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1. N스크린의 정의
1-1 N스크린 서비스란?
1-2 N스크린 도입배경
1-3 현황
1-4 발전방향
2. N스크린 시장
2-1 N스크린 시장형성
2-2 국내 스마트폰 시장
2-3 국내 N스크린의 성장
2-4 N스크린의 수익성 문제
2-5 N스크린 서비스의 시장 전망
1) 새로운 수익모델의 등장 가능성
2) 합법적인 콘텐츠 시장의 확산 속도
3) 사용자 니즈와의 정합성
4) N-스크린 패러다임의 변화 가능성
3. 국내 N스크린 사례
3-1 방송사 주도의 N스크린 서비스
1) K플레이어
2)MBC와SBS \'pooq\'
3) SBS 고릴라 플레이어
3-2 통신사 주도의 N스크린 서비스
1) SK텔레콤 Hoppin(호핀)
2) KT olleh TV now
3) LG U+BOX
3-3 기타 N스크린 서비스
1) CJ헬로비전 - 티빙(Tving)
2) HCN ‘에브리온 TV\'
3) 삼성 스마트 TV ‘바다OS\'
4. 해외의 N스크린 서비스
4-1 AT&T
4-2 Netflix
4-3 Apple
4-4 Google
4-5 Comcast
Ⅲ 결론
1. 쟁점이 되는 사항
1) 저작권 문제
2) 콘텐츠 확보 문제
3) 지역 민영 방송과의 대립
2. 활성화 방안
1) 저작권 문제 논의
2) 불법 복제 및 보안 문제 해결 가이드라인 마련
3) 플랫폼 사업자의 비즈니스 전략 모델
4)지역민영방송 해결방안
1. N스크린의 정의
1-1 N스크린 서비스란?
1-2 N스크린 도입배경
1-3 현황
1-4 발전방향
2. N스크린 시장
2-1 N스크린 시장형성
2-2 국내 스마트폰 시장
2-3 국내 N스크린의 성장
2-4 N스크린의 수익성 문제
2-5 N스크린 서비스의 시장 전망
1) 새로운 수익모델의 등장 가능성
2) 합법적인 콘텐츠 시장의 확산 속도
3) 사용자 니즈와의 정합성
4) N-스크린 패러다임의 변화 가능성
3. 국내 N스크린 사례
3-1 방송사 주도의 N스크린 서비스
1) K플레이어
2)MBC와SBS \'pooq\'
3) SBS 고릴라 플레이어
3-2 통신사 주도의 N스크린 서비스
1) SK텔레콤 Hoppin(호핀)
2) KT olleh TV now
3) LG U+BOX
3-3 기타 N스크린 서비스
1) CJ헬로비전 - 티빙(Tving)
2) HCN ‘에브리온 TV\'
3) 삼성 스마트 TV ‘바다OS\'
4. 해외의 N스크린 서비스
4-1 AT&T
4-2 Netflix
4-3 Apple
4-4 Google
4-5 Comcast
Ⅲ 결론
1. 쟁점이 되는 사항
1) 저작권 문제
2) 콘텐츠 확보 문제
3) 지역 민영 방송과의 대립
2. 활성화 방안
1) 저작권 문제 논의
2) 불법 복제 및 보안 문제 해결 가이드라인 마련
3) 플랫폼 사업자의 비즈니스 전략 모델
4)지역민영방송 해결방안
본문내용
로 콘텐츠를 제공하기 꺼려한다. 사람들에게 지상파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는 무료라는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다. 이러한 면에서 지상파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비용을 지불 하면서까지 서비스를 이용 할 지에 대한 의문도 생긴다. 그리고 수백개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며 광고하지만, 실제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하다 보면 그렇지 않다. 대부분의 외주제작 콘텐츠들은 이용이 제한되고 방송사 자체 제작 프로그램들만 이용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3) 지역 민영 방송과의 대립
지역 민영 방송은 N스크린의 시행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질 좋은 콘텐츠의 확보, 통신망의 구축과 같은 조건이 콘텐츠 개발사(방송사)와 서비스 제공자(통신사)간 선행되어야 하는데 지역 민방은 그럴만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지상파는 이미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며 N스크린 사업에 뛰어들었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이 전국 방송이 된 것이다. 바로 이 사실이 지역 민방의 불만을 사게 되었다. 개정 방송법 제 12조에 의거하면 지상파 방송의 송출은 지역 방송의 다양성과 균형적인 성장을 위하여 특정 권역을 벗어나 방송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지상파는 N스크린 서비스의 시행으로 권역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방송 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것은 법을 무의미하게 한다는 문제점으로도 지적되고 있으며, 지역민방의 시청률 하락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지역민방협회의 입장인 것이다. 하지만, N스크린 서비스는 전기통신사업법 상 부가통신서비스로 분류되어 있어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
2. 활성화 방안
1) 저작권 문제 논의
N스크린 서비스는 네트워크사, 단말제조사, 콘텐츠 보유사 까지 다양한 업종에서 서비스를 시도하지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 시청이 제한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이 지속 된다. 기술이 발전하여 디지털기기들이 늘어나면서 저작권 문제가 더 심화 될 것이다. 콘텐츠 제조업자와 플랫폼 사업자는 N스크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저작권 법 개념을 정립하고 공정이용의 규칙 등을 논의해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단말기 간 콘텐츠 이동성 서비스가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 인지 판단 하는것이 중요하며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단 될 지라도 다른 서비스의 판권 보유자의 권리를 침해 할 수 있는 만큼 판권 사용에 대한 정해진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또한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 시대가 오면서 스트리밍으로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저작권도 어디까지 보호받아야 할지 논의해야 한다.
