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각해보기
제 1장. 동질적인 한국어 회복을 위한 필요성
제 2장. 북한 언어 정책의 바탕
제 3장. 주체 언어 이론의 특징
제 4장. 북한의 언어 정책 기관
제 1장. 동질적인 한국어 회복을 위한 필요성
제 2장. 북한 언어 정책의 바탕
제 3장. 주체 언어 이론의 특징
제 4장. 북한의 언어 정책 기관
본문내용
대로 고유어를 쓰고, 일정한 한자어를 사용하되 이미 우리말로 굳어진 것만 쓰며, 그 범위를 제한하여 새로운 한자를 만들지 말고
어디까지나 고유어의 어근을 기본으로 하여 우리말을 더 풍부하게 발전시키자
2. 외래어 문제
①외래어는 고유어로 다듬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렇다고 하여 외래어를 다 없앨 수는 없으므로 외래어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어느 정도 받아 들여야 한다
②다른 나라 고유명사는 일본어와 중국어로 발음 할 것이 아니라 그 나라 발음대로 하는 것이 좋고 나라 이름도 그 나라말로 써야 한다
ex) 카스테라-설기과자, 소세지-양뱉순대, 메론-향참외, 쥬브-속고무.....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노력이나 방언을 연구하여 좋은 우리말을 지켜 나가려는 시도 그리고 고유어를 적극 찾아서 쓰고 고장의 이름도 일제 강점기에 많이 변화되었던 것을 다시 되찾으려는 움직임 등이 남한 언어학자들 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계획성 있게 일찍이 진행되어 나갔다는 사실이다.
※주체 사상에 입각한 언어 리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의 언어 생활 규범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통치이데올로기: 주체사상
사회 통제 및 인간 개조: 당성, 인민성, 계급성
언어(생활) 규범화: 사회주의적 민족어 건설(문화어)
민족어 지키기:자주성
민족어 현대적 발전:창조성
주체사상 고취:의식성
주체
반서울말
반제국주의말
평양 거점화
계급성, 인민성, 문화성
고유어 근간 어휘 창조
세련성
당성
선동, 선전성 강화
정치 사상 교양
개인 우상화
김일성의 통치 이데올로기인 주체 사상은 사회 통제와 인간 개조를 목표로 한다. 사회 통제와 인간 개조의 기본 원칙은 당성, 인민성, 노동계급성이다. 이러한 사회 통제의 일환으로 언어생활을 통제하게 되고 언어생활을 통제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문화어”다.
제 4장. 북한의 언어 정책 기관
1)과학원 어문학 연구소
-1952년 10월 내각 결정 183호에 의해 설치
-북한의 과학 기술 연구의 대표적 기관
-역할: 언어 전반에 대한 정리 및 통제
2)국어 사정위원회
-문화어 운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설치
-비상설기관
-학술용어 사정위원회의 기능을 이어 받음
-1964년 1월3일, 5월14일 2차례에 걸친 교시 후 북한의 어문 규정을 <조선말 규범집>으로 바꿈
-사회주의 건설의 완수를 위해 평양 중심의 문화어로 바꾸는 계획을 세움
어디까지나 고유어의 어근을 기본으로 하여 우리말을 더 풍부하게 발전시키자
2. 외래어 문제
①외래어는 고유어로 다듬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그렇다고 하여 외래어를 다 없앨 수는 없으므로 외래어를 어느 정도 사용하는 것은 피할 수 없으며 어느 정도 받아 들여야 한다
②다른 나라 고유명사는 일본어와 중국어로 발음 할 것이 아니라 그 나라 발음대로 하는 것이 좋고 나라 이름도 그 나라말로 써야 한다
ex) 카스테라-설기과자, 소세지-양뱉순대, 메론-향참외, 쥬브-속고무.....
여기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한자말과 외래어를 고유어로 바꾸는 노력이나 방언을 연구하여 좋은 우리말을 지켜 나가려는 시도 그리고 고유어를 적극 찾아서 쓰고 고장의 이름도 일제 강점기에 많이 변화되었던 것을 다시 되찾으려는 움직임 등이 남한 언어학자들 보다 훨씬 체계적이고 계획성 있게 일찍이 진행되어 나갔다는 사실이다.
※주체 사상에 입각한 언어 리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북한의 언어 생활 규범화를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통치이데올로기: 주체사상
사회 통제 및 인간 개조: 당성, 인민성, 계급성
언어(생활) 규범화: 사회주의적 민족어 건설(문화어)
민족어 지키기:자주성
민족어 현대적 발전:창조성
주체사상 고취:의식성
주체
반서울말
반제국주의말
평양 거점화
계급성, 인민성, 문화성
고유어 근간 어휘 창조
세련성
당성
선동, 선전성 강화
정치 사상 교양
개인 우상화
김일성의 통치 이데올로기인 주체 사상은 사회 통제와 인간 개조를 목표로 한다. 사회 통제와 인간 개조의 기본 원칙은 당성, 인민성, 노동계급성이다. 이러한 사회 통제의 일환으로 언어생활을 통제하게 되고 언어생활을 통제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문화어”다.
제 4장. 북한의 언어 정책 기관
1)과학원 어문학 연구소
-1952년 10월 내각 결정 183호에 의해 설치
-북한의 과학 기술 연구의 대표적 기관
-역할: 언어 전반에 대한 정리 및 통제
2)국어 사정위원회
-문화어 운동을 효과적으로 전개하기 위해 설치
-비상설기관
-학술용어 사정위원회의 기능을 이어 받음
-1964년 1월3일, 5월14일 2차례에 걸친 교시 후 북한의 어문 규정을 <조선말 규범집>으로 바꿈
-사회주의 건설의 완수를 위해 평양 중심의 문화어로 바꾸는 계획을 세움
키워드
추천자료
남·북한 언어 이질화 탐구와 통일 후 생길 언어 문제 해결 방안 고찰
속담속에 나타난 우리 언어 문화
남.북한 언어비교
북한의 언어정책과 문체
북한의 언어 연구
(북한문학의이해)196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 북한 문학에서 주체문예이론의 형성과 변화과정
북한의 언어정책
[남북한언어][남북한언어정책][북한어][남북어][언어정책]남북한의 언어차이, 남북한 언어정...
[북한][언어정책][초등학교교육][북한 여가생활][북한 영화][북한 식생활][북한 음식][북한 ...
[한글과언어문화]한글과 블로그 문화 - 블로그에서의 한글사용에 대한 생각 PPT
[북한의 언어관][북한의 언어맞춤법][북한의 언어교육][북한의 언어정책][남한의 언어정책][...
[언어와 문화] 언어의 습득
개념과 범주화(원형, 개념과 모호성과 맥락, 언어상대성이론과 인지보편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