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마르크스주의 이론
1. 마르크스주의 비평(사회․문화 비평)
2. 마르크스주의 비평이론 형성
Ⅱ.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
1.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의와 배경
2.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이념
3. 비판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Ⅲ. 루카치와 브레히트
1. 게오르그 루카치[Lukcs Gyrgy;1885.4.13~1971.6.4]
2. 브레히트[Bertolt Brecht 1898∼1956]
Ⅳ. 프랑크푸르트 학파 : 아도르노와 벤야민
1. 프랑크푸르트 학파
2. 아도르노
3. 벤야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1. 마르크스주의 비평(사회․문화 비평)
2. 마르크스주의 비평이론 형성
Ⅱ.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
1.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정의와 배경
2.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이념
3. 비판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Ⅲ. 루카치와 브레히트
1. 게오르그 루카치[Lukcs Gyrgy;1885.4.13~1971.6.4]
2. 브레히트[Bertolt Brecht 1898∼1956]
Ⅳ. 프랑크푸르트 학파 : 아도르노와 벤야민
1. 프랑크푸르트 학파
2. 아도르노
3. 벤야민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 손상을 입는 것은 작품의 진품성, 즉 일회적 현존성인데, 결국 사물의 권위가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2) 예술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
예술작품이 복제 가능해짐에 따라 예술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가 '회화를 대하던 보수적 태도에서 영화를 대하는 태도'로 변화하였다. 영화에서는 관중의 비판적 태도와 감상적 태도가 일치한다. (진보적 반응) 영화의 관객은 이전 회화 감상자처럼 위계질서적 매개를 통해 개별적으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집단 수용의 형태로 감상하기에 그 반응이 다르다.
3) 촉각적 수용과 시각적 수용
대중은, 예술작품을 대하는 일체의 전통적 태도가 새로운 모습을 하고 다시 태어나는 모태이다. (회화와 같은 기존의) 예술은 정신집중을 요구하는데 대중은 오락으로서 정신 산만을 추구한다는 개탄이 있다. 정신이 산만한 대중은 예술작품 속으로 빠져들기보다는 예술작품이 자신들 속으로 빠져들어 오기를 바라고, 예술은 대중을 동원할 수 있는 바로 그곳에서 예술의 가장 어렵고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
(3) 철학을 바라보는 벤야민의 관점
17세기 독일 바로크 비극을 분석한 극히 추상적인 논문『독일 비극의 기원』과 아방가르드적이며 마르크스주의에 헌신한 에세이집 『일방통행로』를 완성하면서 벤야민은 양가적 입장에 선다. 두 저서의 주제가 서로 상충하는 듯 보였던 것이다. 영원한 이념인 형이상학을 재현한 전자와 시간의 불가역성 및 그에 따른 부패의 결과를 논한 후자 사이에서 그는 형이상학적 탐구와 역사적 탐구의 방법론적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역사철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구체적일 수 있는가’를 시험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고 말한다.
벤야민은 역사는 현실을 기만적으로 변형하는 자체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역사 속에 남은 문화적 내용물은 ‘현재’라는 개념의 무매개성을 파괴하고, ‘현재’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비판적 지식의 유일한 원천이라 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벤야민은 특유의 미시 관찰법을 개발한다. 그는 남겨진 사료들을 통해 19세기 사회문화 유형의 일반적 성격을 추정하고, 더 나아가 마르크스가 정의한 물신성에 대한 독창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런 의미에서 극도의 구체적인 사료에 의지한 유물론적 역사철학인 동시에, 생산 영역에만 집중했던 마르크스가 추방해버린 사물과 인간의 관계 사이의 마술적 환각을 되살린 비판적 마르크스 분석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살펴 본 마르크스주의(사회주의) 비평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① 근본적 원리는 문학의 사회성 내지 내용성에 근거하여 문학을 해석평가하고 하는데 있다는 점이다. 즉 문학 내적인 방법이라기보다는 문학 외적인 접근 방법을 그 특질로 하고 있다.