2) 불법 복제 및 보안 문제 해결 가이드라인 마련
N스크린 서비스의 확장은 불법적 콘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수단이 될 수도 있다. P2P서비스가 확산되지 않도록 규제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N스크린 서비스는 특정 국가로부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허가를 받지 않아도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 간 규제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보안과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N스크린 서비스 환경은 콘텐츠와 정보를 이동시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보안문제를 유발 시킨다. 개방형 운영체계로 보안에서 취약성이 발생 할 수 있다. 누가 보안과 시스템 안정성의 책임을 지느냐가 중요한 쟁점으로 제기 될 것이며 이러한 보안과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 범위를 정책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개인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에 대해 개인 프로파일 사용에 대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3) 플랫폼 사업자의 비즈니스 전략 모델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연결성, 이동성, 통합성을 구현하는 서비스 구축해야 한다. 먼저, 이용자가 접근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플랫폼과 단말기가 서로 교차하거나 연계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진정한 단말기 간 동기화가 필요하다. 이용자는 단말기 별로 번거로운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고 단말기 마다 매번 스트리밍을 받아야하는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 정형화된 규격이 없기 때문에 매체간의 호환성 문제도 발생하고 디바이스 별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달라질 수도 있어서 서비스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각 디지털 기기들 마다 단말기 사양이 다르다거나 데이터 스토리지가 부족하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해 단말기 간 콘텐츠 스트리밍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프로토콜과 단말기 간 콘텐츠 포맷 차이를 극복해야한다. 그리고 자사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와 외부 통신서비스 간에 상호 접속하거나 중계하는 장치인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략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통합 콘텐츠 플랫폼 구축을 해서 개별 플랫폼과 단말기를 통합하여 고유의 서비스와 기능을 확장시켜 주고 서로의 시너지 효과를 높여주어야 한다.
4)지역민영방송 해결방안
N스크린 전략이 방송권역을 침해하면서 지역성과 공공성을 해치는 것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안된 사항으로는 플랫폼 사용비용을 지역 민영 방송사에 보전하고, 지역 방송 콘텐츠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수익 분배를 할 때 콘텐츠 판매율을 상향조정을 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을 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데, 이용자의 동이에 따라 서비스 업체에서는 이용자의 GPS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지역의 방송을 시청하게끔 권역별로 N스크린 서비스를 실시하는 방안 등이 있다. 또한 지역 방송특별법을 제정해 지역방송발전기금을 만들어 광고료 배분개선, 지역방송 자체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통신발전기금을 확대해야 한다.
뉴미디어 과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N스크린 서비스 정의
2. N스크린 시장
3. 국내 N스크린 서비스 전략
4. 해외 N스크린 서비스 전략
Ⅲ 결론
<출처 : 인터넷>
http://mobizen.pe.kr/1139
http://www.kobet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2
http://daummobile.tistory.com/334
http://blog.tving.com/1073
http://eeiiee.egloos.com/10693384
3) 지역 민영 방송과의 대립
지역 민영 방송은 N스크린의 시행에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질 좋은 콘텐츠의 확보, 통신망의 구축과 같은 조건이 콘텐츠 개발사(방송사)와 서비스 제공자(통신사)간 선행되어야 하는데 지역 민방은 그럴만한 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지상파는 이미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며 N스크린 사업에 뛰어들었다. 따라서 지상파 방송이 전국 방송이 된 것이다. 바로 이 사실이 지역 민방의 불만을 사게 되었다. 개정 방송법 제 12조에 의거하면 지상파 방송의 송출은 지역 방송의 다양성과 균형적인 성장을 위하여 특정 권역을 벗어나 방송하지 못하도록 제한하고 있다.
지상파는 N스크린 서비스의 시행으로 권역 사업자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방송 체제를 갖추게 되었고, 이것은 법을 무의미하게 한다는 문제점으로도 지적되고 있으며, 지역민방의 시청률 하락과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지역민방협회의 입장인 것이다. 하지만, N스크린 서비스는 전기통신사업법 상 부가통신서비스로 분류되어 있어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고 있다.
