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나프로이드의 방어기제와 꿈의 분석과 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안나프로이드의 방어기제와 꿈의 분석과 해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안
2) 자아방어기제

2. 안나프로이드이 10가지 방어기제

3. 방어기제의 위계서열
< 방어기제의 종류(안나 프로이드가 언급하지않은 것도 포함한) >
<꿈의 분석과 해석>
♣ 꿈의 내용
꿈작업에 사용되는 인자들

본문내용

는 그날 있었던 일 day residue로서, 마음 한 구석에 남아 있던 생각, 감정이 꿈의 근원이 되기도 한다.
이런 네가지 근원중 첫번째 것을 꼭 포함한 어느 한 두개가 또는 전부가 복합적으로 작용해 꿈꾸는 당자의 마음 속에 소용돌이 치는 것이 바로 잠재몽내용물이다. 꿈은 자아가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고, 소원성취의 대리적, 공상적 충족을 준다.
G부인이 꿈을 꾸었다. 털이 빠지고 흉한 늙은 개를 몽둥이로 두둘겨 패는 꿈이었다. 두려우면서도 힘껏 때려 주었다. 개를 마당 밖으로 쫓으려 했다. 달아나던 개가 대문을 나서면서 G부인을 돌아보았다. G부인은 소스라치게 놀라 잠이 깨었다. 개의 얼굴이 시어머니였던 것이다. G부인은 지독한 시집살이를 하고 있었다.
G부인의 꿈은 꿈에 대한 몇가지 지식을 가르쳐 준다. 첫째로 꿈은 억눌린 욕구의 충족을 준다는 것이다. 시어머니를 때려주고 싶은 욕구는 죄악감을 주기 때문에 억압되고 만다. 그러나 억압된 분노나 욕구는 무의식 속에서 인간을 괴롭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지 이를 방출시켜 버리려고 시도한다. 꿈속에서 G부인은 시어머니를 늙은 개로 바꾸어서 등장시킨다. 늙은 개를 때려주는 것은 도덕적으로 아무런 고통을 주지 않기 때문에, G부인은 분노의 방출이 가능하게 되었다. 지형학적으로 볼 때 발현몽은 의식에서 각색은 전의식에서 기타의 꿈작업과 잠재몽은 무의식에서 일어난다.
꿈작업에 사용되는 인자들
1.Translation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잠재몽내용을 언어로 바꾸는 작업
2.응축Condensation 잠재몽내용의 여러 요소들을 하나의 소원충족의 환상 wish-fulfilling fantasy으로 묶는 작업으로서 이것이 번역을 뒤따라야 한다. 즉 꿈에서 나오는 어떤 하나의 상은 실제는 여러 개의 잠재내용을 대변하는 것이다.
3.자아의 방어기제로 전치Displacement 투사Projection 상징화
Symbolization이다. 이들 방어기제는 잠재몽내용이 적나라하게 그대로 밀고 나오려는 힘에 반대하는 역할을 맡아 나오기는 하지만 받아들일만한 내용으로 바꿔지는 타협형성compromise formation을 낳게 한다.
4. 이차가공또는 각색secondary elabolation: 발현몽을 논리적으로 그럴듯하게 보이려고 애쓰는 자아 일부의 노력을 말함. 즉 시각적 영상으로 나타내 주고 소리까지 들리는 것으로도 해주며 어떤 느낌마저 더불어 붙어주는 일을 말하는데, 이를테면 \'수염난 사람이 내게 길을 물어 보는데 어쩐지 내 친구집으로 가려는 것 같았다\'는 꿈의 경우이다.
상징화 Symbolization :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기 위하여 구체적인 상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함. 꿈에 나오는 어떤 것은 대다수의 경우 그 실은 다른 특정한 무엇을 상징한다고 보는 견해 -이러한 상질물을 보편적 상징물 universal symbols이라한다.