② 문학사회학의 가능성은 루카치를 거쳐 골드만에 와서 정립되는 ‘구조 사회학’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구조사회학은 ‘상동성’, ‘세계관’등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개념으로써 문학을 분석하고자 한다.
③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평가들은 산업사회 속에 놓인 현대 예술성격에 주목, 그 비판적 기능과 창조성을 탐구하였다.
④ 사회주의권 내의 비평은 마르크스의 유물론적인 문학예술관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⑤ 사회주의 비평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생각해 볼 때, 사회학적인 문학 연구나 비평적 관점의 근본은 그 사회성이라는 것을 작품의 표면적인 내용으로 환원하는 방법에 있다.
이념적 차원이 강조된 사회주의 비평의 경우, 그 내용중심주의는 당성과 인민성, 계급성이라는 문학 외적 강제사항에 종속됨으로써, 비평의 본질에서 멀어지고 있다.
특히 사회주의 비평의 반성점은 무엇보다도 그 지나친 정치성에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사실 현대 문학이론의 역사가 우리 시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역사의 일부분이라고 지적한 T. 이글턴도 ‘참으로 반대할 것은 문학이론이 가진 정치성의 내용’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자신이 신마르크스 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이론이란 것은 그 자체로서 지적인 탐구의 시각’이라는 견해를 지닌 이글턴마저 맹목적인 마르크스주의 성향을 비판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문제는 문학예술의 독립성과 온전한 사회성에 직결되는 기본 물음에도 상관되고 있다.
문학과 사회는 무척 가까운 관련이 있으나, 그 관계는 사회학과 사회의 관계처럼 그렇게 명확하게 직접적인 것은 아니다. 문학은 사회학처럼 사회를 직접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문학은 사회의 양상이 작가의 내부로 들어와 언어로 표출된 것이란 점에서 사회학적 비평가는 일차적으로 문학작품과 사회, 정치, 경제 등과의 관련성에 유의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윤리, 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빼놓지 않고 유의해야 한다.
Ⅵ. 참고문헌
김치수 외. 「현대문학비평의 방법론」. 서울 : 서울대 출판부, 1983.
김 현. 「문학사회학」. 서울 : 민음사, 1987.
나병철. 「문학의 이해」. 서울 : 문예출판사, 1994.
박철희김시태 엮음. 「문예비평론」. 서울 : 문예비평사, 1988.
반성완 역.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울 : 심설당, 1989.
오세영. 「문학연구방법론」. 서울 : 이우출판사, 1988.
유진 런 저 ;금병익 역. 「마르크시즘과 모더니즘:루카치와 브레히트, 벤야민과 아도르 노」.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86.
이명제.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집문당, 1997.
이상우이기한. 「문학비평의 이해」. 서울 : 집문당, 1995.
이원양 저. 「브레히트 연구」. 서울 : 두레, 1984.
이주영 옮김. 「루카치 미학」1권. 서울 : 미술문화, 2000.
전정구김영민 옮김 「문학이론연구」서울 : 새문사, 1989.
차봉희 편저. 「루카치의 변증-유물론적 문학이론」. 서울 : 한마당, 1987.
D. 맥렐런 저; 안택원 옮김. 「마르크스주의 논쟁사」부천 : 인간사랑, 1986
골드만, 조경숙 역.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서울 : 청하, 1986.
미셸 제라파, 이동렬 역. 「소설과 사회」.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77.
피터 워슬리 지음; 진덕규 옮김.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 학문과 사상사, 1983.
2) 예술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
예술작품이 복제 가능해짐에 따라 예술을 대하는 대중의 태도가 '회화를 대하던 보수적 태도에서 영화를 대하는 태도'로 변화하였다. 영화에서는 관중의 비판적 태도와 감상적 태도가 일치한다. (진보적 반응) 영화의 관객은 이전 회화 감상자처럼 위계질서적 매개를 통해 개별적으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적인 집단 수용의 형태로 감상하기에 그 반응이 다르다.
