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류(韓流)열풍 중심에 일본중년의 여성이 있다’
-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 들어가며
□ 국가별 현황
□ 최근 한일간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 장르별 현황
□ 해외진출 대표적 사례
□ 참고자료
- ‘겨울연가’를 중심으로-
- 들어가며
□ 국가별 현황
□ 최근 한일간 방송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 장르별 현황
□ 해외진출 대표적 사례
□ 참고자료
본문내용
국은 과격하다고 생각했다한다. 부드러운 느낌은 ‘겨울연가’ 전에 느끼지 못한 한국의 이미지인 것이다.
일본의 여성들은 ‘겨울연가’를 보면서 이것이 드라마인가? 정말 일본인이 잊어버리고 마음속에 순수하게 들어오는 각본인 셈이다. 영화에서나 느끼는 기분을 드라마에서 느끼고 있는 것이다.
어떤 주부들은 자살까지도 정신분열증을 가지고 있었으나, 배용준을 만난이유론 어두운 터널에서 작은 빛으로 인도해준 사람이라 했다. 이렇듯 한국드라마로 인해 일본주부들에게 스트레스 해소를 해주는 만병통치약이 된 셈이다.
드라마를 보는 내내 일본인들은 윗사람에 대한 사고방식, 친구나 선배에 대한 사고방식 등 위 아래가 확실하게 정립돼 있는 느낌을 받았다 한다.
한국의 한 드라마가 일본의 주부들로 시작해 하나하나 각자인 질서가 흐트러진 일본가정에까지 가족애로 똘똘 뭉치게 하는 힘이 되었다.
일본인들에게 없는 눈물을 자아내고, 엄마와 딸 사이에 세대 차이를 좁혀주고, 드라마를 보면서는 잠시지만 서로 부모와 자식사이가 아닌 여자로써 눈물 흘리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겨울연가’ 파장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 할 정도로 크다 할 수 있다. 한국의 드라마 한편이 일본에선 히트상품 2위에 오르기도 했고, 배용준에게 극존칭 인 “욘사마”로 불리워지고, 아프고 병든 이들에게 작은 용기를 주었다는 점에서 ‘겨울연가’의 파장은 우리가 상상 그이상이라 하겠다. 그 중심엔 중년의 여성들이 있었다.
‘겨울연가’가 한 역할은 지금까지의 몇십 년 동안 국교 정상화에 노력해온 것에 비하면 정말 드라마 한편으로 일본과 한국사이의 거리를 가뿐히 뛰어 넘어버렸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한국을 알고 싶어 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들은 더욱더 많아질 것이다.
□ 해외진출 대표적 사례
프로그램명
제 작 사
사 례
겨울연가
(드라마)
KBS
(판매사 :
KBS 미디어)
ㅇ2003년에 이어 2004년에도 미얀마, 인도네시아, 필리핀, 가나, 이집트, 미국 및 유럽 등에 수출되었고, 일본 지상파 TV인 NHK를 통해 방영됨으로서 (4월) 일본내 한류의 붐을 일으킴
ㅇDVD 로열티 수입 및 출판, 캐릭터 등 부가사업 확대
ㅇ일본내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고 재일동포의 위치를 격상시키고 한국어 교육 붐도 일으켜 일본내 한국문화의 큰 바람을 일으켰으며 국내 관광산업에도 크게 기여
대장금
(드라마)
MBC
(판매사 :
MBC프로덕션)
ㅇ일본, 중국, 대만, 태국, 홍콩, 싱가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8개국에 2,300천불 수출실적 기록
ㅇ‘04년도 대만에서 방영된 모든 한국 프로그램 중 최고 시청률 기록
ㅇ‘05년 일본(NHK 방송) 등 각국에서 ’대장금 신드롬‘ 조성 예상
파리의 연인
(드라마)
SBS
(판매사 : SBS프로덕션)
ㅇ중국대만일본홍콩필리핀싱가폴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등 10개국에 1,700천불 수출 실적 기록
ㅇ올해 3월 일본 NTV에서 방송할 예정이며 후속으 로 나오는 DVD 판매를 통한 로열티 수입 예상
WIDE 연예뉴스
(음악)
m.net
ㅇ홍콩, 대만 등에 총90편, 22만불 수출
ㅇ올해 독창적인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 이에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출 호전 예상
뽀롱뽀롱 뽀로로
(애니메이션)
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
o 2004년 프랑스 TF1에서 국내 애니메이션 최초로
방영,(방영기간 04.9-12), 인도네시아 RCTI에서 04.5-8 방영.
o 04년도에 프랑스, 인도네시아, 그리고 대만에 4억 5천달러 수출하였고 프랑스, 인도네시아에서는 05년도
부터 머천 다이징 사업을 진행, 대만의 경우 05년도 방
영과 함께 머천다이징 사업 동시 전개
□ 참고자료
한류(韓流) 현상이 중국 신세대 패션에 미친 영향분석/충남대/김재은박길순
한류가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장양례,박정욱/관관경영학회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조한혜정외/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적 가치관의 한류화세계화 연구/김우영/대한정치학회보
한국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글로벌화 방안/손병우,양은경/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문화광광부 http://www.mct.go.kr/
KBS http://www.kbs.co.kr/1tv/sisa/sunspecial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매일경제 http://www.mk.co.kr
일본의 여성들은 ‘겨울연가’를 보면서 이것이 드라마인가? 정말 일본인이 잊어버리고 마음속에 순수하게 들어오는 각본인 셈이다. 영화에서나 느끼는 기분을 드라마에서 느끼고 있는 것이다.
어떤 주부들은 자살까지도 정신분열증을 가지고 있었으나, 배용준을 만난이유론 어두운 터널에서 작은 빛으로 인도해준 사람이라 했다. 이렇듯 한국드라마로 인해 일본주부들에게 스트레스 해소를 해주는 만병통치약이 된 셈이다.
