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봉 영화의 스크린 독점과 관객의 선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주제 설정

2. 선행 연구

3. 연구 준비

4. 연구 결과
1) 영화 소비 행태
2) 영화 소비 기준
3) 특정 영화 관람 사례

5. 결론 및 한계

6. 자료 출처

본문내용

1조원, 세계 8위의 규모까지 성장한 큰 우리나라 영화시장에 있어 자본에 의한 상영관의 독점 문제는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우리의 선행연구 결과 상영관의 수가 얼마나 사람들의 영화 선택기준에 영향을 미치는가, 흥행 성적과 얼마나 큰 관계가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자세히 이루어진 바가 없었다. 때문에 우리 조는 이번 연구를 통해 미비하게나마 그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했던 것이다. 그러나 영화 ‘괴물’에 의해 상영관 독점이 큰 문제로 대두된 것에 비해 우리 조의 연구 결과에서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상영관 수를 영화 선택의 기준으로써 별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하지만 일반적인 경우가 아닌 특정 영화(가문의 부활과 같은 평판이 별로 좋지 않은 오락적인 상업영화)에 있어서는 상영관 수가 사람들의 영화 선택과 흥행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로 가문의 부활의 경우 330만 관객동원으로 라디오 스타보다 좋은 흥행성적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조사 결과로는 가문의 부활이 70명, 라디오 스타가 93명의 사람들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불일치는 우리가 한정된 표본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성별은 남자 164명, 여자 136명으로 비교적 균형이 맞았지만 나이대는 10대 5명, 20대 204명, 30대 39명, 40대 29명, 50대 22명, 60대 1명으로 우리와 같은 나이 또래인 20대에 집중적으로 몰려있었다. 이것은 우리가 학생의 신분으로 접근성이 좋은 표본을 위주로 조사한 결과였다. 이 때문에 보다 높은 연령대가 주를 이루는 가문의 부활이 라디오 스타보다 더 적은 사람이 본 것으로 나타났다고 생각한다. 만일 정말 무작위 방법으로 표본을 추출하여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면 더 확실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또한 SPSS를 통해 각 문항간의 관계를 좀 더 면밀히 조사했다면 더욱 자세하고 확실한 결과에 도달할 수 있었을 것이라는 아쉬움도 남는다. 이러한 한계들이 있었지만 우리 조 나름의 방법을 통해서 지금까지는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문제에 대해 연구를 해봤다는 것에서 자부심과 보람을 느낀다.
6. 자료출처
- ‘한국영화의 흥행 요인에 과한 연구 : 제작 관련 변수를 중심으로’
유현석(Hyun Suk Yoo)
한국언론학보 | 2002
- ‘한국 영화의 흥행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김은미 ( Eun Mee Kim )
한국언론학보 | 2003
- ‘국가별 흥행영화 소비구조의 특성’
전범수 ( Bum Soo Chon )
한국언론학보 | 2003
- ‘영화 관련 신문 보도가 영화 흥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사의 양, 게재 시기, 방향을 중심으로’
박조원 ( Jo Won Park ) , 이귀옥 ( Gui Ohk Lee )
한국언론학보 | 2004
- ‘국내외 흥행 영화소비 집중도 결정 요인: 1974~2003’
전범수 ( Bum Soo Chon ) , 최영준 ( Young Jun Choi )
한국언론학보 | 2005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03.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