3) 촉각적 수용과 시각적 수용
대중은, 예술작품을 대하는 일체의 전통적 태도가 새로운 모습을 하고 다시 태어나는 모태이다. (회화와 같은 기존의) 예술은 정신집중을 요구하는데 대중은 오락으로서 정신 산만을 추구한다는 개탄이 있다. 정신이 산만한 대중은 예술작품 속으로 빠져들기보다는 예술작품이 자신들 속으로 빠져들어 오기를 바라고, 예술은 대중을 동원할 수 있는 바로 그곳에서 예술의 가장 어렵고 중요한 과제를 해결하려 노력하고 있다.
(3) 철학을 바라보는 벤야민의 관점
17세기 독일 바로크 비극을 분석한 극히 추상적인 논문『독일 비극의 기원』과 아방가르드적이며 마르크스주의에 헌신한 에세이집 『일방통행로』를 완성하면서 벤야민은 양가적 입장에 선다. 두 저서의 주제가 서로 상충하는 듯 보였던 것이다. 영원한 이념인 형이상학을 재현한 전자와 시간의 불가역성 및 그에 따른 부패의 결과를 논한 후자 사이에서 그는 형이상학적 탐구와 역사적 탐구의 방법론적 관계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역사철학이라는 것이 얼마나 구체적일 수 있는가’를 시험하고자 하는 마음이 생겼다고 말한다.
벤야민은 역사는 현실을 기만적으로 변형하는 자체 구조를 지니고 있지만, 역사 속에 남은 문화적 내용물은 ‘현재’라는 개념의 무매개성을 파괴하고, ‘현재’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는 비판적 지식의 유일한 원천이라 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벤야민은 특유의 미시 관찰법을 개발한다. 그는 남겨진 사료들을 통해 19세기 사회문화 유형의 일반적 성격을 추정하고, 더 나아가 마르크스가 정의한 물신성에 대한 독창적 분석을 시도한다. 그런 의미에서 극도의 구체적인 사료에 의지한 유물론적 역사철학인 동시에, 생산 영역에만 집중했던 마르크스가 추방해버린 사물과 인간의 관계 사이의 마술적 환각을 되살린 비판적 마르크스 분석이다.
Ⅴ. 결론
지금까지 살펴 본 마르크스주의(사회주의) 비평의 주요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① 근본적 원리는 문학의 사회성 내지 내용성에 근거하여 문학을 해석평가하고 하는데 있다는 점이다. 즉 문학 내적인 방법이라기보다는 문학 외적인 접근 방법을 그 특질로 하고 있다.
② 문학사회학의 가능성은 루카치를 거쳐 골드만에 와서 정립되는 ‘구조 사회학’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 구조사회학은 ‘상동성’, ‘세계관’등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개념으로써 문학을 분석하고자 한다.
③ 프랑크푸르트학파의 비평가들은 산업사회 속에 놓인 현대 예술성격에 주목, 그 비판적 기능과 창조성을 탐구하였다.
④ 사회주의권 내의 비평은 마르크스의 유물론적인 문학예술관을 출발점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⑤ 사회주의 비평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의하여 특징지어진다.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생각해 볼 때, 사회학적인 문학 연구나 비평적 관점의 근본은 그 사회성이라는 것을 작품의 표면적인 내용으로 환원하는 방법에 있다.
이념적 차원이 강조된 사회주의 비평의 경우, 그 내용중심주의는 당성과 인민성, 계급성이라는 문학 외적 강제사항에 종속됨으로써, 비평의 본질에서 멀어지고 있다.