드라마를 보는 내내 일본인들은 윗사람에 대한 사고방식, 친구나 선배에 대한 사고방식 등 위 아래가 확실하게 정립돼 있는 느낌을 받았다 한다.
한국의 한 드라마가 일본의 주부들로 시작해 하나하나 각자인 질서가 흐트러진 일본가정에까지 가족애로 똘똘 뭉치게 하는 힘이 되었다.
일본인들에게 없는 눈물을 자아내고, 엄마와 딸 사이에 세대 차이를 좁혀주고, 드라마를 보면서는 잠시지만 서로 부모와 자식사이가 아닌 여자로써 눈물 흘리는 공통점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겨울연가’ 파장은 우리가 상상하지 못 할 정도로 크다 할 수 있다. 한국의 드라마 한편이 일본에선 히트상품 2위에 오르기도 했고, 배용준에게 극존칭 인 “욘사마”로 불리워지고, 아프고 병든 이들에게 작은 용기를 주었다는 점에서 ‘겨울연가’의 파장은 우리가 상상 그이상이라 하겠다. 그 중심엔 중년의 여성들이 있었다.
‘겨울연가’가 한 역할은 지금까지의 몇십 년 동안 국교 정상화에 노력해온 것에 비하면 정말 드라마 한편으로 일본과 한국사이의 거리를 가뿐히 뛰어 넘어버렸다는 느낌을 받는다. 그리고 앞으로도 계속 한국을 알고 싶어 하고, 한국어를 배우는 일본인들은 더욱더 많아질 것이다.
□ 해외진출 대표적 사례
프로그램명
제 작 사
사 례
겨울연가
(드라마)
KBS
(판매사 :
KBS 미디어)
ㅇ2003년에 이어 2004년에도 미얀마, 인도네시아, 필리핀, 가나, 이집트, 미국 및 유럽 등에 수출되었고, 일본 지상파 TV인 NHK를 통해 방영됨으로서 (4월) 일본내 한류의 붐을 일으킴
ㅇDVD 로열티 수입 및 출판, 캐릭터 등 부가사업 확대
ㅇ일본내 한국의 이미지를 높이고 재일동포의 위치를 격상시키고 한국어 교육 붐도 일으켜 일본내 한국문화의 큰 바람을 일으켰으며 국내 관광산업에도 크게 기여
대장금
(드라마)
MBC
(판매사 :
MBC프로덕션)
ㅇ일본, 중국, 대만, 태국, 홍콩, 싱가폴, 말레이시아, 베트남 등 8개국에 2,300천불 수출실적 기록
ㅇ‘04년도 대만에서 방영된 모든 한국 프로그램 중 최고 시청률 기록
ㅇ‘05년 일본(NHK 방송) 등 각국에서 ’대장금 신드롬‘ 조성 예상
파리의 연인
(드라마)
SBS
(판매사 : SBS프로덕션)
ㅇ중국대만일본홍콩필리핀싱가폴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태국베트남 등 10개국에 1,700천불 수출 실적 기록
ㅇ올해 3월 일본 NTV에서 방송할 예정이며 후속으 로 나오는 DVD 판매를 통한 로열티 수입 예상
WIDE 연예뉴스
(음악)
m.net
ㅇ홍콩, 대만 등에 총90편, 22만불 수출
ㅇ올해 독창적인 콘텐츠 개발에 주력할 예정이며 이에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꾸준한 수출 호전 예상
뽀롱뽀롱 뽀로로
(애니메이션)
아이코닉스 엔터테인먼트
o 2004년 프랑스 TF1에서 국내 애니메이션 최초로
방영,(방영기간 04.9-12), 인도네시아 RCTI에서 04.5-8 방영.
o 04년도에 프랑스, 인도네시아, 그리고 대만에 4억 5천달러 수출하였고 프랑스, 인도네시아에서는 05년도
부터 머천 다이징 사업을 진행, 대만의 경우 05년도 방
영과 함께 머천다이징 사업 동시 전개
□ 참고자료
한류(韓流) 현상이 중국 신세대 패션에 미친 영향분석/충남대/김재은박길순
한류가 관광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장양례,박정욱/관관경영학회
「‘한류’와 아시아의 대중문화」/조한혜정외/한국문화인류학회
한국적 가치관의 한류화세계화 연구/김우영/대한정치학회보
한국대중문화의 현주소와 글로벌화 방안/손병우,양은경/충남대 사회과학연구소
문화광광부 http://www.mct.go.kr/
KBS http://www.kbs.co.kr/1tv/sisa/sunspecial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중앙일보 http://www.joins.com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한겨레신문 http://www.hani.co.kr
매일경제 http://www.mk.co.kr
추천자료
대중문화의 이해 - 문화산업으로서 한류 발전 방안
일본 여성들은 왜 한류에 열광하는가?
‘한류(韓流)’와 동아시아 - 동아시아의 화해와 소통의 가능성에 대해서
‘음식 한류’에 대한 중국과 일본의 비교연구
글로벌 한류와 혁신 전략
한국 TV 드라마와 한류
베트남 내 한류형성의 배경과 원인, 사회경제적 파급효과
[대중문화]한류현상의 특징 및 문화산업정책에 대한 과제
[세계의풍속과문화] 세계속의 한류 현상 내용과 성격
엔터테인먼트와 산업의 이해와 제2의 한류 성공전략 최종(아이돌가수중심)
k-pop 열풍
K-POP의 국가별 열풍 현황과 향후전략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필리핀이나 베트남 사람들이 자신들의 문화보다 한국의 문화를 더 좋아한다면 이러한 현상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