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opiate 수용체의 분류
2.Opiate 수용체의 분자구조적 특징
3.Opiate 수용체의 기능적 특징
4.각 수용체에 작용하는 효현제, 길항제의 2차원 구조
2.Opiate 수용체의 분자구조적 특징
3.Opiate 수용체의 기능적 특징
4.각 수용체에 작용하는 효현제, 길항제의 2차원 구조
본문내용
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특히 중요한 오피오이드 결합부위는 통증을 조절하는 하향경로 즉, 문측, 복측연수, 청반 그리고 중뇌의 수관 주변 흑질부에 존재하는 것이다. 이부위에서 오피오이드는 다른 부위에서와 같이 신경을 직접 억제하는 반면, 척수에 돌기를 내어 통각전달을 억제하는 신경은 활성화시킨다. 이런 활성은 여러 부위에서의 억제성 뉴론의 억제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오피오이드 진통제를 전신적으로 투여하였을 때 내인성 아편계 펩타이드를 포함한 뇌신경 회로에 작용한다.
외인성 오피오이드에 의한 진통작용은 부분적으로 내인성 아편계 펩타이드의 유리와 관계된다. 외인성 오피오이드 효현제는 주로 μ수용체에 직접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내인성 오피오이드의 유리를 자극하여 δ와 κ수용체에 부차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수용체에 선택적인 리간드라 할지라도 여러개의 시냅스와 전달물질이 개재되는 복잡한 일련의 과정이 생길수 있다.
4.각 수용체에 작용하는 효현제, 길항제의 2차원 구조
자료출처
Katzung's Clinical Pharmacology 7th edition
http://www.dongduk.ac.kr/~hyungsoo/임상약물.html
외인성 오피오이드에 의한 진통작용은 부분적으로 내인성 아편계 펩타이드의 유리와 관계된다. 외인성 오피오이드 효현제는 주로 μ수용체에 직접 작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내인성 오피오이드의 유리를 자극하여 δ와 κ수용체에 부차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수용체에 선택적인 리간드라 할지라도 여러개의 시냅스와 전달물질이 개재되는 복잡한 일련의 과정이 생길수 있다.
4.각 수용체에 작용하는 효현제, 길항제의 2차원 구조
자료출처
Katzung's Clinical Pharmacology 7th edition
http://www.dongduk.ac.kr/~hyungsoo/임상약물.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