놀려고 하지 않는다.
6. 또래 친구를 만나도 무심하다.
7. 도리도리 짝짜꿍도 잘 하지 않는 등 흉내 내는 행동이 없다.
8. 슬프다, 즐겁다 등 감정을 잘 이해할 줄 모른다.
9. 두 돌이 지나도 말을 잘 못한다.
10. 언어 이해가 떨어지고 이해가 어느 정도 돼도 무시해 버리고 반응하지 않는다.
11. 의사표현을 할 때도 말보다는 손목을 끌어서 원하는 것을 요구한다.
12. 이전에 들었던 말(광고나 선전문구 등)을 상황에 맞지 않게 사용한다.
13. 무의미한 말을 혼자 웅얼거린다.
14 의문문 형태로 말하거나(예를 들어 '밥 먹을래' 를 '밥 먹을까?'라고 표현한다) 어색하게 책을 읽는 듯이 말한다.
15. 무릎을 꿇고 앉는 등 또래에 맞지 않는 특이한 행동을 반복한다.
16. 한 가지 옷만을 입으려 하는 등 자기가 이미 해온 것만을 계속하려 든다.
17. 특정한 물건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18. 한 가지 놀이만 하고 여러 가지 놀잇감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19. 모든 것을 일렬로 배열하거나 자동차 바퀴만 계속 돌리는 행동을 한다.
20. 손을 털거나 손바닥을 오랫동안 들여다본다.
21. 물건을 똑바로 보지 않고 옆으로 훑어본다.
22. 까치발로 걷는다.
23. 한 자리에 앉아 맴맴 돈다.
24. 끈을 마구 풀어서 흩어놓거나 돌린다.
25. 책을 읽지도 않으면서 오랫동안 계속 뒤적인다.
26. 엄마에게 무엇을 해달라고 요구하지 않는다.
27. 소꿉놀이나 역할놀이 등 상상놀이를 하지 않는다.
28. 집안 가구를 바꾸면 싫어한다.
29. 고집이 지나치게 세다.
30. 편식이 심해 새로운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31. 만 3세가 돼도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32. 산만하게 왔다갔다 한다.
--------------------------------------------------------------------
★ 심리 진단표 ★
▷ 해당 문항 5개 이하
큰 문제 없이 정상 발달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행동에 대해서만 엄마가 신경 써서 지도해 주세요.
▷ 해당 문항 6~12개
소심한 아이입니다. 칭찬을 많이 해서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주세요. 평소보다 자주 안아주고 격려해 주세요.
▷ 해당 문항 13~25개
정서가 불안한 아이입니다. 엄마의 무한한 사랑과 보호가 필요합니다. 엄마와 함께 하는 놀이시간을 평소보다 2~3시간 정도 늘려주세요.
▷ 해당 문항 26~32개
유사자폐 가능성이 있어요.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세요. 심각하게 진전되지 않았다면 몇 달간 치료로 정상회복이 가능합니다.
Ⅶ. 참고문헌
장선철, 특수유아의 이해와 교육, 동문사, 2002.
이용승, 자폐증: 엄마, 아빠에게 무관심한 아이, 학지사, 2000.
윙, 로나, 자폐아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4.
김승국, 자폐아동 교육, 양서원, 1993.
http://sookmyung.ac.kr/~ak9355/right.html
* 끊어지는 말을 해요 -- 문장으로 만들어 표현해 주세요.
처음부터 복잡하고 어려운 말을 제시하기 보다는 재미있는 의성어나 의태어를 따라하게 하고 따라하면 칭찬해 준다. 무엇인가를 표현하는 것이 즐겁다는 것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주목적. 끊어지는 말을 하면 아이가 한 말을 이용해서 단어나 문장으로 만들어 준다. 동화책을 연기하듯이 재미있게 읽어줘도 좋다.
* 감정의 변화가 적어요 -- 자주 스킨십을 해주세요.
아이의 표정 변화가 적은 것은 아이가 외부 세계에 반응을 하지 않을 정도로 마음의 문을 닫아버린 것이다. 자주 안아주고, 뽀뽀해 주고, 아이에게 정서적인 표현을 많이 해준다. '고마워, 참 예쁘구나, 어제보다 밥을 조금 더 먹었네, 너무 기특해' 등 다양한 정서적인 표현과 칭찬, 자신감을 북돋는 말을 해주도록 한다.
5) 숫자, 날짜 기억력만 뛰어나고 사회성 떨어지면 위험!
"우리 아이가 전화번호부 1페이지를 통채로 달달 외워요. 집중력도 굉장히 뛰어나 2시간이든 3시간이든 꼼짝 않고 한 가지만 가지고 놀아요"
일반적으로 생각하기에 이 아이는 영재 아다. 영재 아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인 기억력과 집중력이 모두 뛰어나기 때문. 하지만 만약 이 아이가 숫자가 배열 등 규칙이 있는 것만 잘 외운다면? 언어발달이 또래에 비해 상당히 늦다면? 그리고 엄마와 대화하지 않고 눈을 맞추지 않는다면? 이 아이는 영재가 아니라 자폐아다.
영화 '레인맨' 이나 '머큐리' 에서처럼 자폐아 중 소수의 아이들이 비상한 기억력을 가지고 있는 경우도 있다. 달력을 통째로 외우거나 전화번호를 굉장한 짧은시간에 외운다거나 규칙적으로 이어지는 문자를 달달 외우기도 한다. 이런 자폐아를 백치천재라고 하는데 가끔 엄마들 중에 아이가 성격적으로 문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적인 면만 보고 영재아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간혹 영재 아 검사를 받으러 가서 엉뚱하게도 자폐아 판정을 받는 경우가 생기는 것도 엄마들의 이런 착각 때문이다. 그렇다면 영재 아와 자폐아는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까?