특히 사회주의 비평의 반성점은 무엇보다도 그 지나친 정치성에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사실 현대 문학이론의 역사가 우리 시대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역사의 일부분이라고 지적한 T. 이글턴도 ‘참으로 반대할 것은 문학이론이 가진 정치성의 내용’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 자신이 신마르크스 주의자임에도 불구하고 ‘문학이론이란 것은 그 자체로서 지적인 탐구의 시각’이라는 견해를 지닌 이글턴마저 맹목적인 마르크스주의 성향을 비판하고 있는 셈이다. 이런 문제는 문학예술의 독립성과 온전한 사회성에 직결되는 기본 물음에도 상관되고 있다.
문학과 사회는 무척 가까운 관련이 있으나, 그 관계는 사회학과 사회의 관계처럼 그렇게 명확하게 직접적인 것은 아니다. 문학은 사회학처럼 사회를 직접적인 학문의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문학은 사회의 양상이 작가의 내부로 들어와 언어로 표출된 것이란 점에서 사회학적 비평가는 일차적으로 문학작품과 사회, 정치, 경제 등과의 관련성에 유의하지만, 넓은 의미에서 윤리, 문화와의 관련성에 대해서도 빼놓지 않고 유의해야 한다.
Ⅵ. 참고문헌
김치수 외. 「현대문학비평의 방법론」. 서울 : 서울대 출판부, 1983.
김 현. 「문학사회학」. 서울 : 민음사, 1987.
나병철. 「문학의 이해」. 서울 : 문예출판사, 1994.
박철희김시태 엮음. 「문예비평론」. 서울 : 문예비평사, 1988.
반성완 역. 「루카치 소설의 이론」. 서울 : 심설당, 1989.
오세영. 「문학연구방법론」. 서울 : 이우출판사, 1988.
유진 런 저 ;금병익 역. 「마르크시즘과 모더니즘:루카치와 브레히트, 벤야민과 아도르 노」.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86.
이명제.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집문당, 1997.
이상우이기한. 「문학비평의 이해」. 서울 : 집문당, 1995.
이원양 저. 「브레히트 연구」. 서울 : 두레, 1984.
이주영 옮김. 「루카치 미학」1권. 서울 : 미술문화, 2000.
전정구김영민 옮김 「문학이론연구」서울 : 새문사, 1989.
차봉희 편저. 「루카치의 변증-유물론적 문학이론」. 서울 : 한마당, 1987.
D. 맥렐런 저; 안택원 옮김. 「마르크스주의 논쟁사」부천 : 인간사랑, 1986
골드만, 조경숙 역. 「소설사회학을 위하여」. 서울 : 청하, 1986.
미셸 제라파, 이동렬 역. 「소설과 사회」. 서울 : 문학과 지성사, 1977.
피터 워슬리 지음; 진덕규 옮김. 「마르크스와 마르크스주의」. 서울 : 학문과 사상사, 1983.
추천자료
문학 비평과 영화 (영미 문학비평)
페미니스트 비평과 텔레비전 미디어의 비평
소련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붕괴에 대한 요인 분석
[우수평가자료]국가론에 관한 조사(마르크스,엥겔스,레닌등)
칼 맑스 전기(칼 마르크스 전기)
[중국 공산당]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구조, 중국공산당(중국공산주의)의 특성, 중국공산...
[사회학 비판] 평등과 분배 - 칼 마르크스(맑스)의 평등사상
게오르크루카치,마르크스주의,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
교육사회 -갈등론은 무엇인가? (갈등론,마르크스와베버,갈등론자,강등론의한계와의의).PPT자료
서양사상(서양철학)의 개요,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피스트, 서양사상(서양철학)과 소크라테...
시민사회운동의 정의, 의의, 시민사회운동의 마르크시즘(마르크스주의, 맑스주의), 지구촌나...
[사회학개론] 최근 1년간 벌어진 사회현상(뉴스, 논쟁거리 등) 가운데 하나를 고르고 그 사...
니코스 풀란차스 (신마르크스주의, 풀란차스의 관점).ppt
[교육사회학] 마르크스적 재생산 이론에 대해서 조사하여 보고 우리나라 교육현실과의 관계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