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내년 중 'N스크린 서비스'를 론칭, 신규 수익모델을 창출할 계획이다. CATV업체 씨씨에스는 방송과 인터넷 결합 가입자를 대상으로 N스크린서비스의 출시를 목표로 준비 작업을 본격화한다고 2012년 10월 9일에 밝혔다. 유인무 씨씨에스 대표는 "방송, 인터넷, N스크린이 결합된 상품 출시를 위해 애플리케이션 개발 등 사업 준비가 한창"이라며 "디지털방송 전환, 양방향서비스, N스크린 등 단계별 사업 추진을 본격화 해 경쟁력과 수익성을 확보해 갈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츠는 지역 자체 방송을 기본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남영환 씨씨에스 이사는 "현재 충북에 기반을 두고 있는 중·장년층이 즐겨 볼 수 있는 시범 서비스를 구상 중에 있다"며 "충북 지역 뉴스나 가요프로그램처럼 지역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를 시범적으로 제공한 다음 콘텐츠의 영역을 넓혀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 이사는 "씨씨에스는 기본적으로 지역기반 방송이기 때문에 중·장년층들의 시청 수요가 높다"며 "지역의 고객, 법인, 식당 등을 주요 고객층으로 잡고 점차 다양하게 콘텐츠 확장을 구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N스크린의 급부상 속에서 지역 방송들은 각자의 살 길을 찾아 많은 방법을 찾고 있지만 그 현실은 쉽지 않다. N스크린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도 지역방송은 적은 수입과 저조한 시청률로 자체 편성과 자체 제작 비율을 맞추기도 급급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지역방송의 미래
새로운 방송장비와 기술의 도입으로 방송권역이 무너지고 위기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지역방송의 활로를 어떻게 찾느냐다. 핵심은 콘텐츠다. 짧은 소견으로 이 문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풀었으면 한다. 방송콘텐츠의 locality와 glocalization이 그것이다.
locality는 철저하게 지역성을 파고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지역방송의 가장 중요한 존재이유이자 경쟁력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locality 보도에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다. 새로운 방송환경에 맞게 주민의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보도의 내용과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glocalization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방화(localization)의 합성어이다. 세계화가 국경 개념이 허물어지는 오늘날의 세계적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라면, 지방화는 지방이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말이다. 세계화와 지방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을 ‘글로컬리제이션’ 이라고 한다. 즉 세계화를 추구하되 현지의 기업풍토를 존중하는 경영을 해나가는 것을 뜻한다.
glocalization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지금까지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국가 단위의 개념이 사리지고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세계화를 외쳤지만 공통적인 것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지역의 문화에 잘 접목시킨 것만이 진정 세계화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일례로 맥도널드는 인도 지역에서는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뺀 햄버거의 콘셉트를 도입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에서는 남녀 좌석을 구분하는 마케팅 전략, 즉 ‘glocalization’을 썼다.
방송에서 glocalization이란 지역의 것을 가지고 세계적으로 범용될 수 있는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송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콘텐츠 생산에 있다.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또 그 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우는 노력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N스크린은 과연 TV의 미래인가?
-N스크린과 지역 방송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TV의 미래
콘텐츠는 지역 자체 방송을 기본으로 시작할 계획이다. 남영환 씨씨에스 이사는 "현재 충북에 기반을 두고 있는 중·장년층이 즐겨 볼 수 있는 시범 서비스를 구상 중에 있다"며 "충북 지역 뉴스나 가요프로그램처럼 지역 호응도가 높은 콘텐츠를 시범적으로 제공한 다음 콘텐츠의 영역을 넓혀나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남 이사는 "씨씨에스는 기본적으로 지역기반 방송이기 때문에 중·장년층들의 시청 수요가 높다"며 "지역의 고객, 법인, 식당 등을 주요 고객층으로 잡고 점차 다양하게 콘텐츠 확장을 구상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N스크린의 급부상 속에서 지역 방송들은 각자의 살 길을 찾아 많은 방법을 찾고 있지만 그 현실은 쉽지 않다. N스크린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도 지역방송은 적은 수입과 저조한 시청률로 자체 편성과 자체 제작 비율을 맞추기도 급급한 실정이기 때문이다.
※지역방송의 미래
새로운 방송장비와 기술의 도입으로 방송권역이 무너지고 위기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지역방송의 활로를 어떻게 찾느냐다. 핵심은 콘텐츠다. 짧은 소견으로 이 문제는 두 가지 측면에서 풀었으면 한다. 방송콘텐츠의 locality와 glocalization이 그것이다.
locality는 철저하게 지역성을 파고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지역방송의 가장 중요한 존재이유이자 경쟁력의 원천이기 때문이다. locality 보도에서 가장 잘 구현할 수 있다. 새로운 방송환경에 맞게 주민의 요구를 제대로 파악하고 보도의 내용과 품질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새로운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glocalization은 세계화(globalization)와 지방화(localization)의 합성어이다. 세계화가 국경 개념이 허물어지는 오늘날의 세계적 현상을 지칭하는 말이라면, 지방화는 지방이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추세를 반영하고 있는 말이다. 세계화와 지방화가 동시에 진행되는 현상을 ‘글로컬리제이션’ 이라고 한다. 즉 세계화를 추구하되 현지의 기업풍토를 존중하는 경영을 해나가는 것을 뜻한다.
glocalization이 주목을 받는 이유는 지금까지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국가 단위의 개념이 사리지고 세계를 하나의 시장으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세계화를 외쳤지만 공통적인 것은 가장 지역적인 것이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지역의 문화에 잘 접목시킨 것만이 진정 세계화를 이룰 수 있다는 의미다. 일례로 맥도널드는 인도 지역에서는 쇠고기나 돼지고기를 뺀 햄버거의 콘셉트를 도입했으며, 사우디아라비아 지역에서는 남녀 좌석을 구분하는 마케팅 전략, 즉 ‘glocalization’을 썼다.
방송에서 glocalization이란 지역의 것을 가지고 세계적으로 범용될 수 있는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송사의 가장 큰 경쟁력은 콘텐츠 생산에 있다. 우리가 가장 잘 할 수 있는 분야에 역량을 집중하고, 또 그 역량을 지속적으로 키우는 노력이 중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N스크린은 과연 TV의 미래인가?
-N스크린과 지역 방송의 관계 속에서 드러나는 TV의 미래
추천자료
<시사매거진 2580>의 영상기법과 현실구성에 관한 연구(TV방송연구)
[사업계획서] 인터넷기반의 영화와 TV방송 서비스
문제해결의 의미, 문제해결의 과정, 수학과 문제해결력신장을 위한 ICT활용교육, 수학과 문제...
수학과교육 문제해결력신장 ICT활용교육, 수학과교육 문제해결력신장 TV교육방송활용학습, 수...
tv프로그램으로보는 방송영상디자인의 특징
대기업 소유 방송사 진출이 지역 언론에 미치는 영향
방송 대중매체, 드라마 TV 속에 등장하는 여성상 문제점, 실태, 현황
2005년(2000년대)의 세계경제와 경제전망, 2005년(2000년대)의 한국경제와 예산안, 2005년(20...
[케이블TV, 케이블티비, 재전송정책]케이블TV(케이블티비)의 도입배경, 발전, 케이블TV(케이...
[통합방송법, 언론중재법]통합방송법, 언론중재및피해구제등에관한법률(언론중재법, 언론피해...
미디어 기술 - 3D 방송(3D TV)에 관해
[방송편성의 이론과 실제 온라인 과제물] TV프로그램 2편 이상을 선정하여 수용자소구요소 비...
광고매체 종류 및 특성 (방송매체 TV텔레비전, 라디오, 케이블 텔레비전, 위성 텔레비전).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