영재아들은 숫자나 날짜 이외에 다양한 분야에서 골고루 뛰어난 기억력을 보이지만, 자폐아는 형태나 기호, 기계적인 규칙이 있는 것에만 기억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영재아들이 다양한 것에 집중력을 보이고 창의성이 뛰어난 반면, 자폐아의 경우는 유독 한 가지에만 집중하며 놀이 법에도 전혀 변화가 없다. 아이가 아무리 비상한 기억력을 가졌다 해도 사회적인 상호관계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묻는 말을 그대로 따라하며 반복된 특이한 행동을 보인다면 즉시 소아정신과 치료를 받도록 한다.
6) 엄마가 체크하세요! 이런 행동 보이면 유사자폐 가능성 있어요.
1. 엉엉 소리 내어 울거나 환하게 웃는 등의 표정 변화가 약하다.
2. 엄마와 또렷하게 눈을 맞추지 못한다.
3. 불러도 대답을 없거나 너무 느리게 돌아보기만 한다.
4. 낯선 사람을 만나도 호기심이나 낯가림 등의 반응을 보이지 않는다.
5. 엄마와도 잘 놀려고 하지 않는다.
6. 또래 친구를 만나도 무심하다.
7. 도리도리 짝짜꿍도 잘 하지 않는 등 흉내 내는 행동이 없다.
8. 슬프다, 즐겁다 등 감정을 잘 이해할 줄 모른다.
9. 두 돌이 지나도 말을 잘 못한다.
10. 언어 이해가 떨어지고 이해가 어느 정도 돼도 무시해 버리고 반응하지 않는다.
11. 의사표현을 할 때도 말보다는 손목을 끌어서 원하는 것을 요구한다.
12. 이전에 들었던 말(광고나 선전문구 등)을 상황에 맞지 않게 사용한다.
13. 무의미한 말을 혼자 웅얼거린다.
14 의문문 형태로 말하거나(예를 들어 '밥 먹을래' 를 '밥 먹을까?'라고 표현한다) 어색하게 책을 읽는 듯이 말한다.
15. 무릎을 꿇고 앉는 등 또래에 맞지 않는 특이한 행동을 반복한다.
16. 한 가지 옷만을 입으려 하는 등 자기가 이미 해온 것만을 계속하려 든다.
17. 특정한 물건에 지나치게 집착한다.
18. 한 가지 놀이만 하고 여러 가지 놀잇감에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19. 모든 것을 일렬로 배열하거나 자동차 바퀴만 계속 돌리는 행동을 한다.
20. 손을 털거나 손바닥을 오랫동안 들여다본다.
21. 물건을 똑바로 보지 않고 옆으로 훑어본다.
22. 까치발로 걷는다.
23. 한 자리에 앉아 맴맴 돈다.
24. 끈을 마구 풀어서 흩어놓거나 돌린다.
25. 책을 읽지도 않으면서 오랫동안 계속 뒤적인다.
26. 엄마에게 무엇을 해달라고 요구하지 않는다.
27. 소꿉놀이나 역할놀이 등 상상놀이를 하지 않는다.
28. 집안 가구를 바꾸면 싫어한다.
29. 고집이 지나치게 세다.
30. 편식이 심해 새로운 음식을 먹으려 하지 않는다.
31. 만 3세가 돼도 대소변을 가리지 못한다.
32. 산만하게 왔다갔다 한다.
--------------------------------------------------------------------
★ 심리 진단표 ★
▷ 해당 문항 5개 이하
큰 문제 없이 정상 발달을 하고 있습니다. 해당 행동에 대해서만 엄마가 신경 써서 지도해 주세요.
▷ 해당 문항 6~12개
소심한 아이입니다. 칭찬을 많이 해서 자신감을 갖도록 도와주세요. 평소보다 자주 안아주고 격려해 주세요.
▷ 해당 문항 13~25개
정서가 불안한 아이입니다. 엄마의 무한한 사랑과 보호가 필요합니다. 엄마와 함께 하는 놀이시간을 평소보다 2~3시간 정도 늘려주세요.
▷ 해당 문항 26~32개
유사자폐 가능성이 있어요. 전문의 상담을 받아보세요. 심각하게 진전되지 않았다면 몇 달간 치료로 정상회복이 가능합니다.
Ⅶ. 참고문헌
장선철, 특수유아의 이해와 교육, 동문사, 2002.
이용승, 자폐증: 엄마, 아빠에게 무관심한 아이, 학지사, 2000.
윙, 로나, 자폐아동,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4.
김승국, 자폐아동 교육, 양서원, 1993.
http://sookmyung.ac.kr/~ak9355/right.html
키워드
추천자료
품행장애 자폐증 정신지체에 대하여
[장애인복지론] 말아톤을 보고 자폐증 개별모델과 사회모델 연관 작성
발달장애인(자폐증)의 정의와 고용형태 및 직업영역
[특수교육]자폐증 개론
[특수교육] 자폐증 autism 원인, 진단 및 치료
보육학개론 아동 자폐증(autism) 보고서
정신의학 상 어린이의 자폐증, 정신분열증, 우울증에 대하여
카드로 만든집 (자폐증)
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
자폐증 장애와 지적장애의 기준방법
소아기 자폐증 (Childhood Autism)
[보건] 자폐증에 관한 정의 및 자폐아와 사회와의 관계, 개입 프로그램 등
[유아발달] 유아기에 나타나는 발달장애에 대해 조사, 정리하시오. (자폐증, 주의력 결핍-과...
[정신건강론 精神健康論] 영유아기의 정신건강문제 - 영유아기의 대표적인 정신건강문제(자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