꿈언어 - 복잡한 생각을 전달해 줄 수 있는 교묘하고 창조적인 비추상적 매체. 시각적 은유와 구어적인 은유 그리고 발음은 같으면서 뜻이 다른 말장난등도 이러한 꿈언어의 일부이다.
예:
고층건물, 뱀, 칼 같은 길고 뾰족한 것 - 남자의 성기를 상징한다 하여
남성상징phallic symbol
구멍, 숲, 지갑 - 여성성기를 상징.
어머니 - 간호원, 배, 대양, 백화점.
아버지 - 두목, 폭군, 왕, 신, 사자.
성교의 상징 - 주먹싸움, 춤, 놀이, 율동적인 운동.
거세의 상징 - 상실, 상처, 부재, 절단.
출산 - 물에서 나오는 것.
자궁 - 동굴.
꿈을 해석하는 데 있어서는 이런 보편적 상징보다도 환자가 그것에 대해 펼치는 자유연상을 토대로 하는 것이 더 중요하고 정확한 것으로 되어있다.
극화 Dramtization:
현실의 과장을 말함. \"불합리화\" 또는 \"풍자화\"라고 불림
예: 한 여인이 성기가 너무 길어서 조롱감이 된 어떤 남자에 대한 꿈을 꾸었는데 이는 남성을 너무나 중요시하는 그녀의 관점을 유머로서 극화해 주고 있다..
유머란 신경증적인 행동을 효과적으로 다루는 방법도 되고 꿈꾼 사람으로 하여금 자기들의 행동에 대해 통찰력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 주기도 한다.
숫자화;
꿈에 나타난 숫자를 지칭하기 위해서 해티 로젠탈(1980)박사가 만들어 낸 용어.숫자가 꿈의 메시지를 푸는 열쇠구실을 하지 않는다고 해도 귀중한 정보의 원천으로 밝혀질 수 있다. 꿈에 숫자가 활용되는 것은 어쩌다가 그냥 생기는 일이 아니라 대개는 꿈에 나오는 대상의 특징을 나타내 보이려고 하는 것이다.
압축 및 팽창
압축: 여러 요소들을 억지로 하나가 되게 하는 꿈 기제 - 직장동료 한 명으로 모든 직장동료 표현. 여러 아이디어들을 꿈에 나타나게 하는 경제적인 방법.
팽창: 한가지 문제가 산만하고 종잡을 수 없고 자꾸 반복되는 방식에 따라 몇 가지 차원으로 확산되는 것이다.
역할전도
꿈꿈 사람이 다른 사람에 대하여 품고 있는 감정과 행위의 투사이다. 아주 흔히 볼수 있는 방어기제며 환자에게 그러한 감정이 있다는 사실을 그 자신이 알고 싶지 않을 때이다.
예:자신이 술 문제를 갖고 있으면서 부정을 해온 환자가 가까운 친구가 알콜중독자가 된 꿈.
이화(Dessimilation):로젠탈 박사가 추가한 기제. 꿈꾸는 사람이 용납할 수 없는 자신의 감정으로부터 어느 정도 거리를 두어보려고 사용하는 기제. 꿈꾸는 사람 자신이나 그 사람의 인생에 있어 어떤 역할을 하는 다른 사람들을 변장시키는 술책. \" 그 사람이 누군지 알 수 없으나 제가 알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또는 그 사람은 낯이 익다\" - 이러한 인물들은 꿈꾼 사람들 자신이거나 치료자가 변장되어 나타난 사람들이다.
변형
융합 둘 또는 그 이상의 인물이 녹아서 하나로 되는 것. - 한 인물이 서로 상반되는 몇 가지 특징을 한꺼번에 지닐 수 있다.
변형: 융합과 비슷해서 꿈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서 어떤 이미지가 변하는 것을 말한다. 병아리로 변하는 갓난 아이들.
생략:
어떤 자료를 꿈이야기 속에 넣지 않고 빼놓는 기제이다. 치료자는 꿈 이야기 중에서 빼먹거나 잃어버린 부분에 신경을 써야 한다. 빠진 부분이 흔히 그 꿈의 초점으로 활용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2.12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0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