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당했다는 사실을 기록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자신의 정당성을 알리는 동시에 후에 아무런 문제가 없도록 그것들을 왜곡하려는 것이다. 그리고 가만히 있는 독도를 자신의 영토라고 들고 일어서는 것은 독도를 선점함으로써 많은 해양에서의 이익을 볼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이다. 이처럼 거짓된 역사는 대부분 현재주의 역사관에 입각해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만들어 지는 것이 대부분이라는 생각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재주의 역사관은 그 시대나 시기에 따라 역사에 대한 인식이 바뀔 수 있다는 데에서 어느 인과관계나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는 데에서 장점을 찾을 수도 있겠지만 매번 역사가 바뀌며 시대에 따라 역사가 변화한다는 데에서 문제점을 찾을 수도 있다.
이에 반해 실증주의의 대표주자인 랑케는 역사가의 임무가 과거의 사실을 ‘본래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나 주관적으로는 역사를 현재주의 역사관에 비추어 역사를 조명 하는 것도 괜찮지만 역사는 그 시대 상황에 입각하여 있는 그대로 역사를 해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는 현시대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에 맞춰 있는 그대로 판단이 되어 져야 한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 또한 변화의 산물으로 파악하여 그것들을 상대적으로 파악하려는 상대주의적 관점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견해에도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무엇이 옳다 그르다 말하기는 힘들 것 같다.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며 역사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해 다시 한번 공부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러한 관점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우월하다 나쁘다고는 말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
이에 반해 실증주의의 대표주자인 랑케는 역사가의 임무가 과거의 사실을 ‘본래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나 주관적으로는 역사를 현재주의 역사관에 비추어 역사를 조명 하는 것도 괜찮지만 역사는 그 시대 상황에 입각하여 있는 그대로 역사를 해석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역사는 현시대의 이해관계가 아니라 그 시대 상황에 맞춰 있는 그대로 판단이 되어 져야 한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역사 또한 변화의 산물으로 파악하여 그것들을 상대적으로 파악하려는 상대주의적 관점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견해에도 많은 차이가 있을 것이므로 무엇이 옳다 그르다 말하기는 힘들 것 같다.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며 역사에 대한 여러 가지 관점에 대해 다시 한번 공부 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그러한 관점 중에서 어느 것이 더 우월하다 나쁘다고는 말하기 힘들다고 생각했다.
추천자료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역사 인식 문제에 관한 총체적 보고서
역사의 본질과 역사가의 임무
근대 이전의 티베트의 역사와 중국과의 역사적 관계에 관한 보고서
역사학과 역사교육
역사소설 열국지와 역사서
경영, 역사에서 길을 찾다를 읽고 - 역사에서 배우는 리더십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문제 - 왜곡배경, 대응방안, 한국의 대응, 역사와 진실
[역사]로마 시대 역사학 조사, 연구
마르크 블로크의 역사관: 『역사를 위한 변명』을 중심으로
영상역사를 통해 역사보기와 영화읽기 - 킹덤 오브 헤븐(Kingdom of heaven)을 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의 역사와 서양의 사회복지 역사에 대하여 비교해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 ...
[한국문화사] <담배의 역사> 담배의 이해, 담배의 역사, 담배의 풍습과 예절, 호랑이 담배피...
역사적 예수 연구의 간략한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