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역사소설이 담고 있는 허구
2.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영웅
3.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충신들
4.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우정
5. 열국지와 좌전에 그려진 시대상
6. 역사소설에 포함된 허구가 왜곡인가 창작인가.
2.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영웅
3.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충신들
4. 열국지와 좌전에 나타나는 우정
5. 열국지와 좌전에 그려진 시대상
6. 역사소설에 포함된 허구가 왜곡인가 창작인가.
본문내용
내용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역사의 변질을 우려하지만 긍정적인 보급효과가 큰 역사의 극화, 소설화는 아예 각색과정을 버려야 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독자, 시청자의 태도에서 변화가 요구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소설이나 사극의 내용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의 각색이 이루어졌음을 인식하고 그것을 토대로 하여 본래의 역사가 어떠한 것인가에 관심을 가지고 알아보는 수준까지 이루어져야 한다. 또는 부록을 마련하여 본 역사를 실어놓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그 내용이 본래의 것과는 조금 다른 각색된 것임을 알게 되어도 글을 읽고 화면을 보는 데에 그 재미나 관심이 격하되지는 않으며 오히려 역사에 더 큰 관심이 쏟아질 수 있고 그것을 보는 사람의 마땅한 권리이기도 하다. 그런데 그것을 집필하는 사람에게도 주의가 요구되는 것은, 사리를 위한 목적성을 가지고 역사를 각색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동북공정의 문제가 필두로 떠오른 최근의 상황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익을 위해 역사를 손보는 일은 상당히 위험한 것이다. 바로 나라의 근간이 되는 역사를 송두리째 뒤흔들어 버릴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한 보급효과를 위해 관심 밖의 고루한 역사를 지면이나 화면이라는 매체를 통해 끄집어내되, 각색이 허용되는 범위는 혼란을 빚지 않고 사회의 근간을 뒤흔들지 않을 정도이어야 하며, 각색과 동시에 본래의 역사를 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것이 본래의 역사를 지키면서 그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참고도서 : 김구용 저 <동주 열국지>, 좌구명 지음 <춘추좌전>, 루카치 <역사소설론>
따라서 바람직한 보급효과를 위해 관심 밖의 고루한 역사를 지면이나 화면이라는 매체를 통해 끄집어내되, 각색이 허용되는 범위는 혼란을 빚지 않고 사회의 근간을 뒤흔들지 않을 정도이어야 하며, 각색과 동시에 본래의 역사를 알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는 것이다. 그러한 것이 본래의 역사를 지키면서 그를 널리 알릴 수 있는 길이기도 하다.
참고도서 : 김구용 저 <동주 열국지>, 좌구명 지음 <춘추좌전>, 루카치 <역사소설론>
추천자료
흑인들의 기억에 의해 다시 쓰여진 노예 역사(토니 모리슨의 소설 beloved를 통해)
북한소설의 역사적 이해
소설 한강 감상문 - 우리가 잊고 있었던 역사에 대하여
[북한문학][북한소설]북한문학의 실상, 북한문학의 의미, 북한문학의 역사, 북한문학의 발전,...
[도교][도교사상][교리]도교(도교사상)의 이론, 도교(도교사상)의 교리, 도교(도교사상)의 역...
[한국 근대문학]한국 근대문학의 역사, 한국 근대문학의 구분, 한국 근대문학 시문학, 한국 ...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일본문학][설화문학][횡광이일][금각사][무희][다니자키 준이치로]일본문학의 역사, 일본문...
[중국문학][상흔문학][소수민족문학][기행문학][호적]중국문학의 역사, 중국문학과 상흔문학,...
고전소설 비평을 통해 본 드라마의 역사왜곡 비평 분석
칼에지다 라는 일본 소설에 대한 독후감과 그 당시 일본의 역사적 배경
[고전문학콘텐츠론 기말과제] 소설『색, 샤라쿠』로 재해석된 혜원 신윤복 -역사와 허구를 바...
채동번의 중국 동한 역사 소설 후한통속연의 16회 17회 18회 한문 원문
채동번의 중국 서한역사의 소설 전한통속연의 61회 62회 63회 64회 한문 및 한글번역 94페이지