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소주 참이슬의 해외진출 완벽 분석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로소주 참이슬의 해외진출 완벽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진로소주의 선정이유

2. 진로소주 기업소개 및 위기

3. 일본의 진로소주

4. 중국의 진로소주

5.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결 론

본문내용

상 증가한 것과 같이 진로소주는 일본시장에서 장동건을 출연시켜 '한국의 대표적인소주' 로 광고한 결과 수도권 인지도
30%를 상회하였다. 일본재팬의 홈페이지 문구를 보면
다음과 같다.‘일본에서 가장 좋아하는 한국배우의
이름은 알면서 한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소주의 이름은
아십니까?’
예2) 한류열풍에 中國서 소주 불티
중국을 상대로 한 소주 수출이 활기를 띠고 있다. 반면 최대 수출시장인 일본에서는 소주의 인기가 주춤하고 있다.2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올해 1~4월 국내 소주업체의 중국 수출실적은 87만6천7백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37만1천8백80달러)에 비해 136% 증가했다. 수출 물량은 지난해 246㎘에서 558㎘로 127% 늘었다.
업체별로는 진로가 1~4월 77만6천6백46달러어치를 팔아 지난해 동기(33만8천3백80달러) 대비 130% 늘어났다. 진로는 2003년 베이징에 현지 지사를 설립한 뒤 상하이, 동북 3성(헤이룽장·지린·랴오닝성) 등으로 판매망을 확대하고 있다.
‘산소주’를 생산하는 두산도 올들어 4월까지 중국에 8만1천달러어치를 수출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1만8천8백달러)에 비해 무려 331%가 늘어난 것이다. 두산 신동규 부장은 “한류 열풍으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장기적으로 중국시장 전망이 밝다”고 말했다.
그러나 국내 소주업체의 1~4월 일본 수출실적은 3천1백49만3천3백28달러로 지난해 동기(3천4백35만7천6백65달러)대비 8% 감소했다
결 론
진로소주의 시작은 원숭이였다. 원숭이의 이미지가 시장에서 먹히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 진로는 전략을 두꺼비로 바꾸게 된다. 이러한 처세술로 진로소주는 50여년간 시장을 장악해 오게 된다. 진로가 이런 발빠른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왔기에 그 노하우는 정말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국내시장에서 통하지 않는 전략을 고수하기보다 그 흐름을 읽고 새로운 전략을 선보이며 지금의 진로에 이르기 까지 그 한 박자 빠른 마케팅전략은 결국 해외시장에서도 노력하는 자가 성공한다는 간단하면서도 정말 중요한 교훈을 일깨워 주고 있다. 국내시장을 장악하는 것도 어렵지만 다른 나라를 파고드는 것은 더욱 더 어려운 것이고 새로운 시장을 공략하는 것은 이런 방식도 있다는 것이 우리가 진로의 사례를 통해서 배운 하나의 교훈이다.
대학 새내기 때부터 시작된 참이슬과의 인연으로 술 하면 참이슬이라는 이미지가 먼저 떠오르게 되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그렇지만 이번 발표를 준비하면서 알게 된 사실 중에는 일본에서는 진로가 고급스런 술의 이미지를 갖고 있다는 것이고 이러한 사실에 우리는 더욱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우리에게 참이슬이란 가격부담을 느낄 수 없는 저렴한 술이라는 이미지로 널리 인식되어 있기 때문이다. 우리에게 불과 몇 백원에 불과한 소주가 해외에서는 이처럼 큰 호응을 얻고 있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 수가 없다. 이런 인식의 차이를 확실히 성립한 진로의 마케팅전략에 대해서 조사하면서 한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가는 조사 내내 우리 팀원들의 머릿속에 서서히 스며들게 된 사실이다.
또한, 일본에 있을 때, 일본친구들과 진로 소주 광고를 따라하면서 인사를 할 정도로 진로는 일본에서는 이미 모두 알고 있는 브랜드였다는 사실은 외국에서 더 인기 있는 진로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한 차원 더 높여주는 계기가 되었다. 어느 술집이라도 진로는 우리나라에서의 양주처럼 키핑이 가능하고, 가격이 싼 술집에서라도 진로는 키핑이 가능할 정도의 술 이였다는 것이 실제의 사례이다. 이처럼 일본에서 고가인 것이 단지 일본 현지 사정에 맞춰서 다른 술과 비슷한 가격에 약간 수입품이라는 프리미엄으로 인해서 고가라고 생각했는데 이번 기회를 통해서 그것이 하나의 마케팅 전략 이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까지 체계적으로 많은 노력을 기울인 결과가 바로 일본에서의 진로소주라는 점은 대단하다는 말 외에는 다른 말로 설명이 불가능하다. 세계 증류수시장에서 5년 연속 판매량 1위를 차지하였다는 것도 실로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소주 하면 그냥 저렴한 우리나라의 싼 술 인줄만 알고 있었는데 입맛이 까다로운 일본인과 나라만큼 역사가 깊은 중국의 술 사이에서 진로소주가 성공을 한 것을 보면 제품의 품질과 마케팅 전략의 조화가 큰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은 국제마케팅의 키포인트라는 사실을 다시 한번 입증한 것이다.
더불어 마케팅의 전략들은 당연히 습득되어져야 만이 비로소 국제마케팅으로 확대가 가능하다는 것도 이번 사례를 통해 알게 된 것들이다. 진로소주의 일본 진출 성공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해외에 진출 시에 어떠한 점을 고려하여야 하는가가 명백하게 제시된 셈이다.
지금까지는 '참이슬' 이기 때문에 아무 생각 없이 마셨지만 이번 발표 조사를 통해 진로소주라는 기업에 대해서 전문가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었고, 국제마케팅의 전략이나 4p mix, 시장세분화 등 가장 가까운 나라인 일본시장 진출에 대해 타 기업을 응용할 수 있는 능력도 필요하다. 일본, 중국뿐만 아니라 보드카의 나라 러시아, 미국 등 많은 나라에도 진출하여 많이 알려졌으면 하는 희망을 가지며 이번 발표를 마친다.
참고자료 출처
▶ (주)진로 홈페이지 http://www.jinro.co.kr
▶ (주) 두산 홈페이지 http://www.doosan.com
▶ 대한주류공업협회 http://www.kalia.or.kr
▶ 대한주조사협회 http://cocktail.or.kr
▶ 매일경제신문 http://www.mk.co.kr
▶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 ABC방송 http://abc.go.com/
▶ 삼성경제연구소 http://www.seri.org/
▶ 스카이 벤처 http://www.skyventure.co.kr/
▶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http://www.kotra.or.kr/
▶ 진로소주의 일본시장 마케팅전략 및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양광호. 2002
- 목 차 -
1. 진로소주의 선정이유
2. 진로소주 기업소개 및 위기
3. 일본의 진로소주
4. 중국의 진로소주
5. 한류의 경제적 파급효과
결 론

키워드

진로,   참이슬,   소주,   일본,   중국,   처음처럼,   진출,   두산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7.02.16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1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