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정치의 효용성과 가치
Ⅱ. 정부(또는 국가)라는 조직의 필요성
Ⅲ. 지배의 정통성과 정당성의 기준
Ⅱ. 정부(또는 국가)라는 조직의 필요성
Ⅲ. 지배의 정통성과 정당성의 기준
본문내용
며 이런 정부의 정통성은 그 개인들의 동의로부터 나온다. 그렇다면 이러한 내용들에 비추어 봤을 때 오늘날 우리나라 정치의 문제점은 무엇이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떤 것일까? 가장 큰 문제는 (물론 모든 국민들이 그렇다는 얘기는 아니다) 정치에 대한 관습화된 불신과 무관심이라 하겠다. 이것이 부패한 정치에 대한 지식인들의 소위 학자적 무관심이든 단지 사회분위기와 여론에 휩쓸린 것이든 간에 정치에 대한 무조건적 혐오와 무관심은 위험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정치가 우리 개인의 삶과 사회를 유지하는데 있어서 어쩔 수 없이 꼭 필요한 것이라면 그러한 정치의 문제점을 해결해갈 수 있는 아무런 대안이 없는 포기의 무관심은 자칫 우리 정치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제는 무관심에서 깨어나 주체적인 의식을 가지고 우리의 권리를 찾아야 할 때이다. 또한 정치인과 그들의 지지 세력들도 정치란 그들의 개인적인 권력욕을 충족시켜주는 수단이라는 의식에서 탈피하여야 하고, 정치인과 정부 모두 국민의 의견을 더욱 수렴하고 동의를 얻어내 정통성을 이어나가야 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이 조금씩 이루어져 간다면 우리나라의 정치는 참 민주정치로 나아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추천자료
[사회과학] 정치문화와 한국정치
한국 행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태국의 불교와 정치
일제잔재청산의 문제에 대한 법적 고찰
용비어천가의 문제점 고찰
[M&A][기업인수합병]M&A(기업인수합병) 정의, 유형, 절차와 M&A(기업인수합병) ...
관료제 주의의 문제점 - 관료제의 역기능
[사회복지] 사회복지 행정의 이론 (관료제 이론)
갈등주의의 등장-마르크스와 짐멜의 이론적 명제 및 사상
한국 관료제의 특징 및 역사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조사분석
[사회과학] 관료제주의의 특성과 문제점
21세기 현대사회 관료조직의 성격과 방향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조직에서 관료제와 관련된 논쟁은 무엇이며 관료제를 사회복지조직에 적용할
관료제 이론의 특성과 시사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