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폴(Bean Pole)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빈폴(Bean Pole)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연구의 목적

Ⅱ. 연구 방법

Ⅲ. 기업 분석
1. 연혁
2. 사업영역
3. 조직도

Ⅳ. 환경 분석
1. 의류시장 환경
2. 캐쥬얼 의류시장 환경
3. 사회문화적 환경
4. 경쟁적 환경

Ⅴ. 4P`s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Ⅵ. SWOT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Ⅶ. STP
1. 시장세분화
2. 표적시장
3. 포지셔닝

Ⅷ. 추진 전략

본문내용

다양해짐에 따라 빈폴의 주 타겟인 20~30대에서 더 확장된 10대부터 50대까지로 타켓을 조정하고 5가지로 브랜드라인을 세분화하였다. 우선 기존에 있던 빈폴을 남녀가 모두 구매할 수 있는 유니섹스 캐주얼 브랜드로 나누었고 다음에 대학생여성과 커리어 우먼을 대상으로 한 빈폴 레이디스, 최근 대중적인 스포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골프를 겨냥한 빈폴 골프, 10대 후반과 20대 초반을 겨냥해 활동적이면서도 가볍지 않은 컨셉을 지향하고 있는 빈폴 스포츠, 좀더 고급스러고 명품을 지향하는 보보족을 위한 빈폴 옴므, 가방, 신발 벨트 등의 악세서리를 전문적으로 구매 할 수 있는 빈폴 악세서리로 세분화 하였다.
3. 포지셔닝
1)제품의 속성
빈폴 스타일이라 함은 폴로를 밴치 마케팅하여 폴로 제품을 한국의 표적시장에 맞는 제품으로 승화하고 빈폴이라는 기품있고 전통을 존중하는 자연친화적인 소재를 사용하고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추구하는 것이 빈폴의 포지셔닝이다.
2)이미지 포지셔닝
빈폴이라는 상표가 고급스럽고 편안한 이미지로 최고의 품질을 추구한다는 수준에 위치하기 위한 정책을 가지고 고가격, 고품질 정책을 추구하고 있으며, 노 세일 브랜드를 고집하여 “고급상품” 이라는 브랜드 이미지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3)사용자 포지셔닝
개성을 중시하여 정장보다 캐주얼을 즐겨 입고 옷이 품격을 나타낸다는 빈폴의 명성과 디자인에 있어서 호의적인 포지셔닝을 하고 있다.
4)경쟁제품 포지셔닝
빈폴은 초기에 폴로라는 유명한 브랜드를 모방하는 것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빈폴의 브랜드 컨셉은 폴로의 것과 매우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폴로의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와 고가격정책, 라인 세분화 전략을 통한 브랜드 세분화까지 마케팅 전략이 거의 흡사하며, 가격또한 폴로와 비슷하여 별다른 차이점이 없다.
Ⅷ. 추진 전략
빈폴의 전략을 짜기 위해 의류시장의 특성을 파악한 결과 의류시장은 소비자가 주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렸고 소비자의 특성을 파악한 마케팅 전략을 시도해 보기로 하고 ‘4C\' 라는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였다. 4C란 마케팅의 패러다임의 전환으로서 생산자의 시점에서 마케팅 믹스를 하였다면 고객의 시점으로 요소를 변화 시킨 것이다. 소비자의 의사를 반영한 기법으로서 의류브랜드의 특성을 잘 반영한 기법이라고 생각하고 설문지 조사를 토대로 소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전략을 구성하였다.
우선 유명한 패션 디자이너를 영입하는 것이다. 빈폴의 특성상 고정된 이미지가 있더라도 그 안에서 충분히 아름다운 옷을 만들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폴로를 따라가는 듯한 생각이 적지 않다. 좀 더 유명한 디자이너를 영입하여 폴로와는 좀 다른 개성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둘째 소비자의 의사가 직접 참여된 상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의류시장의 특성상 소비자가 주도를 한다고 봤을 때 소비자를 제외한 상품개발은 문제점을 만들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소비자를 제품개발에 참여시켜 트랜드를 반영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의 이미지 부각 전략이다. 의류시장의 생명력은 품질보다는 브랜드가 우선이다. 품질이 아무리 좋아도 브랜드를 육성하지 않으면 성공하지 못한다. 그렇게 하려면 소비자가 브랜드를 친숙하게 그리고 잘 알 수 있게 알려야 한다. 그 방법으로 매장 수를 증설해야 하며 고급화된 on -line shop 을 개설해야한다. 또 저가의 악세사리 제품을 통한 홍보전략을 활용하여 좀더 브랜드의 친숙함을 형성해야한다.
<첨부>
표<1.1>
표<1.2>
단위: 원
빈 폴
폴 로
셔 츠
80,000 ~ 170,000
80,000 ~ 190,000
가디건
170,000 ~ 270,000
150,000 ~ 290,000
니 트
120,000 ~ 250,000
100,000 ~ 110,000
스웨터
150,000 ~ 180,000
120,000 ~ 140,000
바 지
98,000 ~ 190,000
120,000 ~ 180,000
자 켓
190,000 ~ 350,000
170,000 ~ 240,000
표<1.3>
전국
서울
경기/인천
강원
대전/충청
대구/경북
부산/경남
광주/호남
제주
빈폴
83
23
13
3
7
12
12
9
1
빈폴진
10
4
3
2
1
빈폴옴므
6
3
1
1
1
빈폴골프
19
8
5
2
2
1
1
빈폴레이디스
40
14
9
3
5
5
4
빈폴 kids
14
6
2
3
3
빈폴 악세사리
55
36
16
3
빈폴 maternity
1
1

228
95
49
6
14
20
22
18
1
그림<1.1>

키워드

빈폴,   폴로,   polo,   bean pole,   ,   의류,   stp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2.11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7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