2. 활성화 방안
1) 저작권 문제 논의
N스크린 서비스는 네트워크사, 단말제조사, 콘텐츠 보유사 까지 다양한 업종에서 서비스를 시도하지만 저작권 문제로 인해 프로그램 시청이 제한되면서 이용자들의 불편이 지속 된다. 기술이 발전하여 디지털기기들이 늘어나면서 저작권 문제가 더 심화 될 것이다. 콘텐츠 제조업자와 플랫폼 사업자는 N스크린 시장 활성화를 위해 저작권 법 개념을 정립하고 공정이용의 규칙 등을 논의해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단말기 간 콘텐츠 이동성 서비스가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 인지 판단 하는것이 중요하며 새로운 콘텐츠 서비스가 아니라고 판단 될 지라도 다른 서비스의 판권 보유자의 권리를 침해 할 수 있는 만큼 판권 사용에 대한 정해진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또한 다운로드가 아닌 스트리밍 시대가 오면서 스트리밍으로 재생되는 프로그램의 저작권도 어디까지 보호받아야 할지 논의해야 한다.
2) 불법 복제 및 보안 문제 해결 가이드라인 마련
N스크린 서비스의 확장은 불법적 콘텐츠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수단이 될 수도 있다. P2P서비스가 확산되지 않도록 규제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그리고 N스크린 서비스는 특정 국가로부터 서비스 제공에 대한 인허가를 받지 않아도 글로벌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국가 간 규제 형평성을 확보하기 위한 국제협력의 필요성이 증가할 것이다.
그리고 보안과 안정성을 확보해야한다. N스크린 서비스 환경은 콘텐츠와 정보를 이동시키고 공유하는 과정에서 보안문제를 유발 시킨다. 개방형 운영체계로 보안에서 취약성이 발생 할 수 있다. 누가 보안과 시스템 안정성의 책임을 지느냐가 중요한 쟁점으로 제기 될 것이며 이러한 보안과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구체적인 책임 범위를 정책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 또한 개인 사생활 침해의 위험성에 대해 개인 프로파일 사용에 대한 범위를 명확히 설정하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야 한다.
3) 플랫폼 사업자의 비즈니스 전략 모델
N스크린 서비스의 확산을 위해서는 연결성, 이동성, 통합성을 구현하는 서비스 구축해야 한다. 먼저, 이용자가 접근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중심으로 플랫폼과 단말기가 서로 교차하거나 연계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 진정한 단말기 간 동기화가 필요하다. 이용자는 단말기 별로 번거로운 설정 과정을 거쳐야 하고 단말기 마다 매번 스트리밍을 받아야하는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 정형화된 규격이 없기 때문에 매체간의 호환성 문제도 발생하고 디바이스 별로 제공하는 서비스가 달라질 수도 있어서 서비스가 제한된다. 그러므로 각 디지털 기기들 마다 단말기 사양이 다르다거나 데이터 스토리지가 부족하거나 하는 문제를 해결해 단말기 간 콘텐츠 스트리밍을 가능하도록 해주는 프로토콜과 단말기 간 콘텐츠 포맷 차이를 극복해야한다. 그리고 자사 단말기가 홈 네트워크와 외부 통신서비스 간에 상호 접속하거나 중계하는 장치인 홈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담당하는 전략을 추구하여야 한다. 또한 통합 콘텐츠 플랫폼 구축을 해서 개별 플랫폼과 단말기를 통합하여 고유의 서비스와 기능을 확장시켜 주고 서로의 시너지 효과를 높여주어야 한다.
4)지역민영방송 해결방안
N스크린 전략이 방송권역을 침해하면서 지역성과 공공성을 해치는 것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제안된 사항으로는 플랫폼 사용비용을 지역 민영 방송사에 보전하고, 지역 방송 콘텐츠를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방안이 있다. 또한 수익 분배를 할 때 콘텐츠 판매율을 상향조정을 하도록 정책적으로 지원을 하는 방법이 있다. 또는 N스크린 서비스를 이용할 때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데, 이용자의 동이에 따라 서비스 업체에서는 이용자의 GPS 정보를 이용해서 해당 지역의 방송을 시청하게끔 권역별로 N스크린 서비스를 실시하는 방안 등이 있다. 또한 지역 방송특별법을 제정해 지역방송발전기금을 만들어 광고료 배분개선, 지역방송 자체 제작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통신발전기금을 확대해야 한다.
뉴미디어 과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N스크린 서비스 정의
2. N스크린 시장
3. 국내 N스크린 서비스 전략
4. 해외 N스크린 서비스 전략
Ⅲ 결론
<출처 : 인터넷>
http://mobizen.pe.kr/1139
http://www.kobeta.com/news/articleView.html?idxno=3032
http://daummobile.tistory.com/334
http://blog.tving.com/1073
http://eeiiee.egloos.com/10693384
추천자료
스크린쿼터의 정의 및 스크린쿼터 폐지의 찬.반 양론과 개인적 견해(A+레포트)
N 세대의 정의
『터치스크린의 정의와 가속도센서의 종류, 원리』에 대하여
터치스크린의 정의 및 개요, 동작원리 및 기대효과 및 관련특허, 시장전망
스크린쿼터의 정의와 반대및 찬성의견 및 그 논거(각 각)
[N-Screen]N-Screen(멀티스크린) 서비스의 개념과 특성 및 부상 배경, N스크린 시장 현황 및 ...
[n-screen]N스크린 전략의 개념과 주요 특성, 필수요소, N스크린 시장 동향 및 대표 사례, N ...
N스크린의 쟁점 및 해결방안 과제
N스크린과 지역 방송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TV의 미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