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주사 융건능 답사 자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용주사의 사찰로서의 기능과 입지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설명하시오.

2. 용주사의 배치를 축과 단의 차이를 들어 설명하시오.

3. 용주사의 점경물 중 석수, 수각, 대우석, 정료대에 대해 형태와 기능을 설명하시오.

4. 용주사의 장대석 기단부, 난간과 장초석, 이중초석을 경복궁의 경우와 비교하고 특징을 서술하시오.

5.용주사의 진입공간을 조선시대 일반적인 사찰과 비교하시오.

6. 능역공간에 주로 식재되는 수종을 쓰고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7. 융건능의 공간구조에 대해 설명하시오.

8. 능역의 공간구성을 풍수적인 측면을 들어 설명하시오.

9. 융건능의 석물에 대해 설명하시오.

10. 용주사와 융건능을 답사하고 느낀 소감을 기술하시오.

본문내용

한 현장으로서 평지에 가까운데 이곳에는 정자각과 신도비각이 들어서고 주변의 계곡과 거의 같은 지대를 형성했기 때문에 수기가 매우 많이 스며있다. 금산에서 힘차게 내려선 직룡을 살펴보면 웅대한 지세가 혈중심에서 멈추어 있으며 생룡의 약동과 굴신하는 이 자리에는 생기가 충만하며 혈자 전체는 매우 넓고 둥글게 펼쳐졌으며 양지 바른 남향판이라 따뜻한 남풍이 혈장을 감싸주고 차가운 서북풍을 잘 막아주는 풍수적으로 흠 잡을 곳 없는 완벽을 갖추고 있다. 혈장내수는 좌청룡과 우백호의 내수가 지기를 흠뻑 적시며 흐르니 혈장의 생기를 완벽하게 보존해주고 있으며, 홍살문 바로 앞에서 음수와 양수가 한 곳에서 만나 음양합수구를 이루며 경사가 거의없는 평지라서 천천히 쉬어가면서 흐르는 듯하니 떠나기를 싫어하고 머무르고자 하는 정이 넘치니 길수가 안닐 수 없다.
9. 융건능의 석물에 대해 설명하시오.
융릉
정조는 현륭원을 조영할 때 온갖 정성을 기울여 조선 시대 어느 원보다도 후하고 창의적인 상설을 하여 원제에 없으며 영릉 천릉 때 이미 폐지하기로 한 호석을 만들게 하면서 모란 연화문으로 조각하였다. 장명등은 초기 8각형과 숙종 영조 연간의 4각형 양식을 합하여 운족이 달린 새로운 양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정조의 건릉, 철종의 예릉 장명등의 기본이 되었다. 또한 문인석은 코가 깨어졌고 보두 대신 금관을 쓰고 있으며 원제에 없는 무인석도 배열하였는데 조각 솜씨가 걸작이다. 문 무인석은 크기가 장대하지는 않으나 가슴에 파묻었던 목이 위로 나와 답답하지 않고 사실적이다. 융릉의 봉분은 목단, 연화문을 새긴 병풍석을 두르고 있으며, 인석은 꽃봉오리 모양을 하고 있다. 장명등은 전기의 팔각장명등과 숙 영조 연간의 사각장명등의 양식을 합하여 구름무늬를 다리에 새겨 넣었고, 대석에는 꽃을 새겨 넣어 새로운 양식을 창조하고 있다. 그리고 난간석을 생략하면서 방위 표시를 위해 꽃봉오리 모양의 인석에 문자를 새겨 넣었다.
건릉
건릉은 병풍석을 두르지 않고 난간석만 둘렀으며 그 밖의 모든 상설을 융릉의 예를 따랐다. 그래서 합장릉 인데도 상석을 하나만 놓았고, 장명등은 융릉의 것과 같이 화문이 새겨져 화려하다. 방향표시를 위해 난간석주에 문자로 십이지를 표시한 것이 보인다.
문 무인석은 등신대에 가까우며, 사실적으로 조각되어 있고, 특히 입가에 미소를 띤 모습이라 여유가 있어 보인다. 문인은 금관조복을 입고 있다.
이 밖에 3면의 곡장과 상석, 석마 쌍, 망주석 쌍, 수라청, 망료위, 표석, 재실이 배치되어 있다.
10. 용주사와 융건능을 답사하고 느낀 소감을 기술하시오.
지금까지 다녀본 궁궐, 화성과는 달리 화려함이 없었다. 크고, 웅장한 느낌도 들지 않았다. 답사했던 곳들이 자연 친화적이라 한다면, 용주사와 융건능은 자연 속에 묻히려 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용주사와 융건능 모두 조용한 분위기 아래 세월이 흐른 것 같다. 용주사와 융건능에 얽힌 역사 이야기들을 설명도 듣고 자료도 찾아보면서 접해보니 제각각 이러저러한 사연들이 있었다. 딱딱한 교과서 글로만 보던 것들을 실제 그 현장을 찾아가서 이것저것 조사도 하고 사진도 찍으면서 그 정신을 조금씩 이해해 나가는 것 같았다. 오랜 세월동안 이 곳에는 선조들의 정신이 살아 숨쉬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쉬웠던 점은 용주사 내에서는 그 곳을 찾은 사람들을 위한 안내 같은 것이 부족해 뭐가 뭔지 잘 모르는 것들도 있었고 어떤 위치에 무엇이 있는지 정보를 얻는 것이 쉽지 않았다는 것이다. 가장 안타까운 것은 융건능에서 정자각까지밖에 갈 수 없었다는 것이다. 정작 보고자 했던 것은 능이었는데 멀리 언덕위로 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키워드

용주사,   융건능,   융건릉,   용주,   융건,   ,   ,   사찰
  • 가격2,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02.